全文 |
題名 |
作者 |
出處 |
出版日期 |
|
|
「성리품」격외문답의 논리구조와 해석학적 의미=Logical Structure and Analytical Meaning of Informal Catechism in the Chapter of Principle of Nature |
김도공 (著)=Kim, Do-gong (au.)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
2007.12 |
|
|
『금강경』의 사상(四相)에 대한 해석방향 연구 - 원불교적 관점에서=A Study on the Way of Interpretation for Sasang in Diamon Stura : in the View of Won-Buddhism |
김도공 (著)=Kim, Do-gong (au.)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
2016.09 |
|
|
『대승기신론』과 원불교=The Awakening Faith of Mahāyāna and Won-Buddhism |
김도공 (著)=Kim, Do-gong (au.)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
2014.03 |
|
|
『般若心經』의 空思想 考察 - 鼎山宗師의 照見工夫와 관련하여 |
김도공 (著)=Kim, Do-gong (au.)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
2001.12 |
|
|
대산종사의 견성론 고찰=Consideration on Daesan’s Logic of Seeing Nature |
김도공 (著)=Kim, Do-gong (au.)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
2014.09 |
|
|
마음공부 방법론에 대한 모색 - 교단 내 마음공부의 현상과 원리 비판을 중심으로 |
김도공 (著)=Kim, Do-gong (au.)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
2000.12 |
|
|
순역 경계 속의 신행방법론 -- 원불교의 입장에서=Practice Methodology in Favorable and Adverse Circumstances -- From the Stand Point of Won-Buddhism |
김도공 (著)=Kim, Do-gong (au.) |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Journal of Buddhist Professors in Korea |
2011.12 |
|
|
鼎山의 『見性五殷階』 연구 |
김도공 (著)=Kim, Do-gong (au.)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
1998.12 |
|
|
원불교 四恩의 『周易』 연원에 관한 고찰=A Study on Won -Buddhism’s The Fourfold Grace origins from Zhouyi |
김도공 (著)=Kim, Do-gong (au.); 임병학 (著)=Lim, Byeong-hak (au.)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
2016.03 |
|
|
원불교 교의에 나타난 一心사상 |
김도공 (著)=Kim, Do-gong (au.)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
1999.12 |
|
|
원불교 교의해석의 근대성 극복 문제(Ⅰ)=Overcoming Modernity on Hermeneutics of Won-Buddhist Tenet |
김도공 (著)=Kim, Do-gong (au.)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
2009.02 |
|
|
원불교 내의 근본주의 비판과 극복 최근 나타나는 근본주의적 경향의 비판과 극복을 중심으로=Criticism and Conquest on Fundamentalism in Won-Buddhism |
김도공 (著)=Kim, Do-gong (au.)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
2013.06 |
|
|
원불교 수행론 연구의 현황과 과제=The Current Situation and Challenge of Won-Buddhism Discipline Theory |
김도공 (著)=Kim, Do-gong (au.)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
2005.08 |
|
|
원효의 화쟁사상 형성에 영향을 미친 장자 제물론의 영향=The influence of Jemul齊物 of Chuangtzu on the Hwajaeng和諍 of Wonhyo |
김도공 =Kim, Do-gong |
보조사상=普照思想=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
2005 |
|
|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교리적 근거 |
김도공 (著)=Kim, Do-gong (au.)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
2002.12 |
|
|
전환기 원불교의 포교전략 -- 정신개벽과 창립정신의 재모색=Propagation Strategy of Wonbuddhism in the Transition Period -- Reconsideration on Spiritual Opening and Founding Spirit |
김도공 (著)=Kim, Do-gong (au.); 김도관 (著)=Kim, Do-gwan (au.); 김소연 (著)=Kim, So-yeon (au.) |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Journal of Buddhist Professors in Korea |
2017.12 |
|
|
정산종사의 불교관 고찰 - 편편법문의 의미 고찰을 중심으로=The study on the Jungsan`s Buddhism |
김도공 (著)=Kim, Do-gong (au.)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
2006.08 |
|
|
참회 수행을 통한 현대인의 불교적 치유 - 원효의『대승육정참회』를 중심으로=Buddhist Healing of Contemporary People through Penitence Practice - Focused on Wonhyo’s Mahāyāna Six-Emotion Penitence |
김도공 (著)=Kim, Do-gong (au.)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
2012.09 |
|
|
한국 승려 ⻑衫에 관한 연구 -- 현대 조계종과 태고종 장삼을 중심으로 =A Study on Korean Buddhist Monk’s Robes, Jangsam -- focused on the different shape of modern Jangsam |
박춘화 (著)=Park, Chun-hwa (au.); 김도공 (著)=Kim, Do-gong (au.); 남경미 (著)=Nam, Kyoung-mi (au.) |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
2018.11.30 |
|
|
현공 묵암선사의 『般若心經 講義』와 반야심경관= Seon Master Hyeongong’s Viewpoint of Prajnaparamita-hridaya Sutra |
김도공 (著)=Kim, Do-gong (au.)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
2015.06 |
|
|
효과적인 설교전달방법 연구 (1) - 스토리텔링과 그림언어를 중심으로=A Study on the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 for Preaching - Focusing on Story-Telling and Picture Language |
김도공 (著)=Kim, Do-gong (au.)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Won-Buddhist Thought and Religious Culture |
2005.1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