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불교미술사 -- 그 성과와 과제=Buddhist Art History -- Its Achievements and Tasks
Author 정우택 (著)=Chung, Woo-thak (au.)
Source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Volumev.68 n.0
Date2013.12
Pages965 - 995
Publisher한국불교학회
Publisher Url http://ikabs.org/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동국대학교(서울) 대학원 미술사학과 교수
Keyword석굴암본존불상=The Buddha of Seokguram; 감산사지출토 불상; 불국사 금동불상; 불화연구대상; 불화연구방법론; The two sculptures from Gamsansa-ji temple; The two bronze sculptures of Bulguk-sa temple; Methodologies in the field of Buddhist paintings, Style
Abstract불교미술은 조각, 불화, 공예, 건축 등으로 세분할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불교조각과 불교회화에 관한 연구 성과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석굴암 조각은 문화적, 종교적 또는 역사적, 미술사적 중요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이 없다. 그러나 석굴암 조각은 그 명성에 비하면 아직도 해결되지 않은 부분도 적지 않다. 우선, 本尊佛像은 연구자에 따라 아미타여래, 석가여래, 비로자나불로 불리우며, 도상학적 배경 역시『觀佛三昧海經』, 『화엄경』, 『方廣大莊嚴經』 등 다양한 견해가 있다. 그 이유는 관련 문자기록이 적고, 석굴내의 조각들이 어느 특정 도상을 연상시킬 만큼 도상학적으로 간단하지 않기 때문이다.
甘山寺址 출토 석조미륵보살입상과 석조아미타여래입상은 銘文이 있어 두 불상의 존명, 봉안장소, 제작시기, 발원자, 신앙, 조각양식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명문의 ‘개원 7년(719년)’은 제작이 시작된 연대가 아니라 완성한 시기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또한 감산사는 법상종 사찰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종파불교가 성립되어있지 않은 시기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불국사의 금동아미타여래좌상과 금동비로자나여래좌상은 통일신라시대를 대표할 만한 금동불상으로, 讚文에 의거하여 9세기말경 제작이라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찬문은 불상이 아니라 벽화에 관한 내용으로 그 주장이 설득력을 잃게 되었으며 8세기 후반에 제작되었다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국내에 현존 불화는 거의 대부분이 18세기 이후에 제작된 것으로 현실적으로 이 시기의 작품을 연구의 대상으로 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불화 연구는 90년대들어 연구자가 증가하였고, 대상 시기도 조선전기와 고려시대로 넓혀졌다. 그러나 불화 연구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형식사 또는 도상학의 규명에 머물러 있어 방법론에서 그다지 발전하지 못한 인상을 준다. 불화연구의 주된 인식대상은 불화가 지닌 畵風이어야 하며 그 화풍을 인식함으로써 비로소 미술사대상으로서의 작품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불교미술연구는 해가 갈수록 연구 주제가 다양해지고 심층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상당한 수준의 연구성과 또한 적지 않아 명실상부한 한국미술의 중심 분야가 되었다. 현재 불교미술 연구 성과는 한국미술사의 다른 분야는 물론 불교사를 포함한 사상사, 역사학, 민속학 등 인접 학문에서도 참고하지 않을 수 없을 만큼 중요하게 여기게 되었다. 그러나 동시에 그 연구 성과는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으며 앞으로 해결하여야 할 과제 역시 적지 않다.

Buddhist art can be subdivided into areas of sculpture, painting, craft, architecture and etc. but this paper aims to analyze research achievements especially in the areas of Buddhist sculpture and painting.
No one raises doubts on the cultural, religious, historical, or art historical importance of Seokguram. However, in contrast with its fame, there still exists problems which remain unsolved. Above all, the Buddha of Seokguram has been called by different names such as Amitabha, Sakyamuni, or Vairocana by various scholars. Further, there are differing views regarding textual basis for Seokguram's iconography such as Buddha Dhyana Samadhisagara sutra, Avatamsaka sutra, Lalitavistara sutra and etc. This is due to the lack of written records and also sculptures in the stone cave are not simple enough to associate with a certain iconography.
Standing Maitreya Bodhisattva and standing Amitabha Buddha stone sculpture excavated from Gamsansa-ji temple site are important works because name, place of enshrinement, date of production, donor, religion, and style of sculpture can be known through inscriptions written on the sculptures. The 7th year of Gaewon(719) is largely understood as the year of completion rather than the starting year of making the two sculptures. While some scholars argue that Gamsansa-ji is a temple of the Dharmalaksana school, it is widely believed that specific Buddhist schools have not yet established during this period.
Seated Amitabha and Seated Vairocana bronze sculpture of Bulguk-sa temple are representative works from the Unified Silla dynasty. Some scholars argue that these sculptures are made in the late 9th century based on an eulogy. However, such argument lost its validity because the eulogy does not mention about the sculptures but rather about murals. It is now generally agreed that they are the works of the late 8th century.
Most of Buddhist paintings in Korea date to the 18th century and beyond, so most of researches have been mainly focused on the works of this period. However, scholars specializing in Buddhist paintings have increased in number since 1990s and also expanded the period of research to early Joseon and Goryeo dynasty. On the other hand, methodologies in the field of Buddhist paintings do not seem to have developed much as most of researches except for few remain in discussion of history of formalism or investigation of iconography. The main object in the study of Buddhist paintings lies in identification of style, and only when the style is recognized the very nature of works of art can be realized in the field of art history.
Research topics in the field of Buddhist art history are becoming more diverse and profound than ever before. In f
Table of contentsⅠ. 들어가는 말 968
Ⅱ. 불교조각 969
1. 石窟庵 佛敎彫刻 969
2. 甘山寺址 出土 石造彌勒菩薩立像과 石造阿彌陀如來立像 972
3. 佛國寺 金銅阿彌陀如來坐像과 金銅毘盧舍那如來坐像 975
Ⅲ. 佛敎繪畵 978
1. 연구 역사와 경향 978
2. 方法論 984
Ⅳ. 나가는 말 987
ISSN12250945 (P)
Hits90
Created date2021.11.05
Modified date2021.11.09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26984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