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白花道場發願文』의 願에 대한 고찰=Vow Made at the White Lotus Place of Enlightenment (白花道場發願文) |
|
|
|
Author |
전호련 (著)=Jeon, Ho-ryeon (au.)
|
Source |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Journal of The Pure Land Buddhism Studies
|
Volume | v.10 n.0 대승불교에서의 원(願)에 대한 문제 |
Date | 2007 |
Pages | 109 - 145 |
Publisher | 韓國淨土協會 |
Publisher Url |
http://www.jungtohak.or.kr/
|
Location | Seoul, Korea [首爾, 韓國] |
Content type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Language | 韓文=Korean |
Note | 저자정보: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
Keyword | 의상=Uisang; 백화도량발원문=The Vow Made at the White Lotus Place of Enlightenment=(白花道場發願文; 백화도량발원문약해=The Explanation of the Vow Made at the White Lotus Place of Enlightenment=白花道場發願文略解; 원=Vow; 관음신앙=‘faith in Avalokitesvara=觀音信仰; 체원=Chewon; 낙산사; 관음보살의 화엄행원=‘Avalokitesvara Bodhisattva’s vow to practice the Avatamsaka=觀音菩薩의 華嚴行願; 본사; 왕생정토 |
Abstract | 본고는 의상(625-702)이 지었다고 전하는 『白花道場發願文』의 願에 대하여 살펴본 것이다. 『백화도량발원문』은 관음대성을 본사로 모시고 본사와 같아지기를 원하며, 관음대성이 계시는 백화도량에 왕생하기를 발원한 것이다. 그런데 이 발원문은 그 전문이 온전하게 전하지는 않는다. 고려의 木庵體元이 1328년에 集解한 『백화도량발원문약해』의 主文이 현행본 『백화도량발원문』으로서 유일한 것이다. 그 판본은 해인사 사간장경속에 간직되어져 오늘에 이르렀는데 『약해』(총 20장)의 제5장과 제7장은 결락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먼저 결락된 『약해』 부분에 해당하는 발원문의 분과와 내용을 추정하여 보완해보고, 발원의 내용을 재분류하고 원의 내용에 담긴 의미를 조명하며, 그와 아울러 발원자와 귀의 대상인 관세음보살의 제자와 스승의 관계를 함께 종합해서 원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그 원의 특징을 ‘觀音菩薩의 華嚴行願’이라고 명명해 보았다. 그간의 연구는 발원문의 특징을 통틀어 ‘관음신앙’이라고 한 것에서 벗어나지 아니하였다. 필자는 이를 수용하면서 발원문의 특징을 ‘信仰’이라기보다 ‘行願’으로 보는 것이 더 적확하다고 판단하여 관음보살의 대비행원으로서의 화엄행원으로 본 것이다. 백화도량에 상주하는 관음진신이 발원제자의 대비행원으로 중생 앞에 나타날 때 낙산의 백화도량이 온 법계로 넓어지고, 제자 의상의 발원이 신라만이 아니라 법계 일체중생의 발원이 되어서, 관음보살의 대자대비한 화엄행원이 끝없이 펼쳐진다고 하겠다.
This study is an examination of the vow in the Vow Made at the White Lotus Place of Enlightenment (白花道場發願文), written by Uisang (625-702). The Vow Made at the White Lotus Place of Enlightenment is a supplication that pays homage to Avalokitesvara as a Buddha whom we aspire to become, and vows for rebirth in the White Lotus Place of Enlightenment, the dwelling place of Avalokitesvara. However, the original text has not been transmitted intact. The Explanation of the Vow Made at the White Lotus Place of Enlightenment (白花道場發願文略解) contained in a compendium compiled in Goryeo in 1328 by Mokam Chewon is the only extant version of the text. This xylographic text is preserved at Haein Temple in the Haeinsa Sutra Collection (寺刊藏經), but pages five and seven the of the twenty-page text are missing. In this study, first the content of the missing pages from the Explanation is inferred so as to complete the parts of the text that comprise the vow and elucidate its meaning. In addition a special feature of the vow,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iple (the one making supplication) and the master (Avalokitesvara, the object of reverence) is synthesized, is examined. Next, the special characteristic of this vow is design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s vow to practice the Avatamsaka (觀音菩薩의 華嚴行願).’ In total, research to date does not extend beyond characterization of this as ‘faith in Avalokitesvara (觀音信仰).’ While the author accepts this, it is concluded that rather than ‘faith’, a more accurate description of the vow in this text is ‘vow to practice’ in which Avalokitesvara’s vow to practice great compassion is seen as the vow to practice the Avatamsaka. Through the vow of the supplicant to practice great compassion, when the true body of Avalokitesvara appears before sentient beings the White Lotus Place of Enlightenment expands to fill the whole dharma realm. The vow of Uisang then becomes not just one of faith, but that of all sentient beings in the dharma realm, such that Avalokitesvara’s greatly loving and compassionate vow to practice the Avatamsaka stretches out endlessly.
|
Table of contents | I. 序言 111
II. 「白花道場發願文」과 그 構成 113 III. 願의 내용 분류와 의미 126
IV. 願의 특징 133
IV. 結語 139 |
ISSN | 12291846 (P) |
Hits | 187 |
Created date | 2023.04.23 |
Modified date | 2023.04.23 |

|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