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진언염송에서 호흡에 관한 연구 --『대일경소』를 중심으로=Study on Breathing in Mantra Chanting -- Focused on Dàrìjīngshù(The Commentary on the Vairocana-abhisaṃbodhi-tantra)
著者 김영덕 (著)=Kim, Young-duk (au.)
掲載誌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巻号v.47
出版年月日2016.06
ページ135 - 164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サイト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キーワード진언=mantra; 호흡=breath; 염송=jāba; 언어=language; 삼밀=trīṇi guhyāni; 종자=bīja; 파동=wave
抄録밀교(密敎)에서는 독특하게 삼밀행(三密行)을 설한다. 삼밀이란 신밀(身密) ․구밀(口密) ․밀(意密)의 셋을 가리키며, 이 가운데 구밀이 선도가 되면서 삼밀행이 전개된다. 우리들의 입은 발성을 통한 언어적 기능과 함께 호흡의 기능을 갖고 있는데, 진언은 이 두가지 기능을 동시에 갖추면서 수행의 체계를 잡아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언어이면서 호흡인 진언에서 이 두 가지는 어떻게 조화를 이루고 있는가 하는 것이 본 논문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주제이다.
진언은 진언이 지니는 언어적 기능을 떠났을 때에 진언이 목표로 하는 궁극에 도달한다. 호흡마저 잊어버리고 파동에 일치할 때에 일체 분별을 초월해서 자재의 경지에 머무는 것이다. 이러한 진언염송의 성취에는 진언염송이라는 파동의 형태로 몸과 마음의 정화를 기도한 것이 그 배경을 이룬다. 여기에서 몸의 청정을 구현하고 뒤이어 마음의 청정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볼 수 있다. 그 과정으로 나아가는 데에는 호흡과 관련된 진언의 염송방법이 필요하며, 『대일경소』는 자세하게 그 염송수행의 여러 가지 방편들을 제시하고 있다. 내외의 염송, 또는 4색염송, 사종염송 등을 통해서 진언을 소리내는 염송에서 진언에 의해서 촉발되어 진언을 넘어 진언을 잊는 데에까지 이르는 차제적 수행을 살필 수 있었다. 불교수행에서 중심을 이루는 호흡은 밀교에서 진언과 결부되어 다양한 염송법으로 전개되었는데, 진언을 반복해서 염송함을 통해서 여래의 호흡으로 자연스럽게 정립되는 데에 염송의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때 능전(能詮)의 종자를 관한 다음에 소전(所詮)의 이치를 사유함에 의해서 능소(能所)가 둘이 아닌 경지, 즉 수행자와 본존으로서의 진언이 주객합일에 이르는 것을 진언염송의 궁극으로 간주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ntra and breathing, with reference to Dàrìjīngshù as major material and other related esoteric scriptures, which place emphasis on both linguistic and respiratory functions of mantras.
A mantra can obtain its ultimate goal when it transcends its semantic function. A chanting practitioner can stay in the unimpeded state free from any discrimination when he unifies himself with the vibration of chanting, even forgetting his breathing. As a result, he can shake off any deception caused by discrimination.
Likewise, we are able to verify the process to the formlessness of a mantra from the form of the mantra itself.
It is necessary to have methods of recitation related with breathing to elevate the process. Dàrìjīngshù discloses in detail various means of chanting practice. Through the inward-outward chanting or four kinds of repetition, it shows the procedural practice from vocal chanting to adamantine chanting, which reaches the phase of forgetting even the mantra, far beyond the mantra itself. In Esoteric Buddhism, breathing was combined with mantras, which resulted in diverse forms of chanting. It was advanced to Image chanting to confirm the procedure leading to the ultimate Samādhi.
Mantra chanting intends to purify body and mind through the wave shape from chanting a mantra. Mantra chanting is a structure which is completed by purification of the body right after purification of the mind.

目次I. 들어가는 말 136
II. 진언의 언어적 기능과 호흡적 기능 137
III. 진언염송의 수행과 차제 148
IV. 마치는 글 159
ISSN15980642 (P)
ヒット数384
作成日2021.06.18
更新日期2022.03.17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17603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