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샤마타圖(Zhi gnas dpe ris)와 道次第(Lam rim)의 관계에 대한 검토=A Study on Relationship of Zhi gnas dpe ris and Lam rim |
|
|
|
Author |
차상엽 (著)=Cha, Sang-yeob (au.)
|
Source |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
Volume | v.32 n.0 |
Date | 2010.02.28 |
Pages | 65 - 85 |
Publisher | 韓國佛教研究院 |
Publisher Url |
http://kibs.or.kr/xe/
|
Location | Korea [韓國] |
Content type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Language | 韓文=Korean |
Note | 저자정보: 금강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HK연구교수. |
Keyword | 샤마타圖; 道次第=Lam rim; 구종심주=sems gnas dgu=九種心住; 보리도차제대론=Lam rim chen mo=菩提道次第大論; 쫑카빠=Tsong kha pa |
Abstract | 본고는 티벳의 샤마타圖와 『보리도차제대론』에 나타난 道次第(Lam rim)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티벳의 샤마타圖는 비빠샤나(觀)의 전제조건인 샤마타(止) 수행체계 중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라 할 수 있는 九種心住의 체계를 묘사한 것이며, 그 샤마타圖의 문헌전거로는 쫑카빠의 『보리도차제대론』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카지야마 유이찌는 청변의 『중관심론』등에 의거해서 샤마타圖의 인도 기원설을 주장하였지만, 문헌전거와 샤마타圖의 내용적인 측면을 고려해볼 때 중국의 목우도가 티벳의 샤마타圖에 영향을 끼쳤다고 유추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샤마타圖의 도안에 기재된 티벳어 설명에 의거할 때, 코끼리의 검은색이 마음의 가라앉음(bying ba, 沈沒), 원숭이가 마음의 散亂, 원숭이의 검은 색이 마음의 들뜸(rgod pa, 掉擧)을 상징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코끼리의 검은색을 무기력(惛沈), 원숭이를 들뜸(掉擧)으로 이해한 카지야마의 분석이 오류라는 점을 또한 알 수 있다. 그리고 가라앉음(沈沒)과 무기력(惛沈)을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한 카지야마의 분석은 쫑카빠의 샤마타 수행과 관련된 논의에서도 알 수 있듯이 잘못된 이해라는 점을 알 수 있다. 아울러 미마끼 카쯔미가 지적한 五鈷에 해당되는 지물이 리본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과일과 심벌즈, 그리고 향로와 거울 등도 포함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단계적인 수행체계를 묘사한 『보리도차제대론』의 道次第가 샤마타圖의 직접적인 모티브가 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Most meditative systems of Buddhism are represented as 'calm abiding' (zhi gnas, śamatha, zhǐ 止) and 'insight' (lhag mthong, vipaśyanā, guān觀). In Tibetan Buddhism, śamatha meditation practices are, in particular, illustrated by a painting known as Zhi gnas dpe ris, which introduces meditators to the theory and practice of meditation. Zhi gnas dpe ris symbolizes the progression of śamatha meditation stages, and does so in a series of pictures showing a monk taming an elephant and a monkey. The Tibetan Zhi gnas dpe ris is somewhat similar to the well-known ten Ox-Herding Pictures (Shíniútú 十牛圖) of East Asian Buddhism. The ten Ox-Herding Pictures that originated from China may have been an influence for the Tibetan Zhi gnas dpe ris. However, the Zhi gnas dpe ris differs from the ten Ox-Herding pictures,because the latter illustrate not the stages of śamatha meditation practice but rather the stages of enlightenment in Zen Buddhism, including both concentration (ting nge 'dzin, samādhi, dìng 定) and wisdom (śes rab, prajñā, huì 慧). Concerning the doctrinal background of Zhi gnas dpe ris, the motif is connected with 'the nine stages of mental abiding' (sems gnas dgu, navākārācittasthiti, jiǔzhǒng xīnzhù 九種心住), i.e., consecutive methods for settling the mind in meditation. In Indian Buddhist literature, the earliest textual source for the explanation on the nine stages of mental abiding is the Śrāvakabhūmi (Nyan thos kyi sa, Shēngwén dì 聲聞地) from within the Yogācārabhūmi (Rnal 'byor spyod pa'i sa, Yúqié shī dì lùn 瑜伽師地論). The Śrāvakabhūmi was instrumental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Indian meditative tradition, and became very influential for the Yogācāra literature, such as the explanations on śamatha found in the Madhyāntavibhāgabhāsya (Dbus dang mtha' rnam par 'byed pa'i 'grel pa,Zhōng biān fēnbié lùn中邊分別論) by Vasubandhu and Kamalaśīla's Bhāvanākrama (Sgom pa'i rim pa, Xiūxí cìdì 修習次第). In Tibetan literature, these Indian sources and their doctrines were adopted in many indigenous works on meditation, such as Tsong kha pa's Lam rim chen mo.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67 Ⅱ. 선행 연구 검토 68 Ⅲ. 道次第(Lam rim)를 통한 샤마타圖의 도상학적인 의미 해석 73 Ⅳ. 결론 81 |
ISSN | 12253154 (P) |
Hits | 159 |
Created date | 2022.01.23 |
Modified date | 2022.01.23 |
|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