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자심분별에 대한 원효의 입장 -- 『대승기신론소』⋅『별기』를 중심으로 =Wonhyo’s Position on Awareness of Self - Mind - With Reference to the Daeseunggisillon so-byelgi (大乘起信論疏別記)
Author 김성옥 (著)=Kim, Seong-ock (au.)
Source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Volumev.86 n.0
Date2018.05
Pages229 - 253
Publisher한국불교학회
Publisher Url http://ikabs.org/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다르마칼리지 조교수
Keyword원효=Wonhyo; 자심분별=Awareness of self-mind; 자기인식=Self-cognition; 유식=Yogacāra; 중관=Mādhyamaka
Abstract“마음이 생겨나면 갖가지 법이 생겨나고, 마음이 사라지면 갖가지 법이 사라진다.” 『대승기신론』과 원효의 주석에는 이와 같은 유심사상(唯心思想, cittamātra)이 대승법의 근원으로서 제시된다. 또한 일체법은 모두 마음으로부터 생겨난 것이고, 일체의 분별은 곧 자심을 분별하는 것(自心分別)이라고 말한다. 여기에는 유식학파가 인정하는 자기인식(自證, svasaṃvedana)이 함축적으로 암시되어 있다. 그렇다면 마음은 마음을 볼 수 있는가. 이 문제에 관한 원효의 입장에서는 자기인식에 대하여 비판적 입장을 취했던 중관학파의 관점을 엿볼 수 있다. 따라서 양쪽의 입장을 회통하고자 하는 원효의 해석에서 유식과 중관의 종합이라는 논리적 입지점을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자심분별에 대하여 원효는 미세한 식과 거친 분별이라는 의(意) 전변의 이중구조를 통해 해명하고 있다. 의(意)는 의식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되고, 육진경계를 반연할 뿐만 아니라 본식의 미세한 경계도 반연한다고 강조된다.
이러한 입장은 “대승의 의근은 곧 말나”라고 부르는 것을 통해 뒷받침 된다.
따라서 “모든 마음과 마음작용은 모두 자신을 아는 것”이라는 진나의 『집량론』이 언급되고 있지만, 원효에게 있어서 마음과 마음작용에 관한 문제는 의식의 영역에서 일어나는 의(意) 전변의 한 가지 작용에 불과하다.
원효에 따르면, 일체의 분별이 자신의 마음을 분별하는 것이라는 주장은 마음 바깥에 견분과 상분이 따로 있지 않고, 오직 마음일 뿐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마음은 마음을 보지 못한다는 주장 역시 두 가지 상을 얻을 만한 것이 없고, 오직 마음일 뿐이라는 것을 말해준다. 이와 같은 해석은『대승기신론』 의 입장을 대변한 것이기도 하겠지만, 이 문제에 관한 옛 것과 새 것의 회통에서 원효가 지닌 불교사상의 진면목을 확인할 수 있다. 그는 가유(假有)⋅가무(假無)로서의 자증은 인정하지 못할 바가 없다고 말한다. 더욱이 가명의 차원은 실상의 차원으로, 실상의 차원은 다시 가명의 차원으로 향하는 순환의 논리를 전개하고 있다. 있음과 없음을 비롯한 일체의 대립적 구분을 해소하고, 공성의 자성 역시 공하다고 말하는 것이야말로 회통의 논리적 입지점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말할 수 있다.

“When the mind is born, all kinds of dharma are created, and when the mind disappears, all kinds of dharma disappear.” In the Daeseunggisillon (大 乘起信論) and the commentaries of Wonhyo (元曉), the thought of mind only (唯心, cittamātra) is presented like this as the root of the Great Vehicle. In addition, all kinds of dharma are derived from the mind, and all kinds of discernments are said to discriminate the self-mind. This implicitly implies self-cognition (自證, svasaṃvedana), which is recognized by the Yogacāra. If so, can the mind see the mind itself? Wonhyo’s view on this issue would be considered as the viewpoint of Mādhyamaka, which took a critical position on self-awareness. Therefore, in the interpretation of Wonhyo who intends to reconcile both sides of the Yogacāra and the Mādhyamaka, we can find his logical position in the synthesis of both sides.
Wonhyo explains the self-discernment through the dual structure of the unfolding of manas (意), namely the subtle consciousness and the rough discrimination. Manas is considered to include consciousness, and it is emphasized to grasp not only the appearance of the six dusts (六塵) but also the appearance of the subtle original consciousness (本識). This position is supported by his understanding that “The mental faculty of the Great Vehicle is the manas (末那).” Therefore, although he cites the proposition that “all mind and mental activities are self-awareness” in the Pramāṇasamuccaya of Dignāga, the problem of mind and mental activities is just one function among the transformations of manas.
According to Wonhyo, the claim that all kinds of discernment are to discriminate the self-mind indicates that there is no seeing and there is nothing to be seen outside the mind, so that there is only the mind. The claim that the mind can not see the mind shows also that the two aspects of the mind are nothing to gain, so that there is only the mind. Such an explanation may represent the position of the Daeseunggisillon, but we can confirm the true nature of the Buddhist thought of Wonhyo in his reconciliation between the old position and the new position on this problem. He says that there is nothing unacceptable in the self awareness (自證分) as a metaphorical existence (假有) or a metaphorical non-existence (假無). Moreover, the logic of circulation is being developed from the level of secular to the level of ultimate, and from the level of ultimate to the level of secular. We can say that it is a representative case that shows his logical position by solving all the conflicting divisions, including existence and non-existence, and saying that the nature of the emptiness is also empty.
Table of contentsⅠ. 서론 231
Ⅱ. 意 전변의 이중구조 233
Ⅲ. 마음은 마음을 볼 수 있는가 240
Ⅳ. 假有-假無를 통한 회통 245
Ⅴ. 결론 249
ISSN12250945 (P)
Hits72
Created date2021.09.20
Modified date2021.09.20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23691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