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근현대 일본의 국가권력과 종교=he state power and religion in modern Japan
Author 원영상 (著)=Won, Yong-sang (au.)
Source 불교학보=佛教學報
Volumev.53 n.0
Date2009.12
Pages137 - 160
Publisher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Publisher Url https://abc.dongguk.edu/kbri/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원광대학교 강사

Keyword근대일본=Japan in modern times; 국가권력=state power; 신도국교화=Shintoism as a state religion; 제정일치=theocracy; 군국주의=militarism; 교육칙어=the Royal Message for Education; 국체론=the theory of national polity; 종교단체법=the law for religion groups; 평화헌법=Peace Constitution; 종교의 자유=freedom of religion
Abstract근대일본의 국가권력과 종교의 관계는 제정일치의 국가 형성을 지향한 근대초기로부터 이를 일관한 입헌군주제 국가헌법의 제정과 더불어, 군국주의 노선 확립을 위한 치안유지법과 종교단체법의 제정을 기반으로 한 종교통제를 통해 종교가 국가에 예속되어 가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먼저 근대의 출발점은 국가적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국가주도의 신불분리(神佛分離) 정책을 통한 천황중심의 제정일치 국가의 확립에 그 목표가 있었다. 이를 위해 각종 기관을 설치하여 신도국교화 정책을 펼쳤으며, 천황제 국가 성립의 정당성 홍보를 위해 교칙(敎則) 3조를 두어 국민에게 가르치게 하거나 천황을 중심으로 한 국가의례나 축일 등을 제정하기도 하였다. 또한 입헌군주제를 지향한 제국헌법 제정을 통해 천황을 법률적으로 최고의 권위로 두는 한편, 교육현장을 통한 교육칙어(敎育勅語)의 훈습과정에서 천황숭배의 논리를 펼쳐나가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국체론(國體論)이라고 하는 이데올로기를 확립해 가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종교계의 자기검열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더불어 종교단체법의 제정은 전쟁국가 일본의 군국주의화를 지탱하는 도구로써 기능하기 시작하였다. 여기에 치안경찰법, 치안유지법, 국가총동원법, 그리고 패전에 가까워 오면서 제정된 각종 법률은 전시체제 하에서 종교는 물론 국민을 전쟁의 도구로 이용하기 위한 법률로 이용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종교계에 대한 탄압은 물론, 특히 불교계에 있어서는 황도불교화의 길을 걷지 않을 수 없었다. 패전 후에는 이러한 군국주의 유산은 철폐되고, 소위 평화헌법을 통해 비로소 종교의 자유를 획득하고는 있지만 여기에도 여전히 근대 일본의 과거가 투영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탈정치나 탈종교를 명문화한 천황제의 존속이나 종교의 정치에의 참여는 여전히 과거와 연동되어 일본 국내의 논쟁의 요소로 남아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근현대일본의 국가와 종교의 관계를 통시적으로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한 과거와 현재의 문제가 여전히 일본 내에서 뿐만이 아니라 주변국가와의 관계에서도 중요한 요소임을 드러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power and religion in modern Japan can be seen as process to be subjugated to nation under controlled conditions based on the constitutional monarchy in the early years of modern times, and the law for keeping the peace and the law for religion groups that was legislated for settling militarism system. The the Meiji government in the early years of modern times had aim to set up the nation of theocracy centered on power of an emperor through religion policy to segregate Buddhism from Shintoism for shaping a strong national identity. The government established various government agencies for this policy of Shintoism as a state religion, enacted three provision to teach the people for legitimacy of theocracy, and created formality and days of celebration for a monarchy. Nationalists in the government let an emperor put on position of the highest authority under law through enactment of the Empire Constitution for constitutional monarchy, and the people accept the legitimacy of theocracy through the Royal Message for Education in every schools. The processes like these made important chances to establish a ideology of the theory of national polity, consequently religious orders voluntarily censored themselves. Also, the law for religion groups functioned as a tool to support Japanese militarism. In addition to it, the policing law for national security, the law keeping national security, the general mobilizing law for nation, and all sorts of law was used as tools to let religions and the people enter into war under war structure. Religious world had to hew to the militarism line by a series of these laws which became tools to gag the religions too.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 power and religion also after war lie as problem to do with the past, although the legacies of militarism was removed, and, what is called, the people achieved freedom of religion by Peace Constitution. Maintenance of emperor system in the law, and religion`s engagement in politics lie as important points of dispute now. This thesis historically can be catched hold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ate power and religion in modern times of Japan, and reveals the important problem of the past and now in Japan and in the relationship also between neighboring nations that Japanese militarism colonized.
Table of contentsI. 시작하는 말 139
II. 메이지 유신기의 제정일치 정책과 종교 140
III. 군국주의 노선과 신교의 자유 143
IV. 패전 후의 정교분리와 그 현실 152
V. 맺음말 156
ISSN12261386 (P)
Hits74
Created date2022.10.16
Modified date2022.10.16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51638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