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한국 사리신앙의 전래와 성격=A Study of the Transmission and Character of Buddhist Relics(Śarīra) Worship into Korea
Author 장미란 (著)=Chang, Mi-ran (au.)
Source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Volumev.67 n.0
Date2013.10.31
Pages73 - 124
Publisher한국불교학회
Publisher Url http://ikabs.org/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동국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
Keyword중국의 사리신앙=the worship of sari in China; 한국의 사리신앙=the worship of sari in Korea; 사리=sari=Śarīra; 신이=Abhijñā; 오대산=Odaesan
Abstract사리는 붓다가 남긴 유해의 일부라는 상징성을 지녀 가장 신성한 물건으로 여겨지면서 사리에 대한 신앙은 중국은 물론 한국에 깊숙이 자리잡는다. 이것은 사리신앙이 시각화된 사리장엄구나 탑 등의 조형물을 통해서 알 수 있다.
한국의 사리신앙은 중국으로부터 전래되고 중국의 영향을 받게 된다. 사리신앙은 전래된 이후 두 나라 모두 왕의 전폭적인 후원과 보호 속에서 성행한다. 각 시대마다의 사리의 안치와 봉송, 이에 따른 의례의 형태, 규모 등을 통해 사리신앙의 정도를 알 수 있다.
먼저 사리신앙의 전개과정을 고찰하였다. 중국의 경우는 역사적으로 대표성을 띠는 아육왕사, 영녕사, 隋 文帝의 인수사리탑, 唐代의 법문사 사리공양법회를 들어 설명하였다. 한국의 경우는 조선을 기준으로 나누어 개략적으로 서술한 후, 사리신앙이 지니는 역사적 가치를 조명해 보았다. 이 때 조선시대 이전은 백제 미륵사탑, 조선시대는 오대산을 중심으로 하였다.
다음으로 사리신앙의 성격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이에 앞서 사리개념을 짚어보았다. 중국에 수용된 사리개념이 변화하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유골을 의미하는 사리의 개념은 중국에 수용되면서 불사리의 신성함을 강조하여 차별화한다. 불사리인 身舍利의 중시는 오랫동안 유지되다가 법사리로 범위가 넓어지고, 인조사리까지로 확대되어 신앙된다. 승려의 유해인 승사리는 주로 禪僧의 것이 전해진다. 이처럼 중국은 불사리를 가장 신앙하였음을 알 수 있다.
반면에 한국은 사리의 범주를 眞身舍利인 신사리와 법사리로 한다. 한국도 역시 불사리신앙을 최고로 여겼지만, 사리신앙의 전래초기부터 법사리를 중시하여 중국보다 먼저 활성화된다. 이는 중국과는 매우 다른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고승의 신사리는 부도에 봉안하거나 유골을 부수어 흙과 섞어 遺灰像을 만들어 강한 신앙성을 부여한다.
이러한 사리신앙은 感得에 의해 더욱 확산되고 感應에 의해 신앙심이 깊어지고 확고하게 된다. 또한, 왕들이 신통자재한 능력을 지닌 불타를 대신하는 진신사리를 소유하는 것이 전륜성왕으로서의 면모를 보여주는 척도로서 여겼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국과 한국 모두 사리의 가치가 커질수록 신앙심이 깊어져 사리신앙은 더욱 더 성행하게 된다. 또한, 한국의 사리신앙은 중국의 영향을 받았으나 독자적인 한국의 사리신앙으로 전개되고 발전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e word “Śarīra” which comes from Pali (Korean transliteration of “Sari”), refers to the remains of the Buddha and other spiritual masters. This thesis, after briefly outlining the background and the nature of Buddhist Relics(Śarīra) Worship, will attempt to examine the transmission, exploring questions as how the Śarīra cult origin.
Since Sari(舍利) has been considered as symbol of the most sacred object from the Buddha’s body, the worship to Sari in Korea as well as in China is still important. How the worship was in the countries above to Sari can be seen through magnificence of sculptures which store sari such as reliquaries and pagodas. The origin of worship to Sari in Korea is from China. In both countries, the distinctive religious culture of Sari became prevalent by supports and protections of King from the introduction. By periodic study of ritual scales and forms of enshrinements and procession one could imagine the periodical level of worship to Sari.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the evolution of the worship to sari was investigated. In the case of China, Ayuwangsi(阿育王寺), Yongningsi(永寧寺), the building-stupas project in the Renshou of the Sui Dynasty, and the puja ceremonies of sari in the Famensi of the Tang Dynasty are explaining the evolution of the worship to Sari as historical representation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on the historical value of the worship to sari before and after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in Korea. The stone pagoda at Mireuksa(彌勒寺址石塔) and Odaesan(五
臺山) considered as the representation of faith for the prior and actual period of Joseon dynasty
Second, I would like to look into the nature of the worship of sari. As the concept of sari accepted in China has changed, prior to this, I pointed out it. In general, the concept of sari which means human remains in China, have differentiated emphasizing the sanctity of sari. It has been maintained the emphasis of the Buddha’s sari, for a long
time, then was widen the range with the Dharma’s sari. As a result, it was expanded to be worshipped for the synthetic sari. It has been carried through the relic of the monks. Likewise, it was worshipped the Buddha’s sari in China most strongly.
Korea divided sari two categories : the relics of the Buddha’s true body sarira (jinsin sari) and the dharma body sarira(beopsin sari).
It was worshipped the Buddha’s sari in Korea most strongly as like the case of China, but it was activated earlier than China to attach importance to the Dharma’s sari from early on the early part of instruction of the worship of sari. This can be very different from China. The eminent monk’s sari to enshrine into pudo(浮屠) or the sculpture containing the cremains powder gives a strong faith.
The worship of sari was spread further by realization(感得) and
Table of contentsⅠ. 서언 76
Ⅱ. 중국의 사리신앙 76
1. 사리신앙의 수용과 성행 77
2. 중국 사리신앙의 성격 84
Ⅲ. 한국의 사리신앙 91
1. 사리신앙의 수용과 전개 91
2. 한국 사리신앙의 성격 112
Ⅳ. 결어 116
ISSN12250945 (P)
Hits186
Created date2021.11.09
Modified date2021.11.09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27131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