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인도 사상에 있어 표현할 수 없는 것에 대한 언어표현=The controversy surrounding 'inexpressible'(avyapadeśya) in the definition of perception(pratyakṣa) between Naiyāyika and Buddhist
Author 박기열 (著)=Park, Ki-Yeal (au.)
Source 불교연구=佛教研究=Bulgyo-Yongu
Volumev.54 n.0
Date2021.02.28
Pages9 - 36
Publisher韓國佛教研究院
Publisher Url http://kibs.or.kr/xe/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동국대학교 인도철학·불교학연구소 연구초빙교수
Keyword지각; 무분별지; 바츠야야나=Vātsyāyana; 웃됴타카라=Uddyotakara; 디그나가=Dignāga; 다르마키르티=Dharmakīrti; 카라마쉬라=Kamalaśīla; pratyakṣa; nirvikalpaka
Abstract본고의 주요 논지는 제2장과 제3장으로 구성된다. 제2장에서는 구 니야야 학파의 지각의 정의 중에 서술되는 “표현할 수 없는 것(avyapadeśya)”이라는 용어를 둘러싼 불교와의 논쟁을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디그나가의 지각의 정의 중에 지각(pratyakṣa)과 분별의 배제(kalpanāpoḍha)라는 용어를 둘러싼 니야야 학파와의 논쟁을 살펴본다. 니야야 학파는 지각을 표현할 수 없는 무분별지와 표현할 수 있는 분별지라는 두 종류를 인정한다. 그러나 불교는 지각을 표현할 수 없는 무분별지만 인정한다.
니야야 학파의 견해로서는 바츠야야나와 웃됴타카라의 입장을 정리하고, 불교 측이 비판하는 논리를 검증한다. 또한 불교의 견해로서는 디가나가의 입장을 정리하고, 니야야 학파 측이 비판하는 논리를 검증하는 동시에 카마라쉬라의 재반론의 논리를 분석한다.
본고의 후반부에 해당하는 제4장에서는 필자는 전반부의 논지를 기반으로 각 학파의 표현할 수 없는 지각이 가지는 논리의 자기모순성을 실험적으로 지적한다. 우선 불교 측의 자기모순성에 관해서는 다르마키르티의 지각 정의에 등장하는 “착각이 없는 것(abhrānta)”을 디그나가가 니야야 학파의 표현할 수 없는 것이라는 한정사를 비판하는 논리의 잣대로써 검증한다.
이어서 니야야 학파 측의 자기모순성에 관해서는 표현할 수 없는 지각을 다음 세 가지 점에 주의해서 살펴본다. 첫째, 지각이란 실체, 속성, 운동에 대한 인식이라는 점. 둘째, 지각은 보편 내지 특수가 전제되어야 한다는 점, 셋째, 그 보편과 특수가 대상에 내속하는 것이 아닌 명칭으로서 보편과 특수라는 점. 결론적으로 필자는 니야야 학파의 표현할 수 없는 지각은 실체, 속성, 운동에 내속하는 보편 내지 특수를 인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그것을 전제로 하는 표현할 수 없는 지각의 생기는 논리상 자기모순이라고 결론짓는다.

In the first part, the paper examines the debate between Naiyāyika and Bauddha about the term, inexpressible(avyapadeśya) described in the context of the definition of perception(pratyakṣa) in Nyāya sūtra. In the second part, the paper considers their arguments about the terms, perception, and conceptual construction(kalpanāpoḍha). Nyāya school acknowledges two kinds of perceptions, one is non-inexpressible and devoid of conceptual construction, the other is expressible and conceptual construction. Buddhist school admits, however, the formal as the only perception.
The paper summarizes the perspective of Vātsyāyana and Uddyotakara on inexpressible perception as Nyāya school's positions and also examines their contentions from the view of Buddhist school. On the other hand, it is shown that not only the viewpoints of Dignāga and Dharmakīrti on the exclusion of conceptualization but also how they are criticized by Nyāya school. Besides, the counterargument of Kamalaśīla is introduced with my analysis according to Buddhist logic.
Finally, the research examines the term, non-erroneous(abhrānta) in Dharmakīrti's definition on perception described in Pramāṇaviniścaya and Nyāyabindu with the angle of Dignāga that is the same as he verifies inexpressible of Nyāya school. On the other hand, I consider the inexpressible perception of Nyāya with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perception is the cognition of substance(dravya), properties(guṇa), action(karman). Second, perception of something has to have the preceding condition that is the cognition of universality(sāmānya) or specificity(viśeṣa) to validate perception. Third, The preceding universality or specificity is not inherent in substance, properties or action, but has already been cognized as the designation before perceiving universality or specificity inherent I conclude it is impossible to aware of universality or specificity inherent in substance, properties, or action when we have inexpressible perception because there is no way to reach universality or specificity without designation of universality or specificity.

Table of contentsⅠ. 서론 11
Ⅱ. 『니야야 브하샤』의 지각에 있어 “표현할 수 없는 것”(avyapadeśya)에 관한 논쟁 12
1. 감각기관과 대상과의 접촉 12
2. 대상에 대한 지각 과정 13
3. 지각과 언어표현 15
4. 언어표현 불가능한 지각 16
5. 『집량론·주』의 니야야 학파의 표현할 수 없는 것에 대한 비판 18
Ⅲ. 『집량론·주』의 표현할 수 없는 것과 지각의 명칭에 관한 논쟁 20
1. 『집량론·주』의 지각의 명칭에 대한 웃됴타카라의 비판 21
2. 카마라쉬라의 재반론 22
Ⅳ. 표현할 수 없는 지각의 자기모순성에 관한 두 가지 시론 25
1. 다르마키르티의한정사“착각이없는것”(abhrānta)에대한비판적고찰 25
2. 니야야 학파의 ‘표현할 수 없는 지각’과 보편(sāmānya)의 문제 27
Ⅴ. 결론 29
ISSN12253154 (P)
DOI10.34275/kibs.2021.54.009
Hits27
Created date2021.12.22
Modified date2021.12.22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31234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