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티벳불교 명상의 역사적 단편 고찰 -- 쫑카빠 sNgags rim chen mo의 Carya-tantra를 중심으로=A Historical Portion in the Meditation System of Tibetan Buddhism oriented with Carya-tantra in sNgags rim chen mo |
|
|
|
Author |
정성준 (著)=Cheong, Seong-joon (au.)
|
Source |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
Volume | v.62 n.0 |
Date | 2012.02.28 |
Pages | 101 - 119 |
Publisher | 한국불교학회 |
Publisher Url |
http://ikabs.org/
|
Location | Korea [韓國] |
Content type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Language | 韓文=Korean |
Note | 저자정보: 동국대학교(서울) BK21 세계화시대 불교학 교육연구단 연구교수 |
Keyword | 秘密道次第論; 密敎; Carya-tantra; 卽身成佛; 微細瑜伽=Sukṣuma-yoga; sNgags rim chen mo; Wsoteric Buddhism |
Abstract | 티벳불교의 수행은 크게 현교의 제반수행을 아우르며, 동시에 밀교와 관련한 방대한 문헌과 실수체계를 이루고 있다. 티벳불교의 수행은 인도 대승불교의 전통을 계승한 역사적 배경 때문에 阿含의 위빠싸나로부터 대승불교 止觀과, 密敎의 生起次第, 究竟次第의 다양한 수행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서구에 소개된 티벳불교의 수행은 대부분 밀교에서 기인한 것이 대중적으로 많이 소개되어 있다. 밀교의 수행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수행체계를 이루는 밀교의 교리적, 실천적 토대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밀교수행의 토대를 이해하는데 요긴하다고 생각되는 논서는 티벳불교 겔룩파의 대학장인 쫑카빠의 『秘密道次第論』이며, 이 논은 쫑카빠 평생의 역작으로 티벳밀교수행을 망라하고 있다. 『비밀도차제론』에는 의례적 단계인 Kriya-tantra를 제외한다면, 行딴뜨라로 알려진 Carya-tantra에서 밀교의 출세간적 수행을 이해하기 위한 역사적 단초를 다수 찾아볼 수 있다. 쫑카빠는 Carya-tantra에 대해 『大日經』의 전거를 들고, 특히 8세기 인도에 활동했던 붓다구히야의 주석을 빈번히 인용해 그의 이론을 전개시키고 있다. 쫑카빠는 밀교의 교학적 토대가 瑜伽行中觀派의 이론을 계승한 것임을 밝히고, 이로부터 붓다의 色身의 구현과 그 수습을 궁극적 수행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쫑카빠는 『대일경』의 수행에서 이미 후기밀교의 딴뜨리즘의 수행의 기초가 되는 전거들이 풍부히 발견되고 있음을 밝힌다.
As an attempt to understand Tibetan Buddhist Meditation, the commentary sNgags rim chen mo provides some clues that most of the foundation of Practice systems shown in present Tibetan Buddhist Meditation were established already in the era of appearing Mahāvairocana sūtra. Historical fragments of Indian Buddhism that was melted into Tibetan Buddhism show that countless consideration were given to the establishment of Esoteric Buddhism by the Panditas of Yogacarya-madhyamaka school and those ideas are concerned with doctrines that provide validity of emanating Buddha's physical body for the purpose of saving sentient beings. Tsong kha pa considered Carya-tantra as a substruction of developing Anuttarayoga-tantra which ripening outer rites of Esoteric Buddhism into internal attempts to attain Buddhahood. A practice system of accomplishing Rupa-kaya in shown in Minute Recitation contains the contro of breath and wind of sustaining physical body which eventually developed to a foundation of Anuttarayoga-tantra system and the doctrinal system of discerning mundane world as a reality of Buddha's nature consides physical body of practitioner as a realm of reality, which realization rejoices the realm of senses, which background helps to understand the present Tibetan Buddhist Meditation system.
|
Table of contents | Ⅰ. 서언 102 Ⅱ. sNgags rim chen mo 딴뜨라 분류의 역사적 배경 105 1. Carya-tantra와 『대일경』의 지위 105 2. 대승불교 유가행의 계승 107 Ⅲ. Carya-tantra 의 성취이념 110 1. 一切智智의 수행이념 110 2. 색신성취와 미세유가 112 IV. 결어 115 |
ISSN | 12250945 (P) |
Hits | 155 |
Created date | 2021.11.16 |
Modified date | 2021.11.16 |
|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