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원효의 『십문화쟁론』 「불성유무화쟁문」 검토=The Study on The Chapter on the Reconciliation of Dispute on the Buddha-nature in The Treatise on the Reconciliation of Disputes in Ten Aspects of Wonhyo
Author 김영일 (著)=Kim, Yeong-il (au.)
Source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Volumev.66 n.0
Date2013.08.31
Pages195 - 221
Publisher한국불교학회
Publisher Url http://ikabs.org/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동국대학교(서울) 불교학부 강사
Keyword원효=Wonhyo; 화쟁=Harmonization; 불성=Buddha-nature; 십문화쟁론=The Treatise on the Reconciliation of Disputes in Ten Aspects; 불성유무화쟁문=The Chapter on the Reconciliation of Dispute on the Buddha-nature
Abstract본고에서는, 불성유무논쟁에 대한 원효의 대답을 듣기 위해서, 그가 저술한 『십문화쟁론의 「불성유무화쟁문」을 철저히 이해하고자 하였다.
첫째, 「불성유무화쟁문」은 『십문화쟁론』에서 2번째로 등장하였을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된다. 또한, 「불성유무화쟁문」의 구조는 무성론과 유성론이 주장하는 부분, 양론이 서로 논란을 벌이는 부분, 원효가 양론을 회통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둘째, 주장부분에서는 먼저 무성론이 『현양성교론』 등을 거론하며, “일천제의 중생은 불성이 없어서 부처님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다음 유성론에서는 『열반경』 등을 제시하며, “일천제를 포함한 모든 중생에게 불성이 있다”고 주장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셋째, 논란부분에서는 먼저, 유성론자가 무성론자에게 2가지의 논점을 가지고 논박을 가하자, 이에 대해서 무성론자가 응수를 하였다. 다음, 무성론자가 유성론자에게 다른 2가지의 논점을 가지고 반박을 가하자, 이에 대해서 유성론자가 변론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넷째, 회통부분에서는 원효가 “양론은 모두 옳다”고 선언하여 양론을 화해하고 있는 것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그리고 의지문과 연기문이라는 二門을 제시하여, 의지문에서 무성론이 도출되고 연기문에서 유성론이 도출될 수 있기 때문에, 양론이 모두 옳다고 판단한 것도 추정이 가능하다.

To hear Wonhyo's answer to the dispute on Buddha-nature, The Chapter on the Reconciliation of Dispute on the Buddha-nature was studied. As the second chapter, it may have 3 parts: 'the assertive part', 'the debating part',
and 'the decisive part'.
In the assertive part, the theory of non-existence of Buddha-nature may asserted that icchantika hasn't Buddha-nature so he can't be a Buddha. And the theory of existence of Buddha-nature may asserted that all sentient beings have Buddha-nature so they can be Buddhas.
In the debating part, the theory of existence of Buddha-nature made attacks on the 2 issues and the theory of non-existence of Buddha-nature defended them. And then, the theory of non-existence of Buddha-nature made attacks on the other 2 issues and the theory of existence of Buddha-nature defended them.
And in the decisive part, we can know that he harmonized the two theories saying that the two theories are all right. And we also can see that he used the method of two aspects which has the aspect of Eui-ji(依持門) and the aspect of Yeon-gi(緣起門) in this case.
Table of contentsⅠ. 머리말 198
Ⅱ. 전반적인 논의 199
1.「불성유무화쟁문」의 위치 199
2.「불성유무화쟁문」의 구조 202
Ⅲ. 소위‘주장’부분 204
1. 무성론의 주장 205
2. 유성론의 주장 207
Ⅳ. 소위‘논란’부분 209
1.『열반경』의 문구들 210
2. 무성론 주장의 문제점 212
3.『현양론』의 문구들 - 제3논점 213
4. 유성론 주장의 문제점 - 제4논점 213
Ⅴ. 소위‘회통’부분 215
1. 의지문과 연기문 216
2. 유무양론의 회통 217
Ⅵ. 맺음말 219
ISSN12250945 (P)
Hits39
Created date2021.11.09
Modified date2021.11.09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27195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