サイトマップ本館について諮問委員会お問い合わせ資料提供著作権について当サイトの内容を引用するホームページへ        

書目仏学著者データベース当サイト内
検索システム全文コレクションデジタル仏経言語レッスンリンク
 


加えサービス
書誌管理
書き出し
「물불천론」(物不遷論) 연구(1) -- ‘성주(性住)’ 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Wu Bu Qian Lun (Ⅰ) -- Focusing on the concept of the ‘Dwelling in nature’ (性住)
著者 조병활 (著)=Cho, Byung-hwal (au.)
掲載誌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巻号v.96 n.0
出版年月日2020.11.30
ページ97 - 128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サイト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の種類期刊論文=Journal Article
言語韓文=Korean
ノート저자정보: 성철사상연구원장
キーワード「물불천론」=Wu Bu Qian Lun=「物不遷論」; 상견=常見=constant view; 성주=性住=Dwelling in nature; 성공=性空=Emptiness in nature; 징관=澄觀=Cheng Guan; 연수=延壽=Yan Shou; 진징=鎭澄=Zhen Cheng
抄録후진(後秦)의 승조가 쓴 「물불천론」은 사물의 움직임[遷]과 움직이지 않음[不遷]을 논한 유명한 글이다. 또한 논쟁적인 글이기도 하다. 「물불천론」에 2번 사용된 성주(性住), 즉 ‘본성은 머문다.’를 어떻게 해석할 것이냐를 두고 쟁론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성주’에 대해 처음 문제를 제기한 사람은 당나라의 징관(澄觀)이다. 그는 『화엄경수소연의초』에서 “승조 스님이 말한 의미를 살피건대 이미 사물의 각 본성은 한 곳에 머물러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인데, 이는 소승에서 흘러나온 주장으로 이곳에서 다른 나머지 장소로 사물이 옮겨가는 것을 용인하지 않는다.”고 논평했다. 명나라 말기의 사문 진징(鎭澄)은 징관의 이 말을 토대로 「물불천론」을 분석해 승조를 비판했다. 그러자 감산(憨山), 진계(眞界), 도형(道亨) 등 여러 사람들이 진징을 공박하는 등 이른바 ‘「물불천론」 논쟁’이 약 30년 동안 당시 불교계를 뒤흔들었다. 본고는 당나라의 징관, 오대(五代)의 연수(延壽), 명나라의 진징 등 세 사람이 ‘성주’를 어떻게 해석했는지를 중심으로 「물불천론」의 내용을 조명했다. 징관은 ‘성주’를 ‘성공(性空)’으로 파악했고, 연수도 성주가 바로 성공이라고 지적했다. 징관과 연수는 “성주가 성공이므로 불천(不遷)”이라는 것이다. 반면 진징은 “주장은 있으나 논거가 없는 글이 「물불천론」”이라며 “성주는 성공이 아니고 오히려 상견(常見)을 상징하는 말”이라고 정반대로 해석했다.

The Wu Bu Qian Lun (「物不遷論」), written by Seng Zhao (僧肇) of the Hu Qin (後秦) Dynasty, is a famous work discussing the movement (遷) and non-movement (不遷) of objects. It is also a controversial piece as a debate arose over how to interpret ‘Dwelling in nature’ or ‘nature stays’ (性住), which the Wu Bu Qian Lun refers to twice. The first person to raise an issue regarding the term ‘Dwelling in nature’ was Cheng Guan (澄觀) during the Tang (唐) Dynasty. In the Hwa Yan Jing Sui Shu Yan Yi Chao (『華嚴經隨疏演義鈔』), he commented, ‘To examine the meaning of what monk Seng Zhao said, each element of each object already stays in one place and does not move, which is the claim that flows from the Hīnayāna, and does not tolerate the transfer of things from here to other places.‘ In the late Ming
(明) Dynasty, the monk Zhen Cheng (鎭澄) analyzed the theory of the Wu Bu Qian Lun based on the words of Cheng Guan and criticized Seng Zhao.
Then, the so-called ‘Wu Bu Qian Lun debate’ in which several people such as Han Shan (憨山), Zhen Jie (眞界), and Dao Heng (道亨), who reluctantly accepted Zhen Cheng, shook the Buddhist world for about 30 years.
This paper focuses on the interpretation of Dwelling in nature, by three scholars including Cheng Guan of the Tang Dynasty, Yan Shou (延壽) of the Five Dynasties period (五代), and Zhen Cheng of the Ming Dynasty. On the one hand, Cheng Guan identified Dwelling in nature as ‘emptiness in nature’ (性空), which Yan Shou agreed with. On the other hand, Zhen Cheng interpreted the term as one ‘that is not emptiness in nature but rather symbolizes a constant view or eternalism (常見),’ saying that ‘the Wu Bu Qian Lun does not have the grounds for an argument.
目次Ⅰ. 들어가는 말 99
Ⅱ. 본론 101
1. 청량 징관의 ‘성주(性住)’ 이해 101
2. 영명 연수의 ‘성주(性住)’ 이해 108
3. 월천 진징의 ‘성주(性住)’ 이해 113
Ⅲ. 나오는 말 123
ISSN12250945 (P)
DOIhttp://dx.doi.org/10.22255/JKABS.96.4.
ヒット数109
作成日2021.09.10
更新日期2021.09.10



Chrome, Firefox, Safari(Mac)での検索をお勧めします。IEではこの検索システムを表示できません。

注意:

この先は にアクセスすることになります。このデータベースが提供する全文が有料の場合は、表示することができませんのでご了承ください。

修正のご指摘

下のフォームで修正していただきます。正しい情報を入れた後、下の送信ボタンを押してください。
(管理人がご意見にすぐ対応させていただきます。)

シリアル番号
623019

検索履歴
フィールドコードに関するご説明
検索条件ブラウ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