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작법무(作法舞)의 연원(淵源)과 기능(機能)에 대(對)한 고찰(考察) ―경산제(京山制)를 중심(中心)으로=Research for the origins and functions of the Jakbeopmu -focused on Kyongsanjae-
Author 심상현 (著)=Shim, Sang-hyun (au.)
Source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Volumev.12 n.0
Date2012.12
Pages235 - 266
Publisher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Publisher Url http://www.easternasia.kr/
LocationBusan, Korea [釜山,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동방불교대학원대
Keyword歸納法= deduction; 京山制= Kyongsanjae; 打柱舞= Tajumu; 着服舞=Chakbokmu; 鈸鑼舞= Baramu; 法鼓舞= Beopgomu; 作法舞=Jakbeopmu; Youngsanjae
Abstract불교의 성격을 ``普化應同``이라 한다. ``和光同塵``과도 통하는 말이다. 불교의 이런 성격과 가무를 사랑하는 우리민족의 정서가 어우러져 세계불교 가운데 차별화 된 한국불교만의 儀式文化를 탄생케 했다. 그 가운데 하나가 작법무다. 작법무는 외적 美가 아닌 내적 정신세계를 추구하기 위한 중요한 방편으로서 유지 전승되어 왔다. 그러나 작법무의 연원이나 분명한 기능을 알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왜냐하면 문헌상 명시된 곳이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작법무 각각의 거행시점과 성격에 바탕해서 歸納的方法으로 그 연원과 기능을 알아보고자 했다. 법고무는 거행하는 시점이 의식의 序幕이거나 한 단원의 大尾다. 그리고 춤사위가 활달하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태자 싣다르타의 탄생을 알린 歡喜鼓와 공통점이 있음에 착안하였다. 따라서 중요한 사실을 전하고 활달한 춤사위로 환희로움을 알렸던 환희고를 법고무의 실질적 연원과 기능으로 보아 무리가 없다고 확인하였다. 바라무는 鳴拔과 繞잡외의 바라무는 반드시 다라니를 歌詞로 거행 하는데, 다라니는 열쇠와 같아서 정확도를 생명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환희와 찬탄의 일환으로만 이해하던 기존의 입장에서 일보 전진하여 다라니의 정확도를 업그레이드시켜 소기의 목적을 성취케 하는데 그 목적과 연원, 그리고 기능이 있음을 밝혀 보았다. 착복무의 경우 舞服이 六銖袈裟인 점과 이를 착용하는 주인공들이 色界第4天인 長壽天의 天人인 점에 주목하였다. 즉, 500大劫을 사는 그들이 동참하여 舞를 펼침은 그곳이 곧 진리가 베풀어지고 있는 현장임을 나타내고자 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으니, 여기서 착복무의 연원과 기능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착복무와 바라무 거행에는 기본자세가 있음도 알 수 있었다. 참선자세를 그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것인데, 이런 사실을 천명함으로써 최소한 京山制작법무의 변형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사방요신과 요잡바라는 연극에 있어서 幕이나 場에 해당하는 역할이 있음을 밝혀내는 성과도 있었다. 타주무의 연원은 三國時代로부터 있어온 飯僧에 이미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기능면에서 본다면 도량 중앙에 설치한 ``白槌``와 ``打柱舞``로써 공양에 임해서도 승려 본연의 자세를 잃지 않게 하려는 데 있다 하겠다. 즉, 본연의 자세를 阿含의 八正道에서 찾고, 이를 대중에게 알린다는 의미에서 ``白槌``로써 대중의 마음을 경책하며, 앉는 자세와 무용으로써 諸法皆空인 般若의 경지를 거쳐 諸法實相인 法華의 세계로 인도하는 고차원적인 작법무임을 알 수 있었다.

We call the character of Buddhism ``普化應同`` and its meaning is similar to ``和光同塵``. This character of Buddhism and the national sentiment of loving songs and dances make the Korean buddhist ceremony unique and ``Jakbeopmu`` shows these kind of characteristics. So we need a buddhist view point to understand ``Jakbeopmu``. Though ``Bompae`` is one of the very important three songs in Korean music, we consider it to be the song without general similarity to other songs and in the case of ``Jakbeopmu``, We consider it to be the same as ``Bompae``. It is the dance without general similarity to other dances. The poet and zen priest ``Sunwolkuanhyu`` in the Tang dynasty depicted the scene of ``Muae dance`` like this in his poetry. ``...motion of two sleeves is to be free from two kinds of anxiety and lifting feet three times is to step beyond the secular world....`` ``Jakbeopmu`` is not for external beauty but for internal spirit. and we cannot find out the origin of it because there is no formal record. so in this paper, the origin of ``Jakbeopmu`` is deduced on the basis of it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inductive method. ``Boepgomu`` is performed at the beginning or the ending of ceremony and its active motion of dancing is similar to ``Whanhigo`` which informed the world of the birth of Siddhartha. So ``Whanhigo`` is considered to be the origin of ``Beopgomu``. ``Baramu`` is performed to the lylics of ``dharani`` and the accuracy is very important to ``dharani``. so the origin and the purpose of ``Baramu`` is to upgrade the accuracy of ``dharani``. In the case of ``chakbokmu``, clothes for the dance is embroidered robe and the performers who wear the robe are ``Chunin`` at ``Jangsuchun``. It means that the performing place is a place where the wisdom of truth is delivered. It is also found out that maintenance of zen attitude is very important to performing the ``chakbokmu`` and the ``Baramu`` and it prevents the transformation of ``Jakbeopmu`` on Kyongsanjae. In addition, it is found out that ``Sabangyosin`` and ``Yojapbara`` play a role like Act or Scene in the play. In the case of ``Tajumu``, Keeping the attitude of monk itself in mind is necessary to proceed with the Offering-Meal harmoniously and the attitude is from the Noble Eightfold Path in Agama. The instrument of ``Baekchu`` is made to inform the world of the attitude and it leads us to ``Prajna`` the state of Emptiness and then to the real state of the true reality of ``Lotus sutra``. I anticipate that there will be some chemical changes to understand the ``Jakbeopmu`` and the Korean culture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because just one droplet of sea water can contain all the taste of the ocean.
Table of contentsI. 머리말 237
II. 선행연구 238
III. 작법무의 종류와 연원 243
IV. 작법무의 전개 253
V. 맺음말 259
ISSN27140938 (P); 27140946 (E)
Hits58
Created date2023.08.15
Modified date2023.08.15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79925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