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起信論과 起信論 註釋書의 阿梨耶識觀=Views of the Ālaya-vijñāna (阿梨耶識)in the Qixin-lun (起信論) and its Commentaries
Author 석길암 (著)=Seok, Gil-am (au.)
Source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Volumev.45
Date2015.12
Pages109 - 136
Publisher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Publisher Url http://www.kabs.re.kr/
Location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Keyword대승기신론; 아리야식=Ālaya-vijñāna=阿梨耶識; 중생심=the Mind of Sentient Beings=衆生心; 일심=One Mind=一心; 삼성설=a point of view of the theory of Three Natures=三性說; 지론종=Dilun-zong School=地論宗; the Qixin-lun=起信論
Abstract논자가 생각할 때, 『기신론』의 아리야식을 검토함에 있어서 문제가 되는 것은 다음의 두 가지이다.
첫째, 『기신론』의 아리야식연기를 설하는가 아니면 여래장연기를 설하는가? 『기신론』의 논자가 설하는 것은 아리야식연기이다. 다만 그 아리야식이 가지고 있는 ‘眞妄和合識’의 성격은 문제가 된다. 여래장연기라면 體性의 관점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생각되고, 아리야식연기라면 相用의 관점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논자는 분석을 통해 『기신론』의 생멸문 제1절의 아리야식은 相用에 초점을 두고 성격을 규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둘째, 『기신론』에서 설해지는 아리야식의 개념태는 『십지경론」과 『능가경」을 근저로 하는 지론종 전통의 연장선에 있는 것일까, 아니면 『섭대승론」전통의 연장선에 있는 것일까? 논자는 『기신론』의 중생심 그리고 아리야식을 唯識 三性說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주장하였다. 『기신론』안에서는 一心法으로서의 衆生心과 一心이 혼동되어 사용되지 않는다는 점도, 개념이 사용되는 영역의 층위에 따른 사유구조상의 의도가 반영되어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볼 때, 생멸문 제1절의 내용을 여래장연기라고 읽는 것은 『기신론』이 의도하는 것과 다른 독법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논자가 그런 점들에 근거하여 『기신론』의 아리야식 더 나아가 중생심을 유식 삼성설의 依他性으로 읽는 것이 적절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기신론』의 아리야식에 대한 주석서들의 해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초기의 주석서인 杏雨書屋本과 그것의 영향을 받고 있는 『담연소』는 『기신론』의 해석에 眞諦譯 유식교설을 채용하고 있다. 또한 지론종의 영향은 거의 전무하며, 「능가경」은 물론 「승만경」 등의 여래장계 경론을 주석에 채용하지 않았다는 특징을 가진다.
반면 『淨影疏』의 경우는 二門別設의 해석 및 생멸문 제1절의 해석에 『능가경』과 『승만경』 등을 채용하고 있다. 이른바 북지 지론종 교학의 근저에 있는 경론이다. 이것은 『기신론』스스로가 매우 엄밀하게 적용하고 유지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고 생각되는 二門別設에 의해 전개되는 사유구조의 핵심을 배제하는 결과로 이어졌다고 생각된다. 특히 진여문의 체와 생멸문의 체를 동일시함으로서, 진여문을 생멸문에 배속시킨 것이며, 그렇게 함으로써 생멸문 내에서 體[如來藏 혹은 眞如]의 역할이 비대해지면서 아리야식을 유명무실하게 만드는 결과를 낳는다.
『海東疏』의 경우는, 혜원이나 법장과 동일하게 『능가경』과 『승만경』 등의 여래장계 경론을 채용하면서도 二門別設의 의도를 훼손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주요한 특징을 가진다. 그 결과 동일한 『능가경』의 경증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그 해석의 관
점은 혜원과 비교하여 상이하다는 특징을 갖는다. 동시에 본문에서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신유식의 관점을 대폭 채용함으로써 생멸문 내에서 아리야식의 위치를 부각하고 있는 것 역시 주요한 특징이다.
이러한 결과에 의거할 때, 『기신론』의 사상사적 맥락은 적어도 북지 지론종 교학과는 거리를 두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이 더 적절하다는 것이 논자의 결론이다.

I think that, when examining the Ālaya-vijñāna (阿梨耶識) in the Qixin-lun (起信論), two problems are raised.
The first problem is whether the Qixin-lun tells the Dependent Arising (緣起) of the Ālaya-vijñāna or of the Tathāgata-garbha (如來藏). It is an obvious fact that the Ālaya-vijñāna is told in the Qixin-lun. The problem is its characteristic of the Combined Consciousness of True and False (眞妄和合識). Taking it as the Dependent Arising of the Tathāgata-garbha is stressing the view of the Substance (體性) out of the Three Greatnesses (三大) of the Qixin-lun; taking it as the Dependent Arising of the Ālaya-vijñāna is on the views of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相用). After analyzing the Qixin-lun, I proposed that the term of the Ālaya-vijñāna, which is in the first phrase of the Gate of Arising and Ceasing (生滅門) of the Qixin-lun, must be interpreted on the base of the views of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The second is whether the concept of the Ālaya-vijñāna in the Qixin-lun is an extension of the Dilun-zong School (地論宗) based on the Shidi-jing-lun (十地經論) and the Lengjia-jing (楞伽經) or an extension of the tradition of the Shedasheng-lun(攝大乘論). I asserted the necessity of approaching the Mind of Sentient Beings (衆生心) and the Ālaya-vijñāna in the Qixin-lun from a point of view of the theory of Three Natures (三性) of the Consciousness-Only Buddhism. The Qixin-lun’s accurate and separating use of terms of the One Mind (一心) and the Mind of
Sentient Beings reflects its theoretical intention to use the different terms according to different levels of the concept. In this respect, it does not accord with the Qixin-lun’s intention to take the first phrase of the Gate of Arising and Ceasing of the Qixin-lun, as the Dependent Arising of the Tathāgata-garbha. From these facts, I proposed that it was proper to understand the Ālaya-vijñāna, or, further, the Mind of Sentient Beings as the Nature of Dependence on Others (依他性) of the theory of Three Natures of the Consciousness-Only Buddhism.
After analysing the Commentaries’ interpretations on the Ālaya-vijñāna in the Qixin-lun, I made a result as follows:
Both the Tanyan (曇延)’s Commentary and its influencer, the Kyousho-oku Text (杏雨書屋本), or the oldest commentary in existence, interpret the Qixin-lun with adopting the theories of the Consciousness-Only Buddhist texts translated by Zhendi (眞諦). They are scarcely affected by the Dilun-zong School, nor do they ad
Table of contentsI. 問題의 所在 111
II. 기신론의 아리야식관 113
III. 기신론 주석서의 아리야식관 123
IV. 결 론 129
ISSN15980642 (P)
Hits295
Created date2021.06.15
Modified date2022.03.17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17145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