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율장을 통해 본 승단과 현대사회의 조화 -- 율 제정의 배경을 중심으로=The Harmony between Saṃgha and Modern Society based on Vinaya-piṭaka -- centered around the background of vinaya’s establishmen
Author 李慈郎 (著)=Lee, Ja-rang (au.)
Source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Volumev.45 n.0
Date2006.08
Pages155 - 187
Publisher한국불교학회
Publisher Url http://ikabs.org/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동경대학 외국인특별연구원
Keyword율=vinaya; 계=sīla; 계율; 차법=遮法; 제계십리=制戒十利; 정법=凈法; antarāyikadhamma; saṃgha; upasampadā
Abstract본 논문에서는 율이란 절대적인 진리로서 파악해야 할 가르침이 아닌, 승단 내외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재해석될 수 있는 현실적이고도 실천적 성격이 강한 가르침이라는 점을 율 제정의 배경에 관한 고찰에 근거하여 지적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계율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지만, 본래 계와 율은 각각 명확히 구분되는 의미를 지니며 그 역할 또한 구분된다. 계가 세간의 도덕이나 윤리에 비유할 만한 것으로, 자발적으로 악을 떠나고자 하는 강한 정신력을 의미한다면, 율은 국가의 법률에 비유할 만한 것으로 승단이라는 특수한 공동체의 질서를 위해 출가자들이 반드시 지켜야 할 강제성을 띤 규칙을 의미한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계율이라는 복합어가 사용되면서 두 용어의 차이가 무시되고, 결과적으로 이는 중대한 문제를 야기해 왔다.
계는 인간으로서 혹은 불교도로서 갖추어야 할 바람직한 인격 양성 및 깨달음의 성취를 목적으로 하지만, 율은 승단의 안정과 발전을 최우선의 목적으로 제정된 규칙이다. 따라서 율은 계와는 달리, 현실을 반영하는 내용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승단이 속한 일반 사회와의 양호한 관계 유지를 위해 제정되었다고 생각되는 규칙들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율장의 규정 가운데 차법(遮法), 즉 구족계를 받지 못하는 조건을 규정한 율 조문들을 살펴보면, 당시 불교승단이 일반사회의 의견에 매우 적극적으로 반응, 이들의 의견을 율에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사회의 보시에 의존하여 생계를 해결하는 생활방식을 선택한 불교승단에게 있어 이들과의 양호한 관계 유지는 승단의 안정과 발전을 위해 무시할 수 없는 요소였을 것이다. 그러므로 율을 통해 이를 적절히 조율해 나가는 방법으로 일반사회와의 알력 없는 조화를 도모했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태도가 승단의 안정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이는 율이 절대적 진리가 아닌, 승단 내외의 변해가는 환경과 함께 재해석되고 변화할 수 있는 가르침임을 보여준다. 그런데 기존승단은 율의 이와 같은 특성을 무시하고 율을 절대적인 진리로 파악함으로써, 변화하는 시대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권위적 태도는 승단을 일반사회로부터 점차 격리시키고 도태시키는 결과를 낳게 될 것이다.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불교승단은 율을 제정한 붓다의 의도를 주의 깊게 되돌아보고 율의 본질을 파악함으로써, 승단 내외의 환경 변화에 적절하고도 현명하게 대응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llustrate that vinaya should not be perceived as an unchangeable and absolute truth, but as the realistic and practical teachings which can be re-interpreted with change of samgha`s inside and outside environments.
Generally, we use the single word jie lu 戒律 to talk about the rules of the samgha, but if we look at the characters which compose jie lu 戒律, sila 戒 and vinaya 律, both possess different meanings and have separate roles. Sila means strong spiritual power against evil, it compares morals and ethics. However, vinaya means obligatory rules that monks and nuns have to follow for the order of samgha. But since the word of jie lu 戒律 came into use by Chinese Buddhists, these different meaning between sila 戒 and vinaya 律 have been disregarded. This has caused serious problems for the Buddhist community.
The aim of sila is to achieve enlightenment through training the Buddhist`s ethical personality. However, vinaya was mainly devised for the stability and the development of samgha therefore, it possesses quite a different meaning than sila. Vinaya contains many ideas that reflect reality.
We should especially pay close attention to the vinayas that were enacted in order to keep a good relationship between samgha and the general public. For example, studying antarayikadhamma, the set of rules by which person can not get upasampada, we can see that the buddhist samgha carefully reacted to the opinions of the general society. The reason for this close attention to society was most probably due to the Buddhist samgha relying on the generosity of the public. In other words, samgha intended to harmonize with the general society through vinaya. It is certain that this attitude contributed toward the stability and the development of samgha.
This observation suggests that vinaya should not be taken as the absolute truth, but the realistic and practical teachings which can be re-interpreted with the change of samgha`s inside and outside environments. However, through this obsetvation, I feel that the existent samgha ignores the essential idea and meaning of vinaya, thinking of it as the absolute truth. This has resulted in the samgha`s inability to react to changeable age. Such a conservative attitude may lead to the isolation of samgha from the general society.
After examining the spirit of the Buddha who established vinaya, we can see the great importance of samgha`s and the society`s relationship. The Buddhist samgha of modern society needs to attempt to create and maintain harmony with the general public, based on common sense of today`s society.
Table of contentsⅠ. 문제의 제기-율은 절대적인 진리인가?- 158
Ⅱ. 율의 의미 164
1. 계와 율의 차이 164
2. 계와 율의 정신 169
Ⅲ. 율장을 통해 본 승단과 일반사회의 관계 172
1. 출가자와 재가자의 조화 172
2. 율의 역할-차법 규정을 중심으로- 175
Ⅳ. 맺음말-현대사회에서 율의 역할- 179
ISSN12250945 (P)
Hits116
Created date2021.12.08
Modified date2021.12.08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29761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