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송대 이후 중국불교사에 보이는 인명(因明)의 적용과 그 의의=Application of Hetuvidyā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m after the Song Period |
|
|
|
Author |
고승학 (著)
|
Source |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
Volume | v.109 |
Date | 2024 |
Pages | 183 - 219 |
Publisher | 한국불교학회 |
Publisher Url |
http://ikabs.org/
|
Location | Korea [韓國] |
Content type | 期刊論文=Journal Article |
Language | 韓文=Korean |
Keyword | 인명(因明)=hetuvidyā; 삼지(三支)=three-membered syllogism; 오류론=theory of fallacies; 제종융합(諸宗融合)=syncretism of diverse sects; 성상융회(性相融會)=harmonization of nature and characteristics; 중국불교=Chinese Buddhism; 교학=scholasticism |
Abstract | 중당(中唐) 이후의 중국불교의 흐름에 대해서는 '제종융합(諸宗融合)’으로 특징짓는 경향이 있다. 이는 한편으로 이때부터 종파 간 경쟁이 줄어들었음을 함축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교학에서 획기적 발전이 없었다는 인상을 주기도 한다. 특히 인명(因明) 연구는 회창폐불 이후 그 명맥이 끊어진 것처럼 인식되기도 한다. 화엄종의 경우에도 남송(南宋) 이후에는 법장(法藏)의 『기신론의기』와 『오교장』에 대한 조술(祖述)에만 집중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장수 자선(長水子璿)의 『필삭기』에는『기신론』의 일심‧이문‧삼대의 구조를 인명의 개념을 통해 설명하는 등 법장에게는 보이지 않는 독특한 해석이 나온다. 나아가 여러 거사 및 학승들이 활약한 명(明)‧청(淸) 시기의 문헌들을 살펴보면, 천태‧유식‧화엄‧인명에 걸쳐 당나라 시기에 결코 뒤지지 않는 풍부한 교학 성과가 ‘성상융회(性相融會)’의 기치 아래 산출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통리(通理), 종륵(宗泐) 및 여기(如玘), 지욱(智旭) 등의 『원각경』, 『능가경』, 『성유식론』에 대한 주석서는 단지 '종(宗)'‧'인(因)'‧'유(喩)'의 삼지(三支)를 언급하는 수준을 넘어서 해당 경론의 논제를 옹호하기 위해 오류론을 채택하는 등 인명의 개념들을 활발하게 응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고찰을 토대로 송대 이후 명‧청대에 이르기까지의 중국불교의 흐름 속에서 교학 전통이 결코 시들지 않았음을 보이고, 그것이 오늘날 한국불교의 발전적 토대를 확보하는 데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음을 강조하고자 한다.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m after the mid-Tang is generally characterized as "syncretism of diverse sects" (諸宗融合). While this characterization implies that competition between sects was mitigated, it also gives us an impression that no groundbreaking scholastic developments appeared thereafter. In particular, it is often understood that the tradition of hetuvidyā was severed after the Huichang persecution. The Huayan school after the Southern Song, too, seems to have focused only on the exposition of Fazang's Qixin lun yiji and Wujiao zhang. In Changshui Zixuan’s Bixiao ji, however, we see a peculiarity that cannot be seen in Fazang’s Qixin lun commentary as it explicates the structure of one mind, two gates, and three greatnesses through the concepts of hetuvidyā. Moreover, texts from the Ming and Qing periods, written by lay scholars and monks such as the four great masters of the late Ming, demonstrate abundant scholastic achievements comparable to those of the Tang period in diverse fields, such as Tiantai, Yogācāra, Huayan, hetuvidyā. These achievements were produced with the motto of "harmonization of nature and characteristics" (性相融會). In particular, the commentaries on Perfection of Wisdom Sūtra, Laṅkāvatāra Sūtra, and Cheng weishi lun, respectively written by Tongli, Zongle and Ruji, and Zhixu, tell us that these authors actively applied the concepts of hetuvidyā―they not only referred to the three‑membered syllogism but also adopted theories of logical fallacies to defend the theses of those scriptures and treatises. On the basis of the abovementioned survey, this paper shows that scholastic trends, including hetuvidyā, have never withered in the current of Chinese Buddhism from the Song to the Ming and Qing. It also emphasizes that these trends are full of suggestions for securing foundations for developing today’s Korean Buddhism. |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185 Ⅱ. 인명학 도입기 중국불교계의 인식 188 Ⅲ. 송대 이후 주석 문헌에 나타난 인명학의 영향 194 Ⅳ. 결론 215 참고문헌 216 |
ISSN | 12250945 (P) |
Hits | 61 |
Created date | 2024.09.06 |
Modified date | 2024.09.06 |
|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