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영호(石顚) 정호(漢永)와 중앙불교전문학교 -- 한국의 ‘윌리엄스 칼리지’ 혹은 ‘엠허스트 칼리지’ =Yeongho Jung Ho and Central Buddhist College -- ‘Williams College’ or ‘Amherst College’ of Korea
Author 高榮燮 (著)=Ko, Young-seop (au.)
Source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Volumev.70 n.0
Date2014.06
Pages33 - 69
Publisher한국불교학회
Publisher Url http://ikabs.org/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Keyword영호(정호)=Yeongho(Jung Ho); 인문적 지성=Liberal Arts Intelligence; 명진학교=Myungjin School; 불교사범학교=College of Buddhist Education; 불교고등강숙=Buddhist High School; 중앙학림=Jungang School; 불교학원=Buddhist Academy; 대원암 불교강원=Daewonam Buddhist Lecture Hall; 불교전수학교=Buddhist Learning School; 중앙불교전문학교=Central Buddhist College; 문성=Constellation of Literature
Abstract이 논문은 동국대학교(1906~2014)의 역사 전반기에 이 학교의 정신적 사상적 문화적 좌표를 제시하였던 映湖 鼎鎬(石顚漢永, 1870~1948)의 살림살이와 사고방식에 대해 살펴본 글이다. 동국대학교의 전신이었던 중앙불교전문학교(1930~1940)는 한국 인문학의 본산이었다. 1930년대 당시부터 불교계의 중앙불전은 기독교계의 연희전문과 천도교계의 보성전문과 함께 한국의 3대 사학으로 널리 알려졌다. 중앙불전의 전통을 이은 혜화전문학교는 동국대학-동국대학교로 이어졌다. 당시 중앙불전의 제4대 학장이었던 映湖 鼎鎬가 불교학과 동양문학에 관한 전문교육을 실시하였던 학풍은 오늘날 대학평가에서 세계 최고의 대학들로 평가받는 하버드-예일-프린스턴 대학을 제치거나 필적하는 미국의 북동부 메사추세츠주에 자리한 작은 대학인 윌리엄스 칼리지(WilliamsCollege, 1793~ )와 엠허스트 칼리지(Amherst College, 1812~ )에 상응하고있다.
당시 불교학 및 동양문학에 관한 전문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세운 중앙불전의 교육목적은 지금도 우리나라 불교교육사의 한 상징을 넘어 한국 인문대학의 지향에 일정한 유효성을 지니고 있다. 더욱이 우리 학문의 시대정신인 융합하고 복합하는 지평은 불도유 삼교와 선교율 삼학 및 문사철 삼학에 막힘없던 영호의 가풍에 긴밀하게 부합하고 있다. 그가 펼친 인문적 지성은 명진학교의 강사 이래 불교사범학교-불교고등강숙의 塾長 및 중앙학림의 학장과 중앙불교전문학교의 교장 그리고 혜화전문학교의 명예교수에 이르기까지 동국대학교 반세기 역사의 디딤돌이자 금자탑이 되었다. 그리고 영호의 인문적 지성은 이후 동대 학풍의 기반이 되었다.
영호는 불교계 유일의 대학이었던 중앙학림이 휴교되자 이 과도기에 총무원에서 유지한 불교학원에 상응하는 개운사와 대원암에 불교전문강원를 개원하고 사미-사집-사교-대교-수의과를 통해 선승과 학승들을 길러내었다.
또 그는 대원암의 집담회를 통해 불교의 현실참여에 대해 깊이 토론하였다.
뿐만 아니라 영호는 많은 논저를 통하여 번역과 저술의 중요성을 강조했으며 동시에 잡지를 인수하여 편집하고 간행하면서 수많은 불교 개혁의 논설을 썼다. 나아가 그는 일급 시인이자 인문적 지성으로서 다수의 시와 산문을 남겼다. 이러한 영호의 전방위적 역량에 깊게 영향을 받은 중앙학림과 중앙불전 및 혜화전문과 동국대학교 학생들은 불교학과 문사철학으로 계승해 갔다. 불교교학은 권상로, 김법린, 백성욱, 이석호(상순), 정두석, 김동화 황성기, 장원규, 김잉석, 홍정식, 이종익, 이기영, 원의범, 정태혁, 고익진, 김인덕, 목정배, 오형근 등이 이어 나갔다. 불교사학은 조명기, 우정상, 김영태, 이재창 등이 계승해 갔다.
