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위빠사나 수행의 현대적 위상=Current Status of Vipassanā Meditation
Author 김재성 (著)=Kim, Jae-sung (au.)
Source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Volumev.26 n.0
Date2010.08.30
Pages299 - 360
Publisher韓國禪學會
Publisher Url http://www.seonstudy.org/seon/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Keyword위빠사나=vipassanā; 마하시 위빠사나 전통=vipassanā tradition of Mahasi; 마하시 사야도=Mahasi Sayadaw; 우 빤디따 사야도=U Paṇḍita; 우 자나카 사야도=U Janaka; 쉐우민 전통=Shwe Oo Min tradition; 우 떼자니야 사야도=U Tejaniya; 모곡 사야도=Mogok Sayadaw; 고엔카=Goenka; 우 바 킨=U Ba Khin; 파옥 사야도=Pa-Auk; 대념처경; 청정도론=Visuddhimagga; 입출식념; 사마타=samatha; ānāpanasati; Mahāsatipaṭṭhāna-suttanta
Abstract본고는 20세기에 대중화된 테라와다 불교 전통의 위빠사나 수행의 연원과 방법에 대한 고찰을 통해서 위빠사나의 현대적인 위상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미얀마의 위빠사나 수행의 전통을 마하시 전통과 그 외의 전통을 구분하여 고찰하였으며, 한국인이 접한 위빠사나 수행 전통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20세기를 대표하는 위빠사나 수행은 마하시 계통의 위빠사나이다. 마하시 사야도와 그 직제자들은 20세기 중반부터 미얀마의 수도 양곤을 중심으로 위빠사나를 승가는 물론 일반대중에게 지도하기 시작하였다. 마하시 전통의 위빠사나의 특징은 좌선과 걷기 명상을 기본적인 수행자세로 하여 두 자세의 시간을 균등하게 배분할 것, 일상동작을 천천히 하면서 알아차릴 것을 강조하며, 개인 점검을 통해 수행자의 수행 상태를 확인해 주는 것을 들 수 있다. 좌선할 때, 일차적인 관찰의 대상으로 호흡에 동반된 복부의 움직임을 있는 그대로 관찰할 것, 걷기 명상에서는 걷는 동작과 다리의 감각 등을 알아차릴 것을 강조하며, 마음챙김을 확립시키기 위해서 ‘명칭’을 붙이는 것을 권하고 있다. 또한 잠에 들어있지 않은 모든 시간에 모든 동작을 세밀하게 알아차리라고 한다.
마하시 계통이면서 마음에 대한 관찰인 심념처(心念處)수행을 강조하는 쉐우민 센터에서는 무리해서 대상에 집중하기 보다는 자연스런 자세에서 나타나는 대상과 마음 상태를 알아차릴 것을 강조한다.
모곡 사야도의 수행은 입출식념에 근거한 위빠사나와 12연기 법문을 수행에 적용시키는 수행법으로 유명하다. 고엔카 전통의 위빠사나에서는 10일간의 집중수행 동안 3일간의 입출식념과, 7일간의 몸의 감각을 대상으로 한 위빠사나 수행을 강조하며, 좌선위주로 수행한다. 파옥 전통은 『청정도론』에 입각하여, 선정 수행(사마타)을 먼저 닦은 후에 위빠사나 수행을 닦을 것을 강조한다. 선정 수행을 입출식념을 시작으로 카시나를 이용하거나 사무량심을 닦으며 다양한 사마타 수행법을 익힌다. 선정 체험이 된 수행자는 지수화풍의 사대 관찰을 통해 위빠사나로 진입한다.
이러한 위빠사나 수행은 초기경전(초전법륜경, 대념처경 등)과 『청정도론』에 근거를 두고 현대의 스승들이 대중화한 수행법이다. 많은 사람들이 실제적인 수행을 통해서 경전에 제시된 수행의 이익을 경험하고 있다는 점은 현대인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전한다고 볼 수 있다. 그것은 붓다의 가르침의 유익함이 위빠사나 수행에 의해서 현재 체험되고 있다는 메시지이다.

In this paper,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origin and method of vipassanā of the Theravāda Buddhist tradition in the 20th century, I attempted to study of the modern status of vipassanā meditation. Especially the Mahasi tradition of vipassanā meditation and other traditions in Myanmar were classified, I focused on the vipassanā traditions which were practiced by Koreans.
The Mahashi tradition is the vipassanā meditation which represents the 20th century. Mahasi Sayadaw and his disciples started to teach vipassanā meditation not only to the sangha members but also to lay people. The features of Mahasi vipassanā tradition inlcude teaching sitting and walking meditation together, emphasizing to aware of daily activities, and doing personal interview. During the sitting meditation, the primary object of observation is the movement of the abdomen which is associated with the respiratory system. During walking meditation, the movement of leg and the sensation of the leg are the main objects to observe. In order to establish mindfulness, 'labeling' the object is encouraged. Also, except when one is sleeping, careful awareness should be applied to all activities at all times.
At the Shwe Oo Min Center, a center of Mahasi tradition, the teachers emphasize mindfulness of mind(cittānupassanā). They teach practitioners to be aware of the objects which arise in natural posture and the mind, rather than focusing on a specific object
Mogok Sayadaw's vipassanā is famous on the application of mindfulness of breath and his discourse on Dependant-origination to the meditation. In the Goenka tradition of vipassanā, during a 10 days intensive meditation course, the practitioner practices mindfulness of breath for the first three days, and subsequently they practice vipassanā meditation by focusing their awareness on bodily sensations for 7 days. The Pa-Auk tradition, based on Visuddhimagga, concentration meditations(samatha) are practiced first. After attaining concentration, vipassanā meditation should be practiced.
These kinds of vipassanā meditation are based upon early Buddhist discourses (Dhammacakkappavattana -sutta, Mahāsatipaṭṭhāna-suttanta) and Visuddhimagga. The modern Buddhist meditation masters popularized these methods to the public. The most important message is that many people have experienced the benefits of meditation which are presented in the early Buddhist discourses. The meaning of this message is that usefulness of the teachings of the Buddha has currently been experienced by those who practice vipassanā meditation.

Table of contentsⅠ. 들어가는 말 299
Ⅱ. 마하시 전통 302
1. 마하시 사야도 - 교학과 수행을 겸비한 스승 303
2. 우 빤디따 사야도(U Paṇḍita Sayadaw) 314
3. 우 자나까 사야도 319
4. 쉐우민 전통 324
Ⅲ. 모곡 사야도 327
Ⅳ. 고엔카 전통 332
Ⅴ. 파옥 전통 339
Ⅵ. 맺는 말 347
ISSN15980588 (P)
Hits193
Created date2022.03.23
Modified date2022.03.23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36671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