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text |
Title |
Author |
Source |
Date |
|
|
〈緣起經〉의 梵藏漢韓 對照 |
이지수 (著)=李芝洙 (au.) |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
1988.11.15 |
|
|
의 存在分析 - 界品(dhātu-nirdeśa)을 중심으로=The Analysis of Existence according to the with reference to the 1st Chapter , Dhātu-nirdeśa |
李芝洙 (著)=Lee, Ji-soo (au.) |
불교학보=佛教學報 |
2000.12 |
|
|
<中邊分別論> 第三 眞實品에 대해 - 安慧의 <疏> 를 중심으로=On the Chapter Three of the Madhyanta - Vibhanga - Sastra : with Special Reference to Sthiramati's Commentary |
李芝洙 (著)=이지수 (au.) |
불교학보=佛教學報 |
1994.12 |
|
|
<학문적 범어의 문장론 연구>(전재성)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점 |
李芝洙 (著)=이지수 (au.)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1993 |
|
|
Contemporary World and Radhakrishnan's Diagnosis and Prescription |
이지수 (著)=Lee, Ji-soo (au.)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2004 |
|
|
世親의 「二十頌」,「三十頌」,「三性論」의 梵韓對譯 |
李芝洙 (著)=이지수 (au.) |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
1986.05.15 |
|
|
古典 상-캬의 哲學 (Ⅰ) ─『상-캬․까-리까-(數論頌)』를 중심으로 |
李芝洙 (著)=이지수 (au.)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1999 |
|
|
正理一滴疏 -- 第2章 為自比量 |
이지수 (著) |
불교원전연구=佛教原典研究 |
2001.06 |
|
|
正理學派의 4가지 인식방법(pramāṇa) 一<正理経> Ⅰ.1. 수뜨라 1-8에 대한 Vātsyāyana<疏>의 譯註一 |
李芝洙 (著)=이지수 (au.)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1993 |
|
|
正理學派의 인식방법론 (Ⅰ) Keśavarniśra의 Tarka-bhāṣā ‘Pramāṇa’ 章의 譯解 |
이지수 (著)=李芝洙 (au.)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2003 |
|
|
因明入正理論의 辯證的 方法=Dialectical Method Presented in Nyaya - pravesa |
李芝洙 (著)=Lee, Ji-soo (au.) |
불교학보=佛教學報 |
1999.12 |
|
|
安慧의 <釋>에 따른 唯識三十頌의 이해 |
李芝洙 (著)=Lee, Ji-soo (au.) |
불교학보=佛教學報 |
1998.12 |
|
|
有外境論者와 唯識論者의 對論 - 唯識二十論(viMzatikA)의 이해를 위하여=The Argument between the bAhyArthavAdin and the vijJapti-mAtravAdin: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Vasubandhu's viMzatikA |
李芝洙 (著)=이지수 (au.)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2007 |
|
|
佛教論理學派의 知覺(現量 ) 論 - 목샤까라굽따의 <論理槪說> 중 제1知覺章의 譯註=A Theory of Perception in the Buddhist Logical School : Korean Translation and Notes on the First Chapter of the Tarkabhasa |
李芝洙 (著)=이지수 (au.) |
불교학보=佛教學報 |
1993.12 |
|
|
佛教論理學派의 推理(比量)=불교논리학파의 추리 ( 推里 ) ( 비량 ( 比量 ) ) 론 ( 論 )=A Study on lnference ( anumana ) in the School of Buddhist Logic |
李芝洙 (著)=이지수 (au.) |
불교학보=佛教學報 |
1992.11 |
|
|
니야-야(正理) 학파의 인식학·논리학 - 안남밧따의 《論理 概要》 譯解 (Ⅱ) |
李芝洙 (著)=이지수 (au.)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1992 |
|
|
다르마끼르띠 (法稱) 의 관계 비판 - 〈Sambandha-pariksa〉를 중심으로=Dharmakirti's Crtique on Relation-with reference to sambandha -pariksa |
李芝洙 (著)=이지수 (au.) |
불교학보=佛教學報 |
1997.12 |
|
|
다르마와 베다에 대한 초기 미망사학파의 견해 - 샤바라 브하샤(Ⅰ.ⅰ.S.1-5)를 중심으로 |
李芝洙 (著)=이지수 (au.)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1995 |
|
|
범본에 의거한 般若心經의 이해=An Understanding on the Prajñāparāmitā-hṛdaya-sūtra Based on the Sanskrit Text |
이지수 (著)=Lee, Ji-soo (au.)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2009 |
|
|
브라흐마 수뜨라 ‘catuḥsūtrī’에 대한 샹까라의 해석 (Ⅰ) |
李芝洙 (著)=이지수 (au.)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1997 |
|
|
빠딴잘리 『요가 수-뜨라』 ‘三昧品’(Samādhi-pāda)의 思想 |
李芝洙 (著)=이지수 (au.)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1998 |
|
|
빠딴잘리 『요-가·수-뜨라』 ‘三昧品'(Samādhi-pāda)의 思想 (2) |
李芝洙 (著)=이지수 (au.)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2002 |
|
|
세친의 오온론=世親의 《五蘊論》 |
李芝洙 (著)=이지수 (au.) |
보조사상=普照思想=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
1992 |
|
|
세친의『三性論』(Tri-svabhava-nirdesa)에 대하여=A Study on the Vasubandhu`s Tri-svabhava-nirdesa |
李芝洙 (著)=Lee, Ji-soo (au.) |
불교학보=佛教學報 |
2001.12 |
|
|
쉬와디띠야(Śivāditya)의 7범주론(Saptapadārthī) |
李芝洙 (著)=이지수 (au.)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1994 |
|
|
新正理學派에 있어서 遍充(vyāpti)의 定義_위슈와나-타의 Nyāya-siddhānta-muktāvalī와 관련하여 |
李芝洙 (著)=이지수 (au.)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2000 |
|
|
와이셰시카(勝論)학파의 7범주론 _안남밧따의 《論理 概要》 譯解 (I) |
이지수 (著)=李芝洙 (au.)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1989.12 |
|
|
융의 심리학과 빠딴쟐리 요가에 있어서 신비주의=Mysticism in the Psychology of Jung and the Yoga of Patanjali |
Coward, Harold (著); 李芝洙 (譯)=이지수 (tr.)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1993 |
|
|
인과관계에 대한 용수와 가우다빠다의 비판=Critique of Causality in the Philosophy of Nāgārjuna and Gaudapāda |
이지수 (著)=Lee, Ji-soo (au.) |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
2002.06 |
|
|
인도철학에 있어서 착각의 문제 - 正理學派를 중심으로 |
이지수 (著)=李芝洙 (au.)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1996 |
|
|
자이나 인식·논리학의 一瞥 (Ⅰ)=A Glimpse of Jaina Epistemology & Logic (Ⅰ) |
李芝洙 (著)=이지수 (au.)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2002 |
|
|
정리학파의 16주제의 정의-'정리경' 제1편의 해석=Definitions of the 15 Padaarthas of the Nyaaya System: Annotated Translation f the Nyaaya-suutra, the first Adhyaasa |
이지수 (著)=李芝洙 (au.)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2004 |
|
|
實在의 本性 -- 中邊分別論 第一 辯相品에 대하여 |
李芝洙 (著)=이지수 (au.) |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
1987.07.15 |
|
|
한국 인도철학계의 몇 가지 왜곡된 인식들 |
李芝洙 (著)=이지수 (au.)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20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