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고귀한 (이의) 네 진리’를 담은 표현의 문법적 문제와 초기불교의 이해에 대하여=The Four Ariya-saccas in Dhammacakkappavattana Reconsidered
Author 강성용 (著)=Kang, Sung-yong (au.)
Source 불교학연구=Korea Journal of Buddhist Studies
Volumev.59
Date2019.06
Pages1 - 25
Publisher불교학연구회=佛教學研究會
Publisher Url http://www.kabs.re.kr/
LocationDaegu, South Korea [大邱,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Contents note
Keyword고귀한 (이의) 네 진리=the Four Ariya-saccas; ariya-sacca; 「가르침의 바퀴를 처음 돌림」; dukkhasamudaya; dukkhanirodha; satya; Dhammacakkappavattana
Abstract「가르침의 바퀴를 처음 돌림」에 나타나는 ‘고귀한 (이의) 네 진리’를 나타내는 표현 들은 표면적인 문법면에서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 이 문제는 이미 벨러(F. Weller)가 진지하게 다루기 시작했고, 노먼(K. R. Norman)이 가장 설득력 있는 방식으로 해명하였 다. 그 내용은 “idaṃ dukkham”과 같은 단순한 표현 형태가 나중에 “ariya-sacca”라는 어구의 삽입을 통해 “idaṃ-dukkha-m-ariya-sacca”라는 통상적인 문법에 어긋나는 겹낱말을 구성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여기에 나타나는 모음충돌을 피하기 위해 싼디로 삽입된 -m-이 나중에 오해를 불러일으키는 출발점이 된다.
이러한 불교 전승사와 인도 언어사의 역사적 발전상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삼은 노먼의 탁월한 해명에도 불구하고, 현재 전승되는 형태의 텍스트 자체에 몰역사적으로 정당성을 부여하면서 불교사상사의 내용을 새롭게 이해해 보고자하는 시도들이 최근들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시도들은 상충되는 내용을 포괄하기 위한 과잉해석에 기초할 수밖에 없고, 이러한 과잉해석은 불교전통뿐 아니라 인도문화사 전반에 대한 부정확한 이해에 기초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진리”(sacca) 개념을 중심으로 한 하비(P. Harvey)의 해석을 예로 들어서, 그 구조적인 오류를 지적하고자 한다. 이는 구체적인 한 해석의 오류를 밝히는 것을 통해 「가르침의 바퀴를 처음 돌림」에 투영되어 있는 서로 일관되지 않은 층위들이 맞물려 있는 텍스트의 구조적인 문제를 드러내는 일을 포함하게 되고, 나아가 불교전승의 역사적 전개 양상을 불교 교리체계의 구축이라는 측면에서, 특히나 중요한 ‘고귀한 (이의) 네 진리’를 중심으로 해서 명확하게 드러내 주게 될 것이다.

The formulation of the four Ariya-saccas in the Dhammacakkappavattana has long attracted the attention of scholars. F. Weller has already pointed out long ago that the peculiarity in the Pāli text transmission of the Dhammacakkappavattana is strongly intertwined with this problem. The historical context in which the problematic formulations of the four Ariya-saccas emerged was elucidated in the most plausible way in K. R. Norman s remarkable publication.
Various attempts, however, have recently been made to interpret the contents of the four Ariya-saccas accepting the formulations of them in the Pāli text as it is given at present. In this paper, the over-interpretation of E. Shulman and P. Harvey will be critically reviewed, so that the problems of non-historical approach to the multi-layered text structures composed of different elements of historical developments can be revealed. As an exemplary case, some interpretative problems not solved by P. Harvey as to the formulation of the Ariya-sacca in the Dhammacakkappavattana will be discussed with a view that some problems are inherent in the historical multi-layering of the text. The discussions of other scholars on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Dhammacakkappavattana will be partly reviewed to demonstrate that some interpretative problems with regard to the formulation of the four Ariya-saccas are inevitably connected with the different layers of the text itself, which present implicitly the disparity among the layers in their understanding and contextualizing the Ariya-sacca.

Table of contentsI. 들어가는 말 2
II. 네 진리를 나타내는 표현의 문법적 문제 4
III. 「가르침의 바퀴를 처음 돌림」과 노먼 (Norman)의 해결책 7
IV. 「가르침의 바퀴를 처음 돌림」에서의 맥락과 과잉해석 12
V. 과잉해석을 구성하는 요소들과 그 문제 15
VI. 고귀한 (이의) 네 진리 해석의 문제 18
ISSN15980642 (P)
Hits251
Created date2021.07.07
Modified date2021.07.07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19121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