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법구경(法句經)』(Dhammapada)의 사상=The thought of the Dhammapada |
|
|
|
Author |
김용환 (著)=Kim, Yong-hwan (au.)
|
Source |
동아시아불교문화=Journal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
Volume | v.6 n.0 |
Date | 2010.12 |
Pages | 319 - 359 |
Publisher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The Association of Eastern-Asia Buddhism and Culture |
Publisher Url |
http://www.easternasia.kr/
|
Location | Busan, Korea [釜山, 韓國] |
Content type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Language | 韓文=Korean |
Note | 저자정보: 부산대학교 철학과 교수
|
Keyword | Buddhist devotion and practice; Buddha`s teaching; Buddha; Dhammapada; 최고(最高)문헌; 최초기 불교 사상; 『법구경』; 불타사상 |
Abstract | 불교 최고(最古)의 문헌인 법구경에 나타나 있는 사상의 체계적 고 찰을 통해 최초기의 불교 사상과 불타사상의 원형을 규명하려고 시도한 논문이다. 즉, 법구경에 나타난 인생관(人生觀)과 행복론, 행위와 업보 (業報), 업(業)과 윤회(輪廻), 심청정(心淸淨)과 번뇌(煩惱), 지혜(智慧)와 열반(涅槃)를 통하여 불교 사상의 핵심과 불타가 추구하고자 한 진리가 무엇인가를 본 논문에서 밝혀내고자 하였다. 불교가 궁극적으로 추구하 는 것은 ‘바른 진리’(saddhamma)를 깨달아 모든 고통으로부터 벗어나 는 것이다. 법구경에는 이와 같은 진리를 깨닫기 위해 필요한 수행덕 목으로 계정혜(戒定慧)와 팔정도(八正道)를 설하고 이를 통해 사성제(四 聖諦)와 무상(無常).고(苦).무아(無我)의 도리를 통찰하여 번뇌를 끊 고 심청정(心淸淨)에 이르는 길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것이 인과업 보(因果業報)와 그로 인한 생사윤회의 결정론의 세계.고통의 세계로부 터 해탈을 얻는 열반의 길이며, 바른 삶의 방식임을 가르치고 있다. 법구경에 나타나 있는 이러한 사상은 역사적으로 소급할 수 있는 불 교사상의 원점이며, 이후에 전개된 다양한 불교사상의 이론적 토대가 된다.
The Dhammapada is an anthology of Buddhist devotion and practice, which brings together verses in popular use or gathered from differnt sources. Though it may not contain the very words of the Buddha, it does embody the spirit of the Buddha's teaching, summoning men to a process of strenuous mental and moral effort. This paper tried to systematize the basic idea of the Dhammapada.
|
Table of contents | 1. 서언(序言) 320 2. 인생관(人生觀)과 행복론 321 3. 행위와 업보(業報) 327 4. 업(業)과 윤회(輪廻) 334 5. 심청정(心淸淨)과 번뇌(煩惱) 340 6. 지혜(智慧)와 열반(涅槃) 347 7. 결어(結語) 356
|
ISSN | 27140938 (P); 27140946 (E) |
Hits | 153 |
Created date | 2023.08.20 |
Modified date | 2023.08.20 |

|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