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다섯 음식의 비유와 5시의 불교=The Analogy of Five Foods and Buddha’s Teachings in the Five Periods
著者 조윤경 (著)=Cho, Yoon-Kyung (au.)
掲載誌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巻号v.97 n.0
出版年月日2021.02.28
ページ185 - 218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サイト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안동대학교 동양철학과 조교수
キーワード판교=Panjiao; 교상판석=Jiaoxiangpanshi; 5시교=Teachings in the Five Periods; 다섯 음식의 비유=Analogy of the Five Foods; 『열반경』=the Nirvāṇa Sūtra; 남조=Southern Dynasties; 돈점=Sudden and Gradual
抄録본 논문은 불설을 5가지 순서로 나누어 해석했던 5시교를 중심으로 시간적 순서로 가르침을 배열했던 남조의 여러 ‘판교(判敎)’들을 살펴보았다.
오늘날 ‘판교’는 중국불교의 여러 다양한 측면을 포괄한 하나의 고정된 개념으로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오랜 시간 다양한 맥락과 목적에 의해 발생한 ‘판교’의 여러 층위들은 하나의 범주로 포함시키기에는 너무나 다양한 스펙트럼을 지닌다. 따라서 ‘판교’의 개념은 다시 검토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 ‘판교’라는 명칭으로 지칭되었던 각기 다른 사상 전통을 복원해서 스펙트럼의 다양한 빛깔들 간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밝히는 선행 작업이 요청된다. 본 논문에서는 그 일환으로, ‘판교’의 가장 오래된 형식 가운데 하나이면서 후대 동아시아불교의 ‘판교’에 결정적 영향을 주었던 남조 5시교 전통에 주목했다.
초기 동아시아불교의 ‘판교’ 전통은 후대 사상가들이 각자가 속한 종파의 소의경전을 높이기 위해서, 혹은 자신의 고유한 사상체계를 세우기 위한 목적으로 경전을 자리매김한 ‘판교’와 그 성격을 달리한다. 초기의 경전 분류는 대개 경전에 대한 해석과 함께 이루어졌는데, 경전 해석이 이루어지는 각기 다른 문맥에 따라 다양한 경전 해석이 출현했다.
남조의 5시교는 특히 『열반경』의 다섯 음식의 비유의 맥락 속에서 형성되었으며, 상당 부분 『열반경』 경문의 내용에 의해 자연스럽게 파생된 결과물이었다. 남조의 5시교 전통을 중심으로 이 시기 논사들이 펼친 ‘판교’는 자신의 사상을 체계화하는 특정한 방법론이나 자기가 속한 학파의 우월성을 합리화하기 위한 도구라기보다는, 여러 경전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바라본 해석학적 틀에 가까웠다. 따라서 때로는 모순되어 보이는 경전을 분류하는 다양한 기준들이 하나의 해석 체계 속에 공존하는 것도 가능했다. 또한, 이 시기 경전에 대한 논사들의 관점은 불설에 대한 그들의 입장이나 자신의 사상 전체와 유기적인 관련성이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multiple teaching taxonomies (Panjiao, 判敎) of the Southern dynasties especially focusing on the chronological order of Buddhist teachings regarding the Five Teaching periods. Panjiao is a concept which has multi-layered meanings formed in various historical contexts. Therefore, this paper raises a question regarding Panjiao and whether or not, with its varied uses throughout Chinese Buddhism, it can be understood as a single concept. Multiple contexts and purposes of the term is too wide to be fit into a single category.
The classification of Buddhist teachings of early East Asian Buddhism was the natural result of interpreting Buddhist scriptures within a particular social and historical background. The scriptures as well as their interpretations were often enhanced to establish the unique ideology system of the time.
The teachings of the Five Periods of the southern dynasties were formed in the context of the Five Foods analogy, much of which was naturally derived from the Nirvāṇa Sūtra. The classification of Buddhist teachings during the Five periods was neither a specific methodology for systemizing the structure of their own doctrines nor a particular tool for consolidating the superiority of their own schools. It was rather a hermeneutic framework used in interpreting the contents of various Buddhist scriptures. Thus, criteria for classifying Buddhist scriptures could coexist compatibly, even if they seemed to contradict on occasion. The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was not independent but organically connected to the interpreter's own perspectives.

目次Ⅰ. 들어가며 187
Ⅱ. ‘판교(判敎)’와 5시교 188
1. ‘판교’를 둘러싼 여러 통념들 188
2. ‘판교’를 둘러싼 명칭과 용례 192
3. 남겨진 문제와 본고의 제안 194
Ⅲ. 남조 ‘판교’의 선구자들 – 혜관과 유규 196
1. 혜관의 돈점 5 시 196
2. 유규의 7 시와 5 시 199
Ⅳ. 『열반경』의 다섯 음식의 비유와 5시교의 형성 202
1. 『열반경』의 다섯 음식의 비유 203
2. 승량의 5 시교 204
3. 승종의 5 시교 206
4. 보량의 5 시교 209
Ⅴ. 후대 성실론사들의 돈·점·부정 211
Ⅵ. 나가며 213
ISSN12250945 (P)
DOIhttp://dx.doi.org/10.22255/JKABS.97.7.
ヒット数198
作成日2021.09.09
更新日期2021.09.09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2967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