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초기화엄교학에 미친 유식사상의 영향 -- 心識說의 전개와 性起說의 형성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Transmission of Consciousness-Only Thought in the Early Huayan School -- Focusing on Transmission of the Theory of Consciousness to the Theory of Nature-arising
Author 장진영 (著)=Jang, Jin-young (au.)
Source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Volumev.77 n.0
Date2016.02
Pages225 - 255
Publisher한국불교학회
Publisher Url http://ikabs.org/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HK교수
Keyword阿梨耶識=ālaya-vijñāna; 阿摩羅識=amala-vijñāna; 如來藏=tathāgata-garbha; 心識說=the Theory of consciousness; 性起說=the Theory of nature-arising
Abstract지론종의 심식설이 眞識인 제8 아리야식을 중심으로 전개된 데에는 佛性 說의 영향을 부인할 수 없다. 특히 아리야식설과 여래장설을 조화시키고자 했던 眞諦의 無相唯識說을 통해 이러한 경향이 더욱 강화되었다. 하지만 진제는 제8 아리야식을 ‘眞妄和合識’이라 하고 아마라식을 ‘眞識’이라 하였다. 이때 아마라식은 ‘果位의 여래장’으로서 眞如實性을 의미한다. 이로 인해 동아시아에 심식설을 둘러싼 혼란이 가중되었다.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법상교학은 아리야식을 妄識으로 파악하고 아마라식의 識體를 부정하였다.
한편 진제는 아마라식으로 과위의 여래장을 강조하였고, 三無性說을 통해 ‘眞實無性性’을 밝혔으며, 당시까지 중시되지 않았던 ‘과위의 여래장’, 즉 如來 法身의 입장이 부각되었다. 이는 여래장의 의미가 인위와 과위라는 관점에 따라 달리 이해될 수 있음을 뜻하며, 이후 지론종 내부에서 여래장의 의미에 대한 논의와 다양한 해석적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논의의 중심은 ‘心識’에서 ‘心性’으로 옮겨갔다. 또한 소승과 대승의 구분보다 삼승과 일승의 구분[因位의 가르침인가, 果位의 가르침인가] 이 중심이 되었다. 일승의 입장에서 화엄교학을 체계화시킨 지엄은 5교판을 통해 新유식은 大乘始敎, 舊유식은 大乘終敎로 평가하였고, 一乘圓敎에서는 性起說을 주창하였다. 물론 일승에서도 [同敎에서는] 아리야식, 여래장 등의용어가 사용된다. 그러므로 그 敎體의 판별에 있어서는 어떤 관점에서 설해진 것인지 신중히 평가하여야 한다. 또한 지엄은 別敎一乘의 유식설로서 解唯識 과 行唯識을 주장하였고, 義相과 法藏 등에 의해 三性三無性說의 재해석과 변용이 이루어졌다.


The theory of consciousness in the Dilun School centered on true consciousness, which is the eighth consciousness, or ālaya-vijñāna, because the theory of Buddha nature had been so widespread in East Asian Buddhism. Paramārtha’s theory of consciousness-only harmonized both ālaya-vijñāna and tathāgata-garbha. He suggested that ālaya-vijñāna is the combined consciousness of true and false, and amala-vijñāna is the true consciousness. Also, amala-vijñāna means tathatā or true nature, as in tathāgata-garbha’s last stage.
Meanwhile, Xuanzang understood ālaya- vijñāna as false consciousness and denied the existence of amala-vijñāna. Zhiyan discussed tathāgatagarbha’s final stage, also known as tathāgata- dharmakāya, which is described as the “absence of self-nature in the highest meaning” (parinișpanna-niḥsvabhāvatā), which Paramārtha defined as “suchness.” This issue of grasping the meaning of tathāgata-garbha was the cause of arguments and various hermeneutical attempts in the Dilun School.
Zhiyan proposed his “five teachings” as a new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early Huayan School. However, Zhiyan proposed the consciousnessonly doctrine of the special teaching of the unique vehicle, with “consciousnessonly as the object of understanding” and “consciousness- only as the object of practice.” This was based on the Dilun School and influenced by the Shelun School.
Table of contentsⅠ. 들어가며 227
Ⅱ. 유식사상의 전래와 심식설의 변천 228
1. 지론종의 심식설 228
2. 진제와 섭론종의 심식설 230
3. 현장의 新唯識과 법상종의 심식설 235
Ⅲ. 초기화엄교학의 유식사상에 대한 대응 237
1. 여래장의 의미 분화와 성기설의 출현 237
2. 5교판과 심식설에 대한 평가 241
3. 삼성삼무성설의 수용과 변용 246
Ⅳ. 나가며 250
ISSN12250945 (P)
Hits81
Created date2021.10.11
Modified date2021.10.11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24628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