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신라의 오대산성지 형성과 당의 오대산 성지신앙 - 국가불교의 전이과정으로서=Establishment of the shrine in Mt. Odae(五臺) in Silla(新羅) and Mt. Wutai(五臺) in Tang(唐) ; as a process of importing nationalistic buddhism from China |
|
|
|
Author |
석길암 (著)=Seok, Gil-am (au.)
|
Source |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
Volume | v.28 n.0 |
Date | 2016.12 |
Pages | 27 - 48 |
Publisher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
Publisher Url |
http://www.easternasia.kr/
|
Location | Busan, Korea [釜山, 韓國] |
Content type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Language | 韓文=Korean |
Note | 저자정보: 동국대학교(경주 Campus) 불교학부 교수 |
Keyword | 오대산 성지신앙=Faith system in Mt.Wutai(Mt. Odae); Nationalistic buddhism=국가불교; 동아시아불교=East Asian buddhism; 문수주처=文殊之住處=a residing place of Mañjuśrī bodhisattva; 불공=不空= Bukong; 징관=澄觀= Chengguan |
Abstract | 신라의 오대산신앙은 `문수주처(文殊住處)로서의 오대산(五臺山)`이 먼저 상정된 것이 아니라, 이미 성립되어 있던 호국불교로서의 중국 오대산신앙의 이식과정에서 `문수주처로서의 오대산`을 비정하게 되었을 가능성이 더 크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칙천무후대(則天武后代)의 중국 오대산신앙이 문수주처로서의 오대산 성지라는 개념보다도 당 왕실의 용흥지지(龍興之地)로서 더욱 강조되었다고 생각되기 때문인데, 그렇다면 신라 왕실로서는 적극적으로 수용할 필요는 느끼지 못했을 것이라고 추정되기 때문이다. 물론 그 반대의 경우 곧 당과의 외교관계 개선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으로서 오대산신앙 이식을 고려해볼 수 없는 것은 아니지만, 신라 오대산 관련 기록들은 그것을 적극적으로 인정하기에는 부정적인 요소들이 더 많이 포함되어 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점들 때문에, 중국의 오대산신앙이 8세기 후반, 불공과 징관에 의해 호국불교의 신앙체계로 재생산된 이후의 시기, 그리고 신라 왕실이 사회 적 혼란의 극복 필요성을 느꼈을 것이라고 추정되는 820년대 무렵에 오대산 신앙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었을 가능성이 더 크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신라의 오대산 신앙 수용은 9세기 전반 무렵의 일로 추정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그리고 그러한 측면에서, 중국 오대산신앙의 신라 이식(移植)은 동아시아불교의 특징 중의 하나로 간주되는 국가불교적 특성이 강렬하게 반영된하나의 사례로서 생각해도 좋지 않을까 한다.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Silla`s faith system in Mt. Odae is different from that of Tang`s faith system in Mt. Wutai. In the process of importing the Chinese faith system in Mt. Wutai into Silla, the concept of Mt. Odea as a residing place of Manjusri was possibly manipulated later. I think that as Tang dynasty tried to overcome the chaos of the late 8th century by the faith system in Mt. Wutai which was nationalized, Silla dynasty also used the faith system to deal with the social confusion in the 820s. These means that importing of the Chinese faith system in Mt. Wutai into Silla might be considered as an example of nationalistic buddhism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East Asian buddhism. |
Table of contents | I. 서언 28
II. 중국 오대산의 성지화 과정과 국가권력 30 III. 신라 오대산신앙의 이식 시기 35
IV. 신라 오대산 신앙의 국가불교적 특성 41 V. 결어 46
|
ISSN | 27140938 (P); 27140946 (E) |
Hits | 124 |
Created date | 2023.07.24 |
Modified date | 2023.07.24 |
|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