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기혼여성의 명상상담 프로그램 참여 경험 --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s of Married Women in Meditation Counseling Programs
Author 김영미 (著)=Kim, Young-mi (au.)
Source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Volumev.79 n.0
Date2016.09
Pages347 - 380
Publisher한국불교학회
Publisher Url http://ikabs.org/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자연치유학과 석박통합과정
Keyword기혼여성=Married women; 명상=Meditation; 알아차림=Mindfulness; 명상상담 프로그램=Meditation counseling program; 현상학적 연구=Phenomenological study
Abstract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기혼여성의 명상상담 프로그램 참여 경험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명상상담 프로그램 7회기 이상을 참여한 기혼여성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축어록은 Colaizzi 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3개의 범주 (categories), 8개의주제 모음 (theme clusters), 20 개의 주제 (themes)가 도출되었다. 범주는 크게 ‘참여 동기’, ‘경험 내용’, ‘의미 부여’이다. 명상상담 프로그램 참여 동기는 크게 ‘삶에서 느낀 힘겨움’, ‘ 명상상담에 대한 기대’로 나타났다. 경험 내용은 ‘자신에 대한 깊은 이해’, ‘고통과의 새로운 관계 설정’, ‘크고 작은 위기와 좌절’, ‘동료들과의 공동 치유’, ‘수용과 소통을 통한 성장’등이 있었다 . 프로그램에 대한 의미 부여는 ‘돌봄과 알아차림의 계기’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집단 명상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기혼여성들의 생생한 체험을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여 명상상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보다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experiences of five married women who have participated in meditative therapy. In this study, at least three in-depth interviews were done with each of the five participants, and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with their full knowledge and consent.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Colaizzi’s method of data analysis. This data was divided into: 3 categories, 8 theme clusters, and 20 themes. The three categories are: 1) motives for participating, 2) content of experiences, and 3) assigning meaning. The eight theme clusters are: 1) past hardships in life, 2) expectations of meditation counseling, 3) a deep understanding of self, 4) establishing new perspectives toward hardships, 5) crisis and frustration 6) collaborative healing with other participants, 7) maturity through acceptance and communication, and 8) opportunities for self care and mindfulnes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extends our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experiences by married women in meditative counseling.
Table of contentsⅠ. 서론 34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49
2. 연구문제 353
Ⅱ. 연구방법 353
1. 연구참여자 선정 353
2. 명상상담 프로그램 354
3.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355
4. 자료분석 및 타당성 확보 356
Ⅲ. 연구결과 357
1. 삶에서 느낀 힘겨움 357
2. 명상상담에 대한 기대 360
3. 자신에 대한 깊은 이해 363
4. 고통과의 새로운 관계 설정 365
5. 크고 작은 위기와 좌절 367
6. 동료들과의 공동 치유 369
7. 수용과 소통을 통한 성장 371
8. 돌봄과 알아차림의 계기 372
Ⅳ. 논의 374
Ⅴ. 결론 및 제언 376
ISSN12250945 (P)
Hits159
Created date2021.10.05
Modified date2021.10.05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24386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