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불교 명상의 대중화 방안 연구 ― 『대승기신론』과 『대승기신론소』를 중심으로=A Study on the Popularization plan of Buddhist Meditation ― Focused on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and Commentary on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
|
|
|
Author |
김영미 (著)=Kim, Young-mi (au.)
|
Source |
불교철학=Journal for the Study Buddhist Philosophy=佛教哲學
|
Volume | v.12 n.0 |
Date | 2023.04 |
Pages | 281 - 319 |
Publisher |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Institution for World Buddhist Studies |
Publisher Url |
http://www.duwbsi.or.kr
|
Location | Seoul, Korea [首爾, 韓國] |
Content type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Language | 韓文=Korean |
Note | 저자정보: 부산대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
|
Keyword | 대승기신론소; 대승기신론; 관=觀=vipassanā; samatha=지=止; 불교 명상=Buddhist meditation; the Popularization plan; Commentary on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
Abstract |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파괴된 자연환경과 오랜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인간관계의 단절과 소통의 부재 때문에 불행하다. 이러한 힘든 현실에서 벗어나기 위해 사람들은 치유의 방법으로 명상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현대의 심리치료와 명상법은 불교에 기반을 두고 개발되고 있으므로, 불교를 모르고서는 마음을 치유할 수 없다. 불교의 대중화를 위해 평생을 중생교화에 힘쓴 원효의 『대승기신론소』과 마명의 『대승기신론』에는 마음과 작용 그리고 수행법인 지관(止觀)법이 세밀하게 설명되어 있다. 마음의 작용으로 우리의 삶은 행복과 고통으로 나눠진다. 고통에서 행복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불교 수행인 명상이 필요하다. 이렇게 불교 명상을 대중화하기 위해서는 마음부터 고찰해야 하고, 이 마음의 고통을 치유하는 명상법을 알고 현대에 맞게 대중화시키는 방안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불교 명상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교육기관이 필요하고, 불교 교리 교육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그리고 전문가들로 구성된 다양한 마음 치유명상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생활 가운데 명상의 접목뿐만 아니라 개인의 취미에 접목한 명상 등은 불교 명상을 대중화시키는데 긍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People living in modern society are unhappy with the lack of communication and the separation of human relations because of the destroyed natural environment and the prolonged COVID-19 pandemic. In order to escape this difficult reality, people have started to focus on meditation as a way to heal. Modern psychotherapy and meditation are developed on the basis of Buddhism, so it is impossible to heal the mind without understanding Buddhism. Aśvaghoṣa’s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and the Commentary on the Awakening of Mahāyāna Faith written by Wonhyo, who devoted his whole life to edifying people for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contains detailed explanations of the mind, its action, and the two basic forms of Buddhist meditation as received from the Indian tradition: samatha 止 (transliterated as 奢摩他) and vipassanā, 觀 (transliterated as 毘婆舍那). Our lives are divided into happiness and suffering by the action of the mind. To move from suffering to happiness, Buddhist meditation is necessary. In order to popularize Buddhist meditation like this, we must first reflect on our minds, understand the meditation practice that heals the pain of the mind, and study how to popularize it in today’s age. In order to popularize Buddhist meditation, we need Buddhist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 system of Buddhist doctrine educ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healing the mind by professionals. The integration of meditation into daily life and meditation tailored to individual hobbies will also bring positive results in popularizing Buddhist meditation. |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282
Ⅱ. 명상 284
Ⅲ. 불교 명상의 교학적 근거 292
Ⅳ. 불교 명상의 대중화 방안 306
Ⅴ. 나가는 말 313 |
ISSN | 25863843 (P) |
DOI | 10.23168/JSBP.2023.04.30.08. |
Hits | 121 |
Created date | 2024.01.14 |
Modified date | 2024.01.14 |

|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