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당대화상동정전(唐大和上東征傳)』의 서술특성과 역사적 의미=The Narrative Characteristic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o Dai-wajo Tosei-den (唐大和上東征傳) |
|
|
|
Author |
구미진 (著)=Gu, Mi-jin (au.)
|
Source |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
Volume | v.42 n.0 |
Date | 2020.06 |
Pages | 201 - 228 |
Publisher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
Publisher Url |
http://www.easternasia.kr/
|
Location | Busan, Korea [釜山, 韓國] |
Content type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Language | 韓文=Korean |
Note | 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전임연구원
|
Keyword | 8세기 불교문화=8th century Buddhist culture; 감진=鑑眞= JianZhen; 사탁=思度=Si Duo; 당대화상동정전=唐大和上東征傳=To Daiwajo Toseiden; 오미노 미후네=淡海三船=Omino Mifune |
Abstract | 『당대화상동정전(唐大和上東征傳)』(이하 ‘『동정전』’)은 일본 나라시대의 문인인 오미노 미후네[淡海三船]가 찬술한 당나라 승려 감진(鑑眞)의 전기이다. 감진은 일본의 초청을 받고 도일(渡日)하여 활약했던 고승으로 일본 불교사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로 꼽힌다. 그에 대한 열망에서는 당시 문화적으로 선진적 위치를 점한 당과 적극적인 교류를 시도했던 일본의 태도가 엿보인다. 그 결과 감진은 만년에 이르렀음에도 고대 일본의 불교계와 사회·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상징적 인물로 자리하게 되었다. 본고에서는 이 점에 주목하여 그의 전기가 찬술된 배경을 추찰하고, 『동정전』의 서술특성을 통해 자료적 가치와 역사적 의미를 살폈다. 당시 일본에서는 그를 환대한 반면 비방했던 세력도 공존했는데, 감진의 문도 사탁(思託)은 선덕을 드높이기 위한 전기를 찬술하며 오미노에게는 별도로 『동정전』의 찬술을 요청했다. 이에 『동정전』에는 감진의 도일이 부각되어, 여러 차례의 실패와 어려움을 무릅쓰고 일본에 온 그의 역할과 의미가 강조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찬술된 『동정전』은 서술형식과 기록문화의 측면에서도 크게 주목된다. 『동정전』은 승전의 구조를 취하면서도 구법여행기와 순례기 등 불교유입으로 등장한 서사양식이 크게 활용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기본적으로는 감진의 일대기를 다룬 승전의 구조이지만, 실제 내용에서는 도일과정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기행문학의 서술방식이 복합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서술특성은 도일의 과정과 의미를 더욱 강조하고, 감진이 당시 일본 불교계와 불교문화에 미친 영향을 보여준다. 또한 그의 여정은 다채로운 이국의 문화를 함께 소개하며, 당시 일본인들의 관념과 인식을 더욱 확장해주는 계기를 마련한다. 이처럼 『동정전』은 8세기 동아시아 국가 간의 불교교류와 문화적 영향력을 보여주는 주요한 기록이라 할 수 있다.
To Daiwajo Toseiden(唐大和上東征傳) is a biography of JianZhen(鑑眞), the monk of Tang Dynasty, by Omino Mifune(淡海三船), a writer in the Nara Period of Japan. JianZhen has been a key figure in Japanese Buddhist history, who was a high priest invited to Japan and played an active part in Japan. The hospitality for him show the attitude of Japan that wanted active exchange with the Tang. Therefore, JianZhen has become a symbolic figure who have had a great influence on Japanese Buddhist and social, cultural communities at that time, even though he was active in his later year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also the forces against him, while JianZhen's disciple 思度(Si Duo) accomplished To Daiwajo Toseiden by writing a biography to elevate JianZhen together with Omino. As a result, in the To Daiwajo Toseiden, his visit to Japan was highlighted among JianZhen‘s major achievements, revealing his role to visit Japan and meaning despite many failures. To Daiwajo Toseiden was written under this background, and is greatly noticed in terms of narrative form and documentary culture. This is because To Daiwajo Toseiden has the structure of biography, while taking the form of narrative which appeared with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such as travelogue for Dharma and pilgrimage. Therefore, To Daiwajo Toseiden was further emphasized since the narrative format of travel literature, where the process of paying a visit to Japan. As a result, JianZhen’s visit to Japan seen in To Daiwajo Toseiden has had a great impact on Japanese Buddhist and the culture. In addition, his journey introduced a variety of foreign cultures and further expanded the ideas and perceptions of Japanese people at that time. Thus, To Daiwajo Toseiden can be regarded as a major documentary about Buddhist exchange among East Asian countries and cultural influence in the 8th century. |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202
Ⅱ. 찬술배경 203
Ⅲ. 승전과 기행문의 결합을 통한 ‘동정(東征)’의 강조 209
Ⅳ. 불교계와 사회·문화계에 미친 영향 214
Ⅴ. 결론 223 |
ISSN | 27140938 (P); 27140946 (E) |
DOI | 10.21718/EABC.2019.42.08 |
Hits | 118 |
Created date | 2023.06.24 |
Modified date | 2023.06.24 |
|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