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나옹왕사의 정토사상이 한국불교신앙에 미친 영향=The Influence of the Pure-Land Idea of Na-Wong Master on Faith of Korean Buddhism. |
|
|
|
Author |
한태식 (著)=Han, Tae-shik (au.)
|
Source |
대각사상=Maha Bodhi Thought=大覺思想
|
Volume | v.11 n.0 |
Date | 2008 |
Pages | 99 - 164 |
Publisher | 대각사상연구원=Institute of Maha Bodhi Thought |
Publisher Url |
http://www.taegak.or.kr/
|
Location | Seoul, Korea [首爾, 韓國] |
Content type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Language | 韓文=Korean |
Note | 저자정보: 동국대 선학과 교수. |
Keyword | Nawonghyegeun=懶翁惠勤; Chingmyungyumbul=稱名念佛; Gwannyumyumbul=觀念念佛; Yusimjeongto=唯心淨土; Yumbulseon=念佛禪; Jasungmita=自性彌陀; Jigong=指空; Yisaek=李穡; Muhak=無學; Seowangga=西往歌; Jeungwonga=僧元歌; Seungwuigongju=承懿公主; Haengseonchukwon=行禪祝願; Amitabujaehabang=阿彌陀佛在何方; 노는 입에 염불하라 |
Abstract | 본 논문은 「나옹왕사의 정토사상이 한국불교신앙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첫째, 나옹의 정토사상의 염불관은 稱名念佛과 觀念念佛 및 唯心淨土의 念佛禪 등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전개되고 있다. 특히 서민대중들을 위하여 吏讀文字를 사용하여 알기 쉬운 방법으로 가사형태의 「西往歌」와 「僧元歌」 등의 노래를 짓기도 하였다. 둘째, 그의 염불가사를 통한 불교신앙 고취에 있어서, 우선 「西往歌」의 염불권유방법은 서론, 본론, 결론의 3단으로 구분되며, 이를 그 내용상으로 세분하면 8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염불하지 않는 중생들을 경책하면서 적극적으로 염불하여 서방정토 극락세계에 왕생할 것을 권하고 있으며, 출가자들에게 염불을 권유하고 있다. 다음으로 「僧元歌」는 吏讀文字로 표기하였다는 점에서 국문학의 가사문학연구에 큰 의미가 있다. 염불권유방법은 처음의 序歌에서는 인생이 무상함을 노래하였고, 本歌에서는 무상의 노래와 더불어 생노병사와 인간사의 여러 가지를 예로 들면서 어리석은 중생들이 염불을 하지 않고 핑계만 대고 있다고 꾸짖고 있다. 셋째, 나옹왕사의 염불의례가 한국불교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그의 歌頌이나 법어 중에 영가를 위한 글이 많다. 일반적으로 서두에는 선법문을 주로 하였으나 후반에서는 정토회향을 하고 있다. 다음으로 한국불교의례집의 증명단과 축원문에서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비중이 높다. 대부분의 의례집에서 증명단을 설치할 경우 指空, 懶翁, 無學이 빠지지 않고 모셔진다. 모든 불사에 있어서 증명법사의 지위에 이르렀거나 기일을 전국적인 불교행사로 행하여졌다고 한다. 그런데 아침예불에서 모든 사람을 위해서 행하는 行禪祝願에서 나옹스님의 發願文이 行禪祝願文으로 널리 애송되고 있다. 이러한 나옹스님의 발원은 오늘날 한국불교인들 모두의 발원이기도 하다.
First of all, Na-Wong's view of recitation of the Pure-Land idea is divided into three types, 1) Chingmyungyumbul (稱名念佛), 2) Gwannyumyumbul (觀念念佛), and 3) Yusimjeongto (唯心淨土)'s Yumbulseon (念佛禪). He composed songs such as Seowangga (西往歌) and Jeungwonga (僧元歌) by using Sadokmunja (吏讀文字) to teach the common in an easier way. Secondly, his suggestion of recitation in Seowangga (西往歌) is broken up into 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 in terms of inspiring the faith of Buddhism into the common through recitation of the Sutras. This is also classified as 8 stages in its content. Warning people who don't recite the Sutras, he encouraged them to recite with desire for rebirth in the Land of Happiness, and suggested Buddhist monks to focus on recitation of the Sutras. Third, Jeungwonga (僧元歌) that is written in 吏讀文字 has its significance in Korean literature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verse literature. The introduction of this book sings the uncertainty of life. Giving birth, aging, illness, and death in its body as examples, he scolded the ignorant mortal for giving excuses about not reciting. Fourth, the influence of Na-Wong's recitating ceremony on Korean Buddhism was contemplated. There are many writings for the dead in his songs and literature. He generally taught Zen in the introduction and finished the writing with Jeongtohwehyang (淨土廻向). Lastly, it should be clearly acknowledged that Na-Wong's songs comprise a vast part of Korean Buddhist ceremony prayer. In most written prayers, Jigong(指空), Nawong(懶翁), and Muhak(無學) are accompanied. Na-Wong master's prayer (發願文) has been widely used as Haengseonchukwonmun (行禪祝願文) for morning prayers for all beings. This prayer of Na-Wong master's has become today's all Korean Buddhist's prayer.
|
Table of contents | I. 머리말 100 II. 나옹왕사의 정토사상 유형 101 1. 칭명염불 101 2. 관념염불 104 3. 염불선 106 III. 염불가사를 통한 불교신앙 고취 115 1. 「西往歌」의 염불 권유 115 2. 「僧元歌」의 염불 권유 123 IV. 염불의례가 한국불교에 미친 영향 142
1. 천혼의례와 영가법문 142
2. 의례집 증명단과 축원문의 전승 150 V. 맺음말 157 |
ISSN | 12291080 (P) |
Hits | 150 |
Created date | 2023.04.28 |
Modified date | 2023.04.28 |
|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