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빠딴잘리 『요-가·수-뜨라』 ‘三昧品'(Samādhi-pāda)의 思想 (2) |
|
|
|
Author |
李芝洙 (著)=이지수 (au.)
|
Source |
인도철학=印度哲學=Korean Journal of Indian Philosophy
|
Volume | v.11 n.2 |
Date | 2002 |
Pages | 45 - 81 |
Publisher | 印度哲學會 |
Publisher Url |
http://krindology.com/
|
Location | Korea [韓國] |
Content type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Language | 韓文=Korean |
Note | 저자정보: 동국대학교 인도철학과 교수 |
Table of contents | II. 三昧品 譯解 45 1. 總說 요가의 정의와 긍극적 목적(1~4) 46 2. 心活動의 종류와 정의(5~11) 48 3. 心活動 止滅의 두 가지 수단(12~16) 52 4. 三昧의 유형(17~20) 54 5. 목표성취의 속도(21, 22) 57 6. 自在神에의 봉헌(23~29) 58 7. 요가에 대한 장애와 제거방법(30~32) 62 8. 마음 不動을 얻는 여러 방법들(33~40) 64 9. 三昧의 본성과 종류와 과정(41~50) 68 |
ISSN | 12263230 (P) |
Hits | 59 |
Created date | 2023.09.26 |
Modified date | 2023.09.26 |
|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