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염불신행의 철학적 해명=A Philosophical Elucidation of the Practice of Reciting the Name of Amitābha Buddha
作者 송재근 (著)=Song, Jae-keun (au.)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91 n.0
出版日期2019.08.31
頁次93 - 114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창원대학교 철학과 강사
關鍵詞여래=Tathāgata; 중생=sattva; 염불신행=the practice of reciting the name of Amitābha Buddha; 시기인식=period recognition; 자기성찰=introspection
摘要불교를 ‘부처와 중생의 만남’으로 정의할 때, 양자의 만남은 대체로 두 가지 방법에 의해 가능하다. 하나는 중생이 다가가는 ⾃⼒의 길이요, 또 하나는 부처가다가오는 他⼒의 길이다. 전자는 수행의 불교요, 후자는 신앙의 불교라 할 수 있다. 본고는 후자에 초점을 두고 염불신행의 불교[淨⼟敎]를 해석한 것이다.
먼저 정토교에 있어서 부처는 중생구제를 사명으로 하는 여래의 자격을 갖추고있다는 것과 아울러 중생 개개인에 대응하는 부처라는 점을 밝혔다. 이어서 중생에대한 이해에 있어서도 時機認識을 통해 인간을 인간 그 자체로서가 아니라 그를둘러싼 환경·시대와의 관계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는 점과 아울러 여러 선각자들의⾃己省察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중생과 부처는 각각 나 자신과 아미타불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결국 정토교가 지향하는 바가 ‘나와 아미타불의 만남’에 있다는 것을 논구하였다.
한편 양자의 만남은 어떻게 가능한가에 대해서, 정토경전 상에서는 念佛을 들고있지만 그 염불의 구체적인 내용은 그 시대에 적합한, 보다 쉽고 효과적인 방식으로 해석하여 다양한 형태로 수용했음을 밝혔다.
따라서 오늘날에 있어서 염불신행은 모든 이에게 적용할 수 있는 형태, 즉 믿음[信]이 실천[⾏]을 대체하는 형태로 바뀔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자기 자신에 대한 진지하고도 솔직한 자기성찰이 필요하다 하겠다.

In defining Buddhism as ‘the meeting of Buddha and a sattva (a sentient being),’ the contact can be made by two methods. One is the way of self-power for a sattva to approach Buddha and the other is the way of other-power for Buddha to come to a sattva. The former is the Buddhism of Sādhana and the latter that of faith. This paper focuses on the latter and expounds Pure Land Buddhism, the practice of reciting the name of Amitābha Buddha.
First of all, it is illuminated that the Buddha in Pure Land traditions is required to have the Tathāgata qualifications for the salvation of sattvas and respond to individual sentient being. Then, in being comprehended by the Buddha, they should not be understood as human beings by themselves but as those in relationship with physical and temporal environments by the recognition of the periods. Here, several pioneer cases of introspection are examined. Through these studies, a sattva and the Buddha can be visualized as myself and Amitābha Buddha and on this basis, the orientation of Pure Land Buddhism to ‘the meeting of myself and Amitābha Buddha’ is discussed.
On the other hand, Pure Land sutras answer the question of how the meeting of the two can be made by the recitation of the name of Amitābha Buddha. Concrete contents of the practice are elucidated to be interpreted as easier and more efficient ways and accepted as diverse forms for any given period.
Thus, the practice of reciting the name of Amitābha Buddha these days is needed to be changed into a form applicable to all, that is, that of faith replacing practice. And for this purpose, above all, sincere and frank introspection of ourselves is necessary.
目次Ⅰ 불교란 부처와 중생의 만남이다 95
Ⅱ. 부처는 여래이어야 한다 97
1. 중생구제를 위한 부처 97
2. 나의 세계에 있는 부처 98
Ⅲ. 중생은 곧 자기 자신이다 99
1. 시기인식의 인간 이해 99
2. 정토교가들의 시기인식 102
Ⅳ. 염불신행의 형성 과정과 여러 양상 106
Ⅴ. 염불신행의 현대적 의의 109
ISSN12250945 (P)
DOI10.22255/JKABS.91.4
點閱次數210
建檔日期2021.09.17
更新日期2021.09.17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3481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