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1910년대 불교 근대화론과 종교적 지평의 확대=The Modernization of Buddhism and the Expansion of Religious Horizons in the 1910’s
作者 김성연 (著)=Kim, Seong-yeon (au.)
出處題名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卷期v.48
出版日期2016.09
頁次1 - 30
出版者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出版者網址 http://www.kabs.re.kr/
出版地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內容註
關鍵詞사찰령=Temple ordinance; 본산제도=Head temple system; 정교분리=the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불교잡지= Buddhist magazine; 불교개혁론=Buddhist reformism; 유교=Confucianism; 기독교=Christianity
摘要이 글은 1910년대 한국 불교의 내·외적 변화상에 주목하고 종교적 차원에서 근대화론의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1910년대 불교계는 외적으로 사찰령·본산제도·사법 등의 불교정책이 실시되었고, 내적으로는 30본산주지회의·연합사무소 등의 교계 대표기구들이 설립되었다. 이로부터 대중 포교를 위한 잡지 및 불서들이 간행될 수 있었고,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 설립을 비롯해 젊은 승려들의 일본 유학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체제의 정립과 활동은 사찰령이라는 일제 종교정책의 범주 안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일정한 한계도 지닌다.
새로운 교정체제의 정립 속에서 근대 종교를 지향한 이론적 부분은 당시 발표된 불교개혁론과 타종교 인식을 통해 살펴보았다. 먼저 개혁론은 당대 불교인이 극복하려 했던 전근대 불교의 모순을 찾아내고 불교의 근대 종교적 성격을 어떻게 정립하려 했는지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다. 하지만 그 내용은 교리적․종교적 차원의 근본적 비판과 혁신보다는 불교의례나 승려 생활의 현상적 변화를 지적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한편 불교인들은 당시를 종교경쟁시대로 인식하고 타종교에 대한 이해를 통해 불교의 종교적 성격을 도출하기도 했다. 이에 따라 유교는 종교가 아닌 윤리나 정치학으로 이해됐으며, 기독교는 문명화를 주도한 종교로 인식되었다. 이러한 인식의 토대 위에 불교는 철학적, 무신론적, 인격적 종교라는 특성을 내세워 근대종교로서의 정당성을 주장했다. 이와 같은 특징들은 일찍이 일본 메이지시대부터 나타났던 것으로, 보다 넓은 의미에서 동아시아 근대 불교가 지향하려 했던 종교성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이처럼 1910년대는 한국 불교의 내․외적 변화가 확연히 감지되는 시기로서, 전통적 개념에서가 아닌 근대종교로서의 성격이 만들어지는 시점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불교사적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focuses on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in Korean Buddhism in the 1910’s and considers the characters of the modernization of Buddhism from a religious perspective.
The conversion to the Japanese colonial system in the 1910’s brought many changes to Buddhist society. Externally, Buddhist policies such as the Temple Ordinance and Head Temple System were implemented. Internally, representative institutions such as the Conference of 30 Heads of Temples were established. However, in light of the fact that this system was established as a part of the religious policies of Imperial Japan, this system has critical limits; the loss of independence and a vague awareness of the separation of religion and state.
This article examines the theoretical content which was formed through Buddhist reformation and the perspective on other religions. The reformation is an important index to find a contradiction of pre-modern Buddhism and to examine how they tried to establish modern religious characters of Buddhism. On the other hand, Buddhists regarded the period as an age of religious competition and derived the religious characters of Buddhism through understanding of other religions.
Thus, they understood Confucianism not as a religion but as ethics or political thought while perceiving Christianity as a religion leading civilization. Based on these perceptions, they claimed the legitimacy of Buddhism as a modern religion by imposing philosophical, atheistic, and personal aspects. Thus,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changes in Korean Buddhism, it can be said that the 1910’s had important significance in the modernization of Korean Buddhism.
目次Ⅰ. 머리말 2
Ⅱ. 1910년대 불교지형의 변화 5
Ⅲ. ‘탈전통’의 개혁론과 종교성의 신 지평 14
Ⅳ. 맺음말 24
참고문헌 26
ISSN15980642 (P)
點閱次數118
建檔日期2021.06.18
更新日期2021.06.18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17605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