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創造主 브라흐마(Brahma) 神에 대한 붓다의 批判=The Buddha`s Criticism on Brahma, God of Creator
Author 安良圭 (著)=An, Yang-gyu (au.)
Source 불교학보=佛教學報
Volumev.40 n.0
Date2003.12
Pages155 - 172
Publisher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Publisher Url https://abc.dongguk.edu/kbri/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東國大學院 佛教文化大學 教授
Keyword브라흐마=; 창조주; Buddhist; Buddha; 전지자; 전능자; 브라흐만교; 변신론; 창조신; 초기불교; 사무량심; Nirvana; God; Brahmanism; Brahma
Abstract붓다가 브라흐만교의 최고 인격신을 부정한 것은 붓다 당대의 유물론자의 비판과 다르다. 유물론자는 베다의 브라흐마 신을 어릿광대, 또는 성실하지 못한 자로 비난하였지만 불교는 그렇게 도발적으로 비난하지 않고 브라흐민들이 오해하고 있는 신의 관념을 비판한 것이다. 전능이나 전지는 모두 신의 본성에 관한 것으로 붓다는 이 두 가지 권능에 대해 비판했다. 붓다는 특히 창조를 비롯한 브라흐마의 전능을 비판하였다. 신의 창조에 대해선 브라흐마 신이 전생을 기억하지 못한 이유로 자신을 세계의 창조자로 착각했다는 것이고 신의 전능에 대해선 세상의 악을 제거하지 못한다는 점을 들고 있다. 붓다가 브라흐만교들이 브라흐마 신을 창조신으로, 유일의 최고신으로 믿고 기도하는 신앙행위에 대해 비판한 것을 살펴보았다. 붓다는 유물론자와 달리 브라흐마 신의 존재 그 자체를 전면 부정하지 아니하고 브라흐마 신을 생멸변화에 종속되어 있는 무상한 존재로 격하시켰다. 한편 붓다는 브라흐만교 추종자들이 갖고 있었던 브라흐마 신에 관한 신념을 적당하게 수용하면서 제사나 기도 등의 신앙 행위 대신 자비희사의 도덕적 행위를 일체 중생에게 행할 것을 가르치고 있다. 붓다는 창조신에 대한 맹목적인 신앙을 중심으로 인간의 행과 불행에 접근하는 것에 대항하여 현재 고통 받고 있는 현실에 중점을 둔 것이다. 지금 땅 위에서 생활하고 있는 자신의 삶이 어떠한 모습인가를 먼저 고찰하는 것이 급선무라는 것이다. 인간의 불행은 신에게 돌리기 이전에 인간 자신에게서 그 불행의 원인을 찾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신이 사랑을 그 본질로 하며 우주를 창조하고 통치하는 신이라면 인간 등 중생이 고통받을 이유가 없는 것이다. 인간의 고통이 존재한다는 것은 고통을 제거해 줄 수 있는 전능을 소유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붓다는 브라흐마 신의 속성 중 전능과 전지를 제거하고 사랑은 남겨 두었다. 모든 중생을 평등하게 사랑하는 신인 브라흐마에 이르는 방법으로 사무량심의 수습을 제시한 것이다. 요컨대 실용적인 관점에서 보면 붓다의 브라흐마 신 비판은 미래의 행복을 신에게 기도나 제사하지 말고 고통의 근원인 자신의 이기심을 극복하도록 중생을 사랑하도록 가르치고 있는 것이다.

The contemporary view of Brahmā in the early Buddhist writings is that he was the Creator of the universe, the highest of all beings, union with whom, through prayer and sacrifice, was the highest possible good for people by the time of the Buddha. Brahmanism put faith in Brahmā who is omnipotent and omniscient, creating the world with human beings and governing the entire universe. The highest goal of Brahmins is to be union with Brahmā after their death in this world.
In the Buddhist view, however, Brahmā is a type of sentient beings, rather than a single unique being; there are many Brahmās; they inhabit the heavenly region known as the Brahma-world, and rebirth in this realm is quite favorably regarded, even though in the cosmic hierarchy, it is considerably inferior to the supreme state of Nirvana, just as the Brahmās are in all things subordinate to the Buddha.
Unlike materialists who rejects the existence of Brahmā, the Buddha modifies the idea of Brahmā in order for it to serve the educative purpose for people stuck in the faith in Brahmā. In this connection, the Buddha is so practical without making a vain argument whether Brahmā is or not. In short, the Buddha`s criticism centers around immoral behaviors of Brahmins who just believe in Brahmā with no good deeds whatsoever.
Table of contentsI. 서언 155
II. 브라흐만교의 브라호마 신앙 156
III. 붓다의 브라흐마 비판 158
IV. 결어 169
ISSN12261386 (P)
Hits80
Created date2022.10.26
Modified date2022.10.26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53361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