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佛敎 和合僧의 실현에 대한 一考 -- 의식주의 공평한 분배를 중심으로=A Thought of Fulfilling Harmonious Buddhist Samgha through Food, Clothing, and Shelter |
|
|
|
Author |
신성현 (著)=Shin, Sung-hyun (au.)
|
Source |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
Volume | v.32 n.0 |
Date | 2012.08.30 |
Pages | 195 - 218 |
Publisher | 韓國禪學會 |
Publisher Url |
http://www.seonstudy.org/seon/
|
Location | Korea [韓國] |
Content type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Language | 韓文=Korean |
Note | 저자정보: 동국대학교 |
Contents note | |
Keyword | 화합승; 옷=clothing; 음식=food; 주처; 물품; 사방승가; 현전승가; 갈마=kamma; harmohious buddhist samgha; shelter; commodities; cātuddisa- saṃgha; sammukhībhūta-saṃgha |
Abstract | 승가의 생활은 안거제도가 시행되면서 급속하게 변화한다. 안거는 정주생활과 아울러 공동생활을 하는 계기가 되었다. 공동생활을 한다는 것은 대중의 화합을 전제로 한다. 대중의 화합이 깨어진다면 승가는 존속될 수 없다. 불교승가를 명확히 특징짓는 단어는 화합승이다. 따라서 승가의 모든 생활은 화합을 지향하여야 한다. 승가의 대중은 현전승가에서 공동으로 의식주 생활을 하여야 한다. 공동으로 의식주 생활을 하는 것은 사방승물을 공평하게 배분하여 사용하고, 승가에 보시되는 물품을 평등하게 분배하는 것이다. 의식주 생활의 화합은 현전승가의 모든 대중들이 보시물에 대하여 욕심을 내지 않고, 분배해 주는 것을 만족스럽게 받아서 간소한 생활을 추구할 때 이루어진다. 승가는 검소한 생활을 하면서 재가자가 보시하는 물품을 받아서 사용하는 것을 허락하였다. 승가는 재가자가 사용목적을 지정하여 보시하는 비용을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사방승가에 보시하는 물품들을 개인에게 돌리거나 현전승가에 분배할 목적으로 구한 물품을 개인에게 돌리는 등의 어떠한 행위도 금지하였다. 이것은 승가의 전 대중들이 공평하게 분배하고, 사용할 수 있는 권리를 빼앗는 것으로 승가의 공동생활에 저해가 되므로 금지한 것이다. 그리고 승가는 의식주의 분배와 사용에 공정성을 위해서 知事比丘를 선출하였다. 승가의 대중은 지사비구의 물품 분배에 다소 불만이 있을지라도 표출할 수 없고, 물품 관리의 전권을 위임받은 소임자의 분배에 만족해야 한다. 이로써 승가는 의식주의 공동생활을 원활히 유지할 수 있었고, 화합이 성립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승가화합은 승가 구성원들이 의식주를 공동생활로 하는데서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붓다는 승가의 공동생활을 저해하는 악행을 금지하는 규칙을 율로서 제정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바라제목차(pātimokkha)를 통해 상세히 볼 수 있다.
The life of Buddhist priesthood has been deeply changed as a system of settle-down was established, which has also paved the way for communal life along with staying in a certain place rather than going around. Communal life is based on the premise of public's harmony; once it is broken, the Buddhist priesthood cannot be continued. One of the key words to characterize the Buddhist priesthood is a harmonious Buddhist Samgha. Therefore, harmony should be the path for every perspective of the Buddhist priesthood life. Public of the Buddhist priesthood should live a communal life through food, clothing, and shelter in sammukhībhūta- saṃgha, which means an equal distribution and usage of commodities and temple offering. Moreover, a harmonious Buddhist Samgha can be fulfilled as every public in sammukhībhūta-saṃgha is not greedy for temple offering, satisfied with what was distributed to achieve simple life. While living a simple life, receiving and using temple offering from home-staying Buddhist was permitted in the Buddhist Samgha. In addition, it was prohibited for the Buddhist priesthood to use expenses of temple offering for other purposes by assigning purpose of usage from a home-staying Buddhist. Also, the Buddhist priesthood has warned that giving individuals temple offering for cātuddisa-saṃgha, and purchasing commodities and giving them individuals with a purpose of distribution as it impedes communal life by depriving public of the right for distribution and usage. To attain justice in distribution and usage of food, clothing, and shelter, the Buddhist nuns was selected who was responsible for managing commodities. Even though there may be somewhat dissatisfaction with the distribution of commodities, public should not express it, while they should be satisfied with the distribution by the manager. In this way, communal life can be sustainable without difficulties and ultimately it can achieve a harmony. To sum up, the harmony of the Buddhist priesthood can be achieved through a communal life of its members. As such, the Buddha made rules to prohibit misdeeds hindering communal life of the Buddhist priesthood, which also could be explored through pātimokkha.
|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문 195 Ⅰ. 서언 197 Ⅱ. 화합승의 의미 197 Ⅲ. 의식주의 공평한 분배 201 1. 옷의 분배 203 2. 음식의 분배 205 3. 주처의 분배 208 Ⅳ. 물품의 공평한 분배 210 Ⅳ. 결론 213 Abstract 215 참고문헌 217 |
ISSN | 15980588 (P) |
Hits | 132 |
Created date | 2022.04.19 |
Modified date | 2022.04.19 |

|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