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불교계 사회적기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A study on activation alternatives of the buddhist social enterprise
Author 김학주 (著)=Kim, Hak-ju (au.)
Source 선문화연구=禪文化硏究=Studies of Seon Culture
Volumev.18 n.0 만해 용운스님 70주기 추모특집
Date2015.06
Pages485 - 516
Publisher한국불교선리연구원=The Korean Institute of Buddhist Seon
Publisher Url http://seonli.or.kr/
LocationSeoul, Korea [首爾,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복지학과 교수
Keyword불교계 사회적기업; 사회적 경제; 사회복지=Buddhist Social Welfare; 경제적 이익; 사회적 편익; 지역사회; Market; Third Sector; Social Paradigm; Social Enterprise
Abstract불교계 사회적기업의 활성화는 21세기 새로운 사회적 경제체제를 구축하고 민간시장에서 효과적으로 작동되도록 복지정책 및 프로그램을 개선하고 취약계층을 위한 고용시장을 창출하는 등의 긍정적 기여를 하고 있다. 불교사회복지와 사회적 경제의 발전은 다시 사회적기업을 위한 토대를 재생산한다는 의미도 갖고 있다. 그래서 불교사회복지-불교계 사회적기업-사회적 경제의 선순환적 발전 경로를 구축하는 것이 미래의 사회, 경제적 발전의 핵심과제라고 이해할 수 있다. 포교와 함께 다양한 복지영역에서의 사회적 욕구(need)를 만족시키고 대승불교적 실천으로 그 사명을 감당해야 할 책임과 사명을 지니고 있다. 불교계 사회적기업은 이러한 총체적 임무를 성취할 수 있는 효과적인 도구로 사용된다. 불교계 사회적기업은 포교와 함께 불교적 실천으로 일상생활영역에서의 지역사회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 공익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성취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필요에 대한 분명한 인식이 필요하다. 일반 사회적기업의 과거 실패역사를 답습하기 보다는 지역사회가 필요한 것들을 정확히 알고 참여해야 한다. 불교계 사회적기업의 경제활동 참여는 지역사회의 소외 계층들이 자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찰이 사회의 가장 필요한 부분에서 보살행을 실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시장의 참여자들의 불교계 사회적기업의 가치에 대한 확신이 중요하다. 조직 운영주체들은 경영활동을 통해 사주나 주주의 이익을 만드는 것에만 목적을 두지 않고 불교의 사회적 목적을 실현하는데 핵심가치를 두어야 한다.

Activation of the buddhist social enterprise is making such a positive contribution to building a new 21st century economy and improves the social welfare policies and programs that work effectively in the private market as well as creating employment market for vulnerable groups. The buddhist social welfare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economy has also meant that again rebuild the foundation for social enterprises. So The buddhist social welfare – social economy - buddhist social enterprise can be an virtuous cycle of social and economic development path. Needs of a community which is involving with social, environmental, political, cultural, and educational background would be met in a variety of areas in process of achieving the social enterpises’ mission and responsibility to deal with its mission as a Mahayana Buddhist practice. So, the buddhist social enterprise is used as an effective tool to achieve this holistic mission. Such social recognition of the needs of the community is required to effectively achieve the purpose of public interest. the buddhist social enterprises involved may play a role in practice bosalhaeng in the most necessary parts of the disadvantaged in communities.
Table of contents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486
Ⅱ. 사회적기업에 대한 이론적 배경 491
1. ‘사회적기업’의 개념적 정의 491
2. 사회적기업의 발전유형 497
Ⅲ. 불교계 사회적기업에 대한 활성화 방안 503
1. 사회적기업의 불교사회복지적 의의 503
2. 불교계 사회적기업의 당면과제와 해결방안 505
Ⅳ. 결론 508
ISSN1975857X (P); 26715708 (E)
Hits79
Created date2022.07.23
Modified date2022.07.23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46015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