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초기불교(初期佛敎)의 사상적 구조와 실천수행-『테라가타』를 중심으로=The early Buddhist thought structure and ascetic exercise-on the basis of Thera-gatha |
|
|
|
Author |
김용환 (著)=Kim, Yong-hwan (au.)
|
Source |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
Volume | v.22 n.0 |
Date | 2015.06 |
Pages | 383 - 424 |
Publisher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
Publisher Url |
http://www.easternasia.kr/
|
Location | Busan, Korea [釜山, 韓國] |
Content type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Language | 韓文=Korean |
Note | 저자정보: 부산대 |
Keyword | 智慧=paññā= wisdom; affliction=煩惱=āsava; 無常ᆞ苦ᆞ無我= impermanency(anicca)ᆞmisery(dukkha)ᆞnot-self(anattā); The four noble truth=四聖諦; 테라가타; Thera-gāthā |
Abstract | 본 논문은 『테라가타』를 중심으로 초기불교 수행자 일반이 가지고 있던 불타의 敎說에 대한 인식과 태도 그리고 수행.실천을 조명해 본 것이다. 초기불교에 있어 智慧는 마음의 煩惱를 제거하여 解脫에 이르게 하는 가장 근본적인 수단이요 방법이다. 지혜는 사물과 인생의 實相을 있는 그대로 觀照하는 마음의 작용인데, 敎理上으로는 四聖諦와 無常ㆍ苦ㆍ無我를 주된 내용으로 하고 있다. 초기불교의 지혜에 관한 문헌적 연구는 森章司에 의해 이미 이루어졌는데, 小論에서는 『테라가타』의 韻文經典을 중심으로 그 초기형태를 검토하려고 한다. 그리고 지혜의 意義를 초기불교의 전반적인 사상체계 속에서 조명해 보기 위해 특히 번뇌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번뇌는 유한하고 불완전하며 불만족스러운 生存의 근본원인인데 이를 극복하고 제거하는 방법이 八正道와 戒ㆍ定ㆍ慧 三學이다. 초기불교의 사상과 수행은 마음의 지혜와 번뇌의 제거를 중심 과제로 하여 전개된 것이라고 하여도 과언은 아니다.
This paper purposed to study the early ascetic`s thinking, attitude, and practice asceticism of Buddha`s Teaching on the basis of Thera-gatha. In the early Buddhism, the wisdom(panna) is a primary way to remove affliction(asava) of mind and bring an individual to the state of deliverance(vimutti). The panna is intuitive knowledge and vision according to reality (yatha-bhutata) which consists mainly in the penetration of the lmpermanency(anicca), Misery(dukkha), Not-self (anatta) and the four Noble truth(Ariya-sacca). Affliction is a primary reason of limit, imperfect and unsatisfied process of existence. The eightfold right path and morality(sila).concentration(samadhi). wisdom(panna) are the ways to overcome and remove it. The thoughts and ascetic exercises of the early Buddhism has been developed around the panna and affliction. The subjects of this thesis are to study early form and relationship of panna and afflictions which is in the verses of verse Thera-gatha. |
Table of contents | I. 서언 384 2. 『테라가타』를 통해 본 초기 불교의 사상적 구조 385 3. 초기불교 수행자의 수행과 실천 403 4. 結語 420
|
ISSN | 27140938 (P); 27140946 (E) |
Hits | 122 |
Created date | 2023.07.27 |
Modified date | 2023.07.27 |

|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