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팔상성도(八相成道)의 시현(示現)과 대승불전의 붓다관 -- 수능엄삼매(首楞嚴三昧)와 시현팔상(示現八相)=Presentation of the Buddha’s Life in Eight Stages (八相成道) and the Descriptions of the Buddha in the Mahayana Buddhist Texts: The Meditation of Śūraṃgama-samādhi (首楞嚴三昧) and the Vision of the Buddha in Eight Stages (示現八相) |
|
|
|
Author |
석길암 (著)=Seok, Gil-am (au.)
|
Source |
불교학보=佛教學報
|
Volume | v.96 n.0 |
Date | 2021.09 |
Pages | 9 - 32 |
Publisher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
Publisher Url |
https://abc.dongguk.edu/kbri/
|
Location | Korea [韓國] |
Content type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Language | 韓文=Korean |
Note | 저자정보: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불교학부 교수 |
Keyword | 수능엄삼매=首楞嚴三昧=Śūraṃgama-samādhi; 시현팔상=示現八相=the Vision of the Buddha in Eight Stages; 팔상성도=八相成道=Presentation of the Buddha’s Life in Eight Stages; 수능엄삼매경=首楞嚴三昧經=Śūraṃgama-samādhi Sutra, Nirvana Sutr; 열반경=涅槃經; 십지경=十地經= Daśabhūmika Sūtra; 화엄경=華嚴經=Flower Garland Sutra |
Abstract | 본 논문은 한국적 팔상성도관의 전(前) 이해로서, 팔상성도(八相成道)라는 동아시아 대승불교의 붓다관 혹은 붓다전기를 대표하는 관념이 어떻게 성립되었는가를 해명하려 하였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팔상성도(八相成道)’ 혹은 ‘시현팔상(示現八相)’으로 일련의 대승경전군에서 전형화된 붓다 전기 이해가 가지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시현팔상’의 ‘시현(示現)’은 응화신(應化身)의 붓다를 의미한다. ‘시현팔상’이라는 관점이 형성된 기원이 되는 경전은 『광찬반야경』·『방광반야경』이 언급하고 있는 ‘수능엄삼매’이다. 이때의 수능엄삼매는 법신 그리고 마하연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그것을 계승하여 『수능엄삼매경(首楞嚴三昧經)』이 성립되었다. 『수능엄삼매경』에서 수능엄삼매는 십지보살의 삼매로 규정되며, 또 여기에서 처음으로 시현팔상의 원형이 등장한다. 『화엄경』과 『대반열반경』은 수능엄삼매의 개념을 확장하고 보살의 실천행과 연계하여 재해석한다. 『열반경』은 수능엄삼매를 불모(佛⺟)·불성(佛性)으로 재해석하며, 『십지경』은 수능엄삼매를 법운지(法雲地) 보살이 성취하는 일체불국체성삼매(⼀切佛國體性三昧)로 재규정한다. 『화엄경』의 「불부사의법품」과 「이세간품」은 팔상의 각 상이 가지는 의미를 다시 확장하고 부연함으로써 ‘시현팔상’의 대승적 붓다관을 종합하고 있다. 이 같은 일련의 과정은 법신의 붓다라는 관점에 기초하여 응화신의 붓다를 중심으로 하는 대승의 붓다관을 체계화하는 과정이다. 그리고 부파불교의 색신의 붓다를 중심으로 하는 붓다관에 대응하여 새롭게 대승의 붓다관을 재정립한 과정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또 6세기 중후반의 중국과 동아시아 불교인들 사이에 붓다의 전기를 ‘팔상성도’를 중심으로 하는 응화현의 붓다라는 전형적인 도식으로 받아들이게 되는 계기를 제공한 것이 바로 이들 수능엄삼매와 시현팔상을 설하는 대승경전들이라고 추정된다. 따라서 ‘시현팔상(示現八相)’의 관점을 기반으로 한 동아시아 대승불교의 팔상성도는 동아시아 불교전통에서 나타나는 이해하는 붓다관의 전형이면서, 대승불교 내부에서 추구해 간 붓다관의 전형이며, 나아가 중국불교 대승화의 전환점을 보여주는 하나의 사례이기도 하다고 생각된다.
As a preliminary understanding of the Korean view of the Buddha’s life in eight stages, this thesis purported to elucidate how the notion of the Buddha’s life in eight stages (八相成道), a concept representing the Buddhist view on the biography of the Buddha in East Asian Mahayana Buddhism, was established. And in the process, it purported to elucidate the significance of the Buddhist understanding of the biography of the Buddha, typified in a series of Mahayana Sutras with “the presentation of the life of the Buddha in eight stages (八相成道)” or “the vision of the Buddha in eight stages (示現八相)”. In “the vision of the Buddha in eight stages (示現八相)”, they portray the Buddha as an incarnated being (應化身). The sutra as the origin of the view of the Buddha in eight stages is the Śūraṃgama-samādhi, which is mentioned in the Pañcaviṃśati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 Sutra (光讚般若經) and the Light-emitting Perfection of Wisdom Sutra, in which the Śūraṃgama-samādhi is another name of the dharma body or the Mahayana. The Śūraṃgama-samādhi Sutra was established as a succession of it. In this sutra, which also portrays the prototype of the vision of the Buddha in eight stages for the first time, it is presented as the samādhi of the boddhisattva in the tenth stage. The Flower Garland Sutra and the Great Nirvana Sutra expand the concept of the Śūraṃgama-samādhi, reinterpreting it in connection with the bodhisattva practice. The Nirvana Sutra reinterprets it as the mother of the Buddha and the Buddha-nature, and the Daśabhūmika Sūtra redefines it as the samādhi of fundamental nature in every Buddha land that is achieved by the Bodhisattva at the stage of the dharma-cloud. The chapters of “The unthinkable dharma of the Buddha” and “Leaving this world” in the Flower Garland Sutra summarizes the Mahayana view of Buddhahood in the vision of the Buddha in eight stages by expanding and amplifying the meaning of each stage. This series of processes is a process of systematizing the view of the Mahayana Buddha centered on the incarnated Buddha based on the notion of the Buddha as dharma body. It can also be understood as the process of re-establishing the view of the Buddha in Mahayana in response to the notion of the Buddha centered on the incarnated Buddha in Southern Buddhist schools of early Buddhism. Also, among Chinese and East Asian Buddhists in the mid to late 6th century, the biography of the Buddha was accepted according to a typical schema of the incarnated Buddha (rupakaya or nirmāṇakāya) centered on the eight stages, which is presumed to be due to the Sutras that teaches Śūraṃgama-samādhi and the vision of the Buddha in eight stages. Therefore, the Mahayana Buddhist vision of the Buddha in eight stages in East Asia based on the perspective of Eight stages is a typical view of the Buddha that we understand in East Asian Buddhist tradition, which forms the basis of |
Table of contents | Ⅰ. 논의의 계기 11 Ⅱ. 색신(色身)의 붓다, 응화신(應化身)의 붓다 13 Ⅲ. ‘시현팔상(示現八相)’의 전제로서 수능엄삼매의 성립 17 1. 색신의 붓다에서 응화신의 붓다로 17 2. 수능엄삼매의 변화; 『광찬반야경』과 『수능엄삼매경』 그리고 『열반경』 19 Ⅳ. 『화엄경』과 팔상성도, 그리고 일체불국체성삼매(⼀切佛國體性三昧) 23 Ⅴ. 남아있는 문제 27 |
ISSN | 12261386 (P) |
DOI | 10.18587/bh.2021.9.96.9 |
Hits | 350 |
Created date | 2022.08.08 |
Modified date | 2022.08.08 |
|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