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佛敎 包括主義와 韓國 民俗宗敎 --正法과 習合主義의 葛藤과 力動性=Buddhist Inclusivism and Korean Folk Religions -- Problems of Sadharma and Dynamics of Sycretism
Author 金容彪 (著)=Kim, Yong-pyo (au.)
Source 한국불교학=韓國佛教學
Volumev.40 n.0
Date2005.02
Pages239 - 269
Publisher한국불교학회
Publisher Url http://ikabs.org/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
Keyword불교 포괄주의=Buddhist Inclucivism; 습합=Sycretism; 무교=Shamanism; 민속불교=Folk Buddhism; 불교민속
Abstract본 연구는 불교가 타종교를 조우하여 교섭하고 적응해 온 원리인 포괄주의에 대한 탐색으로서 불교는 무교를 비롯한 다른 민속종교의 위상을 어떻게 정립시켰는가 하는 점을 밝히고자 하였다. 종교의 전파과정에서 일어나는 토착화 (inculturation)란 외래문화를 그 지역에 뿌리를 내리는 일인데, 이 경우는 사상적인 요소보다는 신앙형태의 변화를 통하여 고유 종교와 융합해가는 것이 일반적인 현상이다. 이질적인 문화와 전통이 만나서 일어나는 습합현상은 불교와 한국의 민속종교(folkreligion)와의 교섭사에서도 뚜렷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불교와 전통적‘巫敎’와의 습합 현상과 이에 따라 나타난 ‘민속불교’는 불교 자체 내에서도 비판과 정법성 논쟁이 끊이지 않게 되었다. 불교는 본래 緣起說에 바탕을 둔 세계관과 인생관을 가르치는 종교이므로, 여기에 어긋나는 가르침은 外道라고 하여 正法으로 교화해야 할 대상으로 여기게 된다. 그러면서도 다른 종교나 사상에 대해 관용적인 태도로 보였으며, 이 들을 불교 안으로 끌어들여 유연하게 해석하는 포괄주의 논리로 타종교와의 조화를 모색해 왔다.
불교의 근본 입장에서 볼 때 불교와 무교가 습합된 형태의 ‘민속불교’는 비판의 대상이 되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이에 반하여 무교 내지 민속신앙의 필요에 의해 발전된 ‘민속불교’ 또는 ‘무불의 습합현상’은 불교의 포교 의지와는 전혀 상관없이 독자적으로 전개된 문화 현상일 뿐이다. 그러나 ‘불교민속’의 차원의 종교적 습합현상은 불교의 관용성과 함께 무교의 신앙형태를 주체적으로 수용한 교화 방편으로 인정하고 있는 것이 한국불교계의 주된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종교사에 있어서 불교와 무교의 교섭관계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무불 습합 과정에 대한 역사적 연구나 신화와 의례적 연구가 주류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두 신앙체계에 대한 교섭과 대화의 문제에 대한 접근을 위해서는 불교 정법주의와 포괄주의적 입장뿐만 아니라 무교 또는 민속불교의 입장과 종교사와 민속학적 입장 등에서의 다층적인 조명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불교와 민속종교와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교리적 차원보다는 종교문화사적 이해와 문화해석학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모든 종교는 역사적이고 문화적인 현상이라는 평범한 사실에 주목해야 한다. 불교도 역사적 종교의 하나로써 사상과 문화의 역사성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불교의 민속종교와의 교섭에 대한 평가는 교리적 문제보다는 종교문화사적 현상 관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The present essay deals with the way how the Buddhism has established the status of Shamanism and other folk religions in the system of inclusivism, the Buddhist principle, by which the Buddhism has accommodated to the indigenous religious practices, when it comes in contact with them. The inculturation which occurs at the time of religious transmission is to implant foreign culture to the mattered land. Here the accommodation of missionary religion to indigenous religious practices is usually made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external features rather than that of doctrinal elements. In the interaction between Buddhism and korean folk religions we can see clearly the phenomena of syncretism arising from the contact of two different cultures of long tradition.
However there have been constant disputes over orthodoxy of folk Buddhism, which has been developed by accommodation of traditional Shamanism to Buddhism. The problems of orthodoxy and authenticity inside a religious order are most acute, because they are concerned with defining its own identity. Here the
problem of orthodoxy is to examine, externally, the legitimacy of the scriptures of mattered religion and its belief system. Meanwhile, the problem of authenticity is, internally, dealing with the truth of the doctrinal teachings.
The fundamental teaching of Buddhism is the doctrine of Dependent Arising of all things. From the Buddhist viewpoint, the adherents of other religious systems contradictory to this teaching are wrong and should be enlightened to this truth. Although, the spirit of tolerance toward other religions and philosophies has been cherished in the Buddhist tradition, pursuing the harmony with other religions by the logic of inclusivism which gives acknowledge and understanding to other religions. The folk Buddhism deserves to be criticized from the fundamental viewpoint of Buddhism. Though, it is an independent cultural movement which has been developed to meet the needs of shamanism and folk religions, free from the missionary ambition of established Buddhism. At this point, the main stream of Korean Buddhism is to regard syncretized folk Buddhism as a means for propagation, resulted from the subjective reception of shamanism in the tradition of Buddhist toler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religions, the existing studies of syncretic relation between Buddhism and shamanism mainly dealt with its history, myths and rituals. But the question of accommodation and dialog between the two religious systems should be examined from different points of view, considering not only the position of orthodox Buddhism and Buddhist inclusivism, but also that of shamanism and folk Buddhism, as well as current studies in history of religions and
Table of contentsⅠ. 問題의 所在 242
Ⅱ. 他宗敎文化에 대한 불교의 交涉 原理 244
1. 지혜에 입각한 비판 244
2. 관용과 방편주의 246
Ⅲ. 佛敎 包括主義 體制 속의 民俗宗敎 248
1. 佛敎의 韓國化와 土俗信仰 248
2. 包括主義 속으로의 巫敎의 諸神 수용 251
Ⅳ. 民俗佛敎와 巫敎: 轉用과 改作을 통한 불교의 變形 256
1. 죽음과 來世觀 256
2. 神話와 儀禮 259
Ⅴ. 結論: 佛敎 包括主義의 力動性과 限界性 261
ISSN12250945 (P)
Hits41
Created date2021.12.14
Modified date2021.12.14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30710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