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불교의 환생동화를 활용한 죽음 준비교육이 유아의 죽음개념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The effect of education about death concepts through picture books about buddhist Samsara on children’s understanding and fear of death
Author 권은주 (著)=Kwon, Eun-ju (au.) ; 조진희 (著)=Cho, Jin-hee (au.)
Source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Volumev.28
Date2011.04
Pages45 - 78
Publisher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Publisher Url http://www.kabs.re.kr/
Location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Keyword업=karma; 윤회=samsara; 죽음개념; 죽음불안=children’s understanding and fear of death
Abstract본 연구는 불교의 업과 윤회 사상을 모티프로 하는 환생동화를 활용하여 유아들에게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한 후, 그것이 유아의 죽음개념 및 죽음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업은 인간에 의한 행위로서 윤회를 일으키는 힘이며 업력에 의해 생과 사를 되풀이 하는 윤회사상은 인간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말해주는 것으로 죽음으로 인한 일회성 삶이나 존재의 단절을 극복하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게 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업과 윤회사상이 모티프인 한국 환생동화 7편을 선정하여 유아들에게 7주에 걸친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만5세 유아 30명(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5명)이고, 죽음준비교육의 효과검증을 위해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t-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와 방법으로 이루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생동화를 활용한 죽음준비교육은 유아의 죽음개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생동화를 활용한 죽음준비교육은 유아의 죽음불안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종교유무와 죽음불안과의 관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children’s understanding and fear of death of picture books about Buddhist samsara. Samsara in Buddhism means recurrence, like a turning wagon wheel, and it is determined by Karma. Karma is the total effect of actions and conduct of human beings and the source of Samsara. Samsara show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a human being, therefore it can be the way to overcome the gap between life and death. The education about death was conducted with children for 7 weeks using 7 picture books about Samsara.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 five year-old children (15 experiment group, 15 control groups). Data were analyzed for th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the pre-score and post-score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ducation about death.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ducation about death through picture books about Buddhist samsara reduces the fear of death and improves understanding of death.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the religion of children and the fear of death.
Table of contents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48
2. 연구문제 52
II. 이론적 배경 53
1. 업과 윤회사상 53
2. 유아의 죽음에 대한 개념 및 죽음불안 56
III. 연구방법 58
1. 연구대상 58
2. 연구도구 58
1) 유아의 죽음개념 검사와 죽음불안 검사 59
2) 죽음준비교육 활동 61
(1) 업과 윤회사상이 모티프인 환생동화 선정 61
(2) 한국 환생동화 목록과 죽음준비교육 활동 계획안 61
3. 연구절차 64
4. 자료처리 64
IV. 연구 결과 및 해석 65
1. 업과 윤회 사상이 모티프인 환생동화를 활용한 죽음준비교육이 유아의 죽음개념과 죽음 불안에 미치는 효과 65
2. 업과 윤회 사상이 모티프인 환생동화를 활용한 죽음준비교육이 유아의 종교 유무에 따라 죽음불안에 미치는 효과 69
V. 결론 70
VI
ISSN15980642 (P)
Hits529
Created date2021.05.19
Modified date2021.05.19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15296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