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성실학파의 ‘二諦相即’에 대한 사상적 고찰=A Study of the Xiangji Philosophy of the Two Truths according to the Chengshi School
作者 조윤경 (著)=Cho, Yoon-Kyung (au.)
出處題名 불교학리뷰=Critical review for Buddhist studies =仏教学レビュー
卷期v.18
出版日期2015.12.31
頁次129 - 163
出版者金剛大學
出版者網址 https://www.ggu.ac.kr/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서강대학교 소속
關鍵詞相即=Xiangji; 二諦=two truths; 智藏=Zhizang; 僧綽=Sengchuo; 僧旻=Sengmin; 성실학파=hengshi School; 體用=essence and function
摘要‘相即’은 중국철학의 대표적인 개념 가운데 하나로, 본래 불교가 중국에 수용되면서 이제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도입된 개념이다. 二諦相即은 반야경의 “색이 곧 공이며, 공이 곧 색이다(色即是空, 空即是色)”에서 유래하지만, 二諦相即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대략 5세기에 시작되었다. 초기 二諦相即에 대한 논의 가운데 성실학파의 二諦相即義가 가장 대표적이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은 풍부한 논의를 통해 二諦相即의 특수한 의미를 규명하였다. 구체적으로, 智藏(458-522)은 이제를 一體로 보는 관점에서 이제의 동일성을 강조
하기 위해 ‘即’을 ‘곧 ~이다(即是)’라고 해석한다. 반면, 僧綽은 이제의 異體를 강조하여 相即을 ‘서로 떨어지지 않는다(不相離)’는 뜻으로 보았다. 한편으로 僧旻(467-527)은 인연 가법(緣假)의 차원에서 ‘이제가 다르지 않다(二諦不異)’는 뜻으로 ‘即’을 국한하여 쓴다. 이러한 성실론사의 二諦相即義는 후대 중국철학의 핵심인 相即 사상으로 발전되는 밑거름이 되었다.

“Xiangji” is one of the essential concepts in Chinese philosophy. It was first form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ruths after Buddhism was introduced to China. Although the Xiangji philosophy of the two truths originated from the phrase, “What is form that is emptiness, what is emptiness that is form (色卽是空, 空卽是色)” in the Prajnaparamitas, it became the subject of discussions as an independently founded concept, later around the 5th century. Of the earliest discussions concerning the Xiangji philosophy of the two truths, the most renowned arguments were presented by the Chengshi School. They succeeded in defining the particular meaning of the Xiangji with regard to the two truths through various debates. One of the most valued contributions came from Zhizang(458-522) who interpreted “ji” as “be equal to”, based on the thought that the two truths are completely equal. Sengchuo, however, interpreted “ji” as “inseparable”, thereby claiming that the two truths were ultimately different. Sengmin (467-527) offered a different understanding by confining the meaning of “ji” to “undifferentiated”, and being dependent certain conditions. Ultimately, the Xiangji theory of the Chengshi School became an irreplaceable cornerstone of the Xiangji theory that evolved in later Chinese philosophy.
目次들어가며 131
Ⅰ. 불전의 번역과 ‘相即’의 유래 132
Ⅱ. 南北朝 二諦相即의 사상적 배경 133
Ⅲ. 성실학파의 ‘二諦相即’ 사상 138
Ⅳ. 성실학파의 ‘二諦相即’에 대한 삼론종의 비판 155
나오며 159




ISSN19752660 (P)
DOI10.29213/crbs..18.201512.129
點閱次數102
建檔日期2021.08.09
更新日期2021.08.13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0959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