어문학연구로는 정지용, 김기림, 송요인, 이창배, 백철, 양주동, 조연현,이병주, 이동림, 김성배, 김기동, 이상보, 장한기, 최세화, 임기중, 홍기삼 등이 이어 나갔다. 시인 작가로는 한용운, 조종현, 신석정, 김달진, 서정주, 조지훈, 이형기, 신경림, 이범선, 이근삼, 황석영, 조정래 등으로 계승해 갔다. 사학으로는 황의돈, 남도영, 이재호, 이영무, 안계현, 이용범, 송준호,조좌호, 천혜봉 등이 이어 나갔다. 철학으로는 정종, 김용정, 박성배 등이동서양 사상 전반으로 계승해 갔다. 이처럼 이러한 인문적 지성과 고전적 지식인이 양산될 수 있었던 것은 영호가 터전을 닦고 씨앗을 뿌리며 이끌었던 불교고등강숙-중앙학림-불교학원(총무원)-불교전수학교-중앙불전-혜화전문의 학풍에서 비롯될 수 있었다. 그 결과 불교학 전통은 불교대학의 ‘인문지성 가풍’으로 이어졌고, 문학지성의 전통은 문과대학과 예술대학의 ‘文星’ 즉 ‘문예의 성좌’로 이어져 한국의 인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housekeeping condition and way of thinking of Yeongho Jung Ho who proposed the mental, philosophical and cultural coordinates of Dongguk University(1906~2014)in its entire history. Central Buddhist College(1930~1940) that was the previous organization of Dongguk University was the head of Korean liberal arts. Since 1930s, the Central Buddhist College has been known as the top 3 private schools along with Yeonhui College of Christianity and Bosung College of Cheondogyo. Hyehwa College that connected the Central Buddhist College was linked to Dongguk College – Dongguk University. The academic tradition (the specialized education about Buddhist Studies and East Literature) that was performed by Yeongho JungHo, who was the 4th dean of Central Buddhist College, was equal to that of Williams College(1793~ ) and Amherst College(1812~ ) that are small colleges located in Massachusetts State of USA and whose academic tradition is better than or equal to Havard, Yale or Priceton University, which have been evaluated as the world best universities in recent university evaluation.
The educational purpose of Central Buddhist College that was confirmed as the specialized education about Buddhist Studies and East Literature has been still effective for the orientation of Korean liberal arts colleges beyond the symbol of Korean Buddhist Education History. The prospect for fusion and complex, which is the sprit of the time of study, closely conformed to the academic tradition of Yeongho who was familiar with The three teachings of Buddhism, Taoism and Confusianism, The three learnings of Seon, Pravacana & Vinaya, The three studies of Literature, History and Philosophy. His liberal arts intelligence has been the steppingstone and monumental work of Dongguk University for about half a century from the lecturer of Myungjin School to the Head of College of Buddhist Education-Buddhist High School, Dean of Jungang School, Dean of Central Buddhist College and Honorary Professor of Hyehwa College. Yeongho’s liberal arts intelligence became the foundation of academic tradition of Dongguk Uni
Table of contentsⅠ. 문제와 구상 36
Ⅱ. 영호 정호의 살림살이 40
Ⅲ. 개운사와 대원암의 불교전문강원 개원과 불전 43
Ⅳ. 중앙불교전문학교의 승격과 학풍 48
Ⅴ. 영호 정호의 사고방식 58
Ⅵ. 정리와 맺음 63
ISSN12250945 (P)
Hits182
Created date2021.10.21
Modified date2021.10.22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25407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