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벽암록』 제63칙 남전참묘(南泉斬猫)와 제64칙 조주재혜(趙州載鞋) 의 분석=An Analysis of the 63th Gongan, Namjeon Kills a Cat and the 64th Gongan, Joju puts his straw sandals on his head in the Blue Cliff Record
Author 박인성 (著)=Park, In-sung (au.)
Source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Volumev.56 n.0
Date2020.08.30
Pages5 - 31
Publisher韓國禪學會
Publisher Url http://www.seonstudy.org/seon/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불교학부 교수
Keyword말하라=If you can speak; 그러면 베지 않겠다; 고양이를 베다=cutting off the cat; 짚신을 벗어 머리에 이 다; 바깥으로 나가다; 사구와 활구; 무의미와 의미; I won’t kill it; putting straw sandals on the head; taking off straw sandals; the living phrase; nonsense
Abstract『벽암록』 제63칙 「남전참묘」와 제64칙 「조주재혜」는, 『종용록』과 『무문관』 같은 공안집에서 한데 묶여 하나의 공안으로 되어 있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서로 밀접하게 연관돼 있다. 제63칙에서 남전은 고양이를 두고 ‘이다’, ‘아니다’ 하며 다투고 있던 승려들에게 “말하라, 그러면 베지 않겠다”고 명령을 내렸으며, 승려들이 아무 말도 하지 못하자 고양이를 베었다. 제64칙에서 조주는 승려들이 아무 대답도 못했던, 남전의 “말하라, 그러면 베지 않겠다”는 말에 짚신을 벗어 머리에 이고 바깥으로 나가는 행동을 취해 대응했다.
남전의 “말하라, 그러면 베지 않겠다”는 말은 승려들로 하여금 ‘이다’, ‘아니다’를 보류하게 하는 동시에 의문을 생성하게 했고, 승려들이 아무 말이 없자 고양이를 벤 행동은 ‘말하다’, ‘말하지 않다’를 보류하게 하는 동시에 의문을 생성하게 했다. 남전의 말과 행동은 이렇듯 물음을 생성하게 하는 문제이기에 무의미의 활구(活句)이다.
짚신을 벗어 머리에 이고 바깥으로 나간 조주의 행동은 “말하라, 그러면 베지 않겠다”는 남전의 말에 대응하여 취한 행동이지만, 남전의 물음에 대한 답인 것은 아니다. 조주의 행동 역시 남전의 행동과 마찬가지로 ‘말하다’와 ‘말하지 않다’는 긍정과 부정을 벗어난 무의미의 활구이다.
“말하라, 그러면 베지 않겠다”는 남전의 명령에 대응하여 승려들은 아무 말도 하지 못했지만, 조주는 짚신을 벗어 머리에 이고 바깥으로 나가는 행동을 취함으로써 말함과 말하지 않음의 양 극단에서 벗어나 남전의 기봉(機鋒)에 기봉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

The 63th Gongan[公案], Namjeon[南泉] Kills a Cat and the 64th Gongan, Joju[趙州] puts his straw sandals on his head in the Blue Cliff Record, as we see that both Gongans are brought together into one,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63th story, when Namjeon saw the monks of the east and west halls arguing over a cat, he held up the cat and said “if you can speak, I won’t kill it”. At the moment no one replied, he cut the cat in two. In the 64th story, Joju responded to the Namjeon’ words, “If you can speak, I won’t kill it” by taking off his straw sandals and putting them on his head.
Namjeon’s words, “If you can speak, I won’t kill it” made the monks suspend arguing over the cat, and at the same time generate a question as to what we were going to answer. His behavior that he cut off the cat made the monks suspend saying or not saying, and generate a question as to why their teacher cut off the cat. As such, Namjeon’s words and behavior are the living phrases[活句] of nonsense since they are the problems that gernerate questions by which the monks and we who read this story try to resolve. Joju’s behavior is not the answer to the question “If you can speak, I won’t kill it”, even though it responded to Namjeon’s words. Joju’s behavior is the living phrase of nonsense that deviated from the affirmation and negation, like Namjeon’s behavior.

Table of contents국문 초록 5
Ⅰ. 들어가며 6
Ⅱ. 제63칙의 분석과 원오의 평창 7
1. 제63칙의 분석 7
2. 원오의 평창 11
Ⅲ. 제64칙의 분석과 원오의 평창 17
1. 제64칙의 분석 17
2. 원오의 평창 22
Ⅳ. 나오며 26
【참고문헌】 29
Abstact 30
ISSN15980588 (P)
Hits142
Created date2022.06.05
Modified date2022.06.05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41770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