網站導覽關於本館諮詢委員會聯絡我們書目提供版權聲明引用本站捐款贊助回首頁
書目佛學著者站內
檢索系統全文專區數位佛典語言教學相關連結
 


加值服務
書目管理
書目匯出
『법계도기총수록』 권상(卷上)에 내재된 편자(編者)의 의도=Editor’s Perspective in Beopgyedogi-chongsurok Volume 1 (out of 2)
作者 황서광 (著)=Hwang, Seo-kwang (au.)
出處題名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卷期v.92 n.0
出版日期2019.11.30
頁次107 - 132
出版者한국불교학회
出版者網址 http://ikabs.org/
出版地Korea [韓國]
資料類型期刊論文=Journal Article
使用語言韓文=Korean
附註項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박사
關鍵詞법계도기총수록=the Beopgyedogi-chongsurok; 대기=the Daegi; 법계도관=the Beopgye-do view; 법계도인=Circulated Poem Diagram; 육상=six aspects of all phenomena
摘要『총수록』은 통시성을 갖는 『법기』 · 『진기』 · 『대기』의 모음집으로서, 그 바탕에는 ‘편자의 의도’라는 공시성이 적극 반영되어 있다. 때로 편자의 의도는 『총수록』 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기도 한다. 『총수록』 권상의 세 주석서 주기 배열에는 두 가지 특이점이 포착되며, 이 특이점은 편자의 의도와 관련하여 중요한 추정을 가능하게 한다.
첫째, 법계도 반시에 대한 과문별 주기에서 발견되는 배열의 법칙성으로서 『법기』 · 『진기』 · 『대기』의 순서이다. 이 순서는 세 주석서의 편찬 시기 순일 수 있다는 추정이다. 『법기』가 『대기』보다 편찬 시기가 빠르다는 사실이 문헌학적으로 밝혀졌고 『진기』가 『법기』 · 『대기』와 마찬가지로 신라시대의 것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 추정은 신빙성이 있다.
둘째, 『법계도』 원문에 대한 직접적 주기라고 볼 수 없는 특정 『대기』가 4개소에 배열되어 있다. 그 내용은 각각 법계도관, 도인문의 다의석, 인의 대의, 육상 총론으로서 여타 주기들의 총론 내지 도입부 역할을 하고 있다. 이 특정 『대기』들은 과문별로 첫 배열된 『법기』 이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
선행연구는 『총수록』 권상이 과문별 첫 배열 빈도가 가장 높은 『법기』가 중심이 되어 편집되었다고 추정하였다. 하지만 주기 배열의 법칙성과 특정 『대기』의 배열로 미루어 『대기』 중심의 편집이라고 추정한다.

The Beopgyedogi-chongsurok (Collected Essentials of Records on the Dhārma Diagram) is a collection of the Beopgi, the Chingi, and the Daegi that have diachronic changes and the synchronic intent of editor. Occasionally editor’s perspective gives us evidence for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is book. We can find two key features in the arrangement of commentaries in Volume 1 of the Chongsurok that make it possible to deduce its editor’s perspective.
The first feature is the rule in the arrangement of the Beopgi, the Chingi, and the Daegi at the commentaries on the Bansi (Circulated Poem Diagram); the Beopgi, the Chingi, and the Daegi can be arranged in the chronological order of their publication dates. It turned out that the Beopgi was compiled earlier than the Daegi philologically, and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Chingi was compiled in the dynasty of Silla. Therefore this assumption is highly reasonable.
The second feature is that there are four parts of Daegi which are not commentaries on the text of the Ilseungbeopgye-do (the Single Vehicle Dhārma Realm Diagram). They play a role as their introduction parts. They have contents of the Beopgye-do view, multiple kinds of interpretation on the Bansi, the great meaning of the Doin (Dhārma Realm Diagram), and the general theory of Yuksang (six aspects of all phenomena), respectively. In light of the above facts, they are more important than those of the Beopgi which are at the first position among the commentaries of Volume 1.
The previous studies estimated that Volume 1 was edited based on the Beopgi that appears most frequently. However, I assumed that they are edited based on the Daegi, considering the above peculiarities.

目次Ⅰ. 머리말 109
Ⅱ. 삼기 배열의 법칙성 111
Ⅲ. 특정 『대기』의 배열 117
1. 『대기』①: 법계도관(法界圖觀) 117
2. 『대기』⑥: 도인문(圖印文)의 다의석(多義釋) 120
3. 『대기』⑯: 인(印)의 대의(大意) 122
4. 『대기』㉑: 육상(六相) 총론 125
Ⅳ. 맺음말 128
ISSN12250945 (P)
DOI10.22255/JKABS.92.4
點閱次數90
建檔日期2021.09.16
更新日期2021.09.16










建議您使用 Chrome, Firefox, Safari(Mac) 瀏覽器能獲得較好的檢索效果,IE不支援本檢索系統。

提示訊息

您即將離開本網站,連結到,此資料庫或電子期刊所提供之全文資源,當遇有網域限制或需付費下載情形時,將可能無法呈現。

修正書目錯誤

請直接於下方表格內刪改修正,填寫完正確資訊後,點擊下方送出鍵即可。
(您的指正將交管理者處理並儘快更正)

序號
623396

查詢歷史
檢索欄位代碼說明
檢索策略瀏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