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현공 묵암의 화엄사상에 대한 고찰=A Consideration on the Hwaeom Thought of Hyeongongn Mukam
Author 장진영 (著)=Jang, Jin-young (au.)
Source 선문화연구=禪文化硏究=Studies of Seon Culture
Volumev.21 n.0 개원10주년 특집
Date2016.12
Pages43 - 86
Publisher한국불교선리연구원=The Korean Institute of Buddhist Seon
Publisher Url http://seonli.or.kr/
LocationSeoul, Korea [首爾,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원광대학교 마음인문학연구소 HK교수
Keyword현공 묵암=玄空黙庵=尹柱逸=Hyeongong Mukam=Yun, Ju-il; 화엄=Hwaeom; 일승원교=Ilseung-wongyo or consummate teachings of the one vehicle; 성기론적 연기론=性起論的緣起論=theory of co-arising based on nature-arising; 보현행원=Bohyeon-haengwon or Samantabhadra's Practice and Vows
Abstract현공 묵암(玄空黙庵, 尹柱逸)에게 화엄사상은 발심에서 열반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사상적 원천이었다. 그는 18세 경, 용성 선사로부터 심조만유론(心造萬有論)과 화엄법관(華嚴法界觀)에 대해 듣고 발심하였고, 75세에 열반에 이르기까지 모든 포교와 교육의 중심에 화엄이 있었다. 현공은 특히 용성의 유업을 계승하여 『화엄경』의 한글 번역 및 주해에 깊은 관심을 가졌으며, 만해의 『불교대전』보다 많은 화엄 관련 문헌을 인용하고 있는 『불교대성전』을 편저하는 등 불교(특히 화엄)의 대중화에 전념하였다. 본고에서는 현공의 화엄사상을 고찰하기 위해 먼저 화엄관련 문헌목록을 검토하였다.그 중 『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에 대한 한글 번역과 『대방광불화엄경』의 「세주묘엄품」에 대한 일부 주해(註解)에 주목하였다. 또한 『불교대성전』과 『불교의 우주론』 등 현공의 기타 저술에서 인용 및 기술된 화엄 관련 내용을 함께 검토하였다. 이상에서 현공의 화엄사상에서 세 가지 특징을 고찰해보았다. 교판론에서는 화엄을 일승원교(一乘圓敎)로 보는 전통의 견해와 함께 천태가 동교일승(同敎一乘)과 점입일승(漸入一乘)이라면, 화엄은 별교일승(別敎一乘), 돈교일승(頓入一乘)이라 하여 화엄우위의 입장을 견지하였고, 연기론에서는 삼승연기인 진여연기설을 ‘일상고문(一相孤門)의 연기론’이라 한 반면 화엄의 일승연기인 무진연기설을 ‘성기론적 연기론’이라 주장하였으며, 실천론에서는 보현행원(普賢行願)의 실천을 강조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Hyeongong Mukam(Ju - Il Yun)’s Hwaeom thought originated from his state of enlightenment. At age 18, he heard the teaching “All things are created by the mind alone” (心造萬有論) and the meditative perspectives on the Hwaeom Dharmadhatu (華嚴法界觀) from Seon Master Youngseong. Hyungong spent the rest of his life educating and disseminating his teaching until his passing at the age of 75. In this paper, I explore Hyeongong’s literature on Hwaeom, especially his Korean translation of the Boyeonhaengwon-pum and commentary of the Sejumyoeom-pum in the Avatamsaka sutra. I explain three characteristics of Hyeongong’s Hwaeom: First, in his theory of taxonomy, he regarded Hwaeom as Ilseung-wongyo or the “consummate teachings of the one vehicle” according to the viewpoint of the traditional Hwaeom school; second, he emphasized the theory of co - arising based on nature-arising. Finally he elucidated Bohyeon-haengwon or Samantabhadra's Practice and Vows.

Table of contentsⅠ. 들어가며 44
Ⅱ. 현공의 『화엄경』 관련 문헌 47
1. 현공의 화엄 관련 문헌검토 47
2. 『화엄경주해』의 번역과 주해의 특성 53
3. 『불교대성전』의 화엄경문 인용 경향 58
Ⅲ. 현공의 화엄사상에 나타난 특징 60
1. 일승원교와 별교일승 60
2. 성기론적 연기론 65
3. 보현행원의 실천 67
Ⅳ. 나가며 71
ISSN1975857X (P); 26715708 (E)
Hits37
Created date2022.07.24
Modified date2022.07.24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46075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