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간화선의 서양 전달과 그 수용 -- 입실제도(入室制度)를 중심으로=The Transmission & Reception of Hwadu Investigation Meditation (看話禪) in the West: a Research Centered on the Master-Disciple Encounter System (入室制度)
Author 서명원 (著)=Bernard SENÉCAL S. J (au.)
Source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Volumev.26 n.0
Date2010.08.30
Pages181 - 216
Publisher韓國禪學會
Publisher Url http://www.seonstudy.org/seon/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서강대학교
Keyword입실제도=入室制度=master-disciple encounter system; 무문관=無門關=Mumungwan; 공안과정=公案課程=course of kōans; 화두=話頭=hwadu; 한국의 간화선(看話禪)=Korean hwadu investigation meditation; 서구문명의 간화선=Western hwadu investigation meditation; 토착화=土着化=inculturation=cultural adaptation; keyword meditation (KWM)
Abstract본고는 한국의 간화선을 북미와 서유럽을 비롯한 서양에 소개하는 데 필요한 ‘무문관(無門關)을 바탕으로 하는 간화선의 입실제도(入室制度)’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이 입실제도는 선종의 전통적인 행의(行儀)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에서 거의 행해지지 않고 있으므로, 앞으로 복원될 필요가 있는 중요한 일상 의례이다. 국내외적으로 이 입실제도가 행해지는 수행단체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한국에는 대표적으로 선도성찰나눔실천회(선도회라고도 함), 관음선종(觀音禪宗) 등이 있고, 해외에서는 일본의 임제종과 조동종을 따르는 곳과 삼보교단 등을 들 수 있다. 여러 가지 화두(話頭)를 일일이 보아 나가는 이 입실제도는, 선종(禪宗)의 주요 정신 중의 하나인 돈오론(頓悟論)과 맞물려서 하나의 화두를 참구대상으로 하는 수행관의 입장에서 볼 때, 비판의 대상이 될 수 있지만, ‘일즉다 다즉일(一卽多 多卽一)’의 원리를 감안한다면 서로 대립할 필요가 없다.
입실제도를 서구문명에 적용시키고자 할 때는 무엇보다 서양문화권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 그 구체적인 지침으로서 필자가 만들어 온 세 가지 사례를 든다면, 첫째 진리에 대한 대화적 접근 방법, 둘째 전자우편 및 전화를 통한 입실, 셋째 서구문명에 알맞은 화두 만들기 등이다. 입실제도를 통하여 스승과 제자가 서로 대화하면서 배우고 성장하는 상생의 과정으로 생각하는 것이 서구문명에도 알맞은 입실제도의 정신이며, 한정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범세계적으로 서로가 적시에 만나기 위한 부득이한 방편으로써 전자우편 및 전화를 통한 입실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동북아 문명의 산물인 화두참구 수행법의 근거를 이루는 다양한 사상과 문화에 대하여, 최소한 해설서와 공안집의 정확한 번역서를 만들어야 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서구 사람들이 간화선 수행법을 쉽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만약 그것을 모르더라도 참구 가능한 현대적 화두를 만들 필요가 있다.
그 외에도 서구문명에 입실제도를 성공적으로 전달하려면, 다양한 선종(禪宗 및 불교 전통이 자체적으로 서로 개방적 정신을 가지고 상호보완성을 유지해 나가야 하며, 한 걸음 더 나아가 이웃 종교에 대한 열린 마음으로 서로를 자비롭고 겸손하게 사귈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입실제도의 바른 지도(指導)로 종교 간의 경계선을 넘나들 줄(Crossing Boundaries) 아는 정신을 길러주어야 한다. 이때 봉불살불(逢佛殺佛) · 봉조살조(逢祖殺祖)와 같은 선수행의 정신을 창조주에 대한 믿음이 밑바닥에 깔려있는 서구문명에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을지가 하나의 큰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간화선의 서구 전달과 수용을 더욱 성공적으로 하기를 바란다면, 그 상황에 보다 더 알맞은 입실제도의 개발을 추구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역사가 우리를 더욱 더 알맞은 입실제도의 적용에로 부르고 있으니, 우리는 그 역사의 부름에 응답하지 않으면 안 된다.

This paper is a research on the introduction to the Western world —chiefly Europe and North America— of the meditation practice called hwadu investigation. It is centered on the master-disciple encounter system based on the Mumungwan 無門關. Although that system is part and parcel of the meditative school tradition, its use being very marginal in today’s Korea, it ought to be discovered —or rediscovered?— and broadly put in practice in the future. In Korea, organizations like the Sŏn Way’s Association (禪道會) and the Kwanŭm Sŏn School (觀音禪宗) make full use of it; in Japan, in addition to the Rinzai and the Sōtō schools, it is used by the Sanbo Kyodan (三寶敎團). Some Koreans criticize that encounter system because it uses a series of hwadus instead of a single one, arguing that the use of more than one hwadu contradicts the doctrine of sudden awakening (頓悟). But if we keep in mind the doctrine saying that “one is all and all is one” (一卽多 多卽一), that criticism may become pointless.
Above all, attempts to introduce the master-disciple encounter system to the West should bear in mind the need to adapt it to values of the Occident. This paper emphasizes three aspects of that inculturation (cultural adaptation): a dialogical approach of truth; the use of electronic mail, telephone, and Skype; the creation of hwadus accessible to the Western mind. A Socratic master-disciple encounter conceived as a dynamic process of ongoing growth, not only for the disciple but also for the master, is best suited to answer the needs of the Western mind. The use of electronic mail, phone and even Skype —for visual encounters— allows the master to continue guiding the disciples even when regular and direct encounters are difficult or impossible. When accurate translations and commentaries of kongan collections (公案集) are not enough, new series of conundrums, Western in content but thoroughly Sŏn in spirit, ought to be created.
In addition to the above adaptations, a master-disciple encounter system suited to the West should not display a closed spirit —like that of a family of frogs living at the bottom of a well—, but one like that of the Indian emperor Aśoka (3rd century BCE), i.e. not afraid to cross boundaries in order to learn not only from other meditative practices and Buddhist schools, but also from other religions. Conversely, as it is deeply influenced by the belief in God as the Creator of all, Western culture has to learn, for instance, from the iconoclastic Sŏn tenet stating that "if you see the Buddha, kill the Buddha; if you see the
Table of contentsⅠ. 들어가는 말 181
II. 『무문관(無門關)』을 바탕으로 하는 입실제도 184
1. 입실을 통한 수행과정 184
2. 그 제도에 대한 비판 186
3. 그 비판에 대한 반론 187
III. 서구문명에 입실제도(入室制度)의 적용 192
1. 진리에 대한 대화적 접근 방법 193
2. 전자우편 및 전화를 통한 입실 194
3. 서구문명에 알맞은 화두 만들기 195
IV. 맥락을 폭넓게 잡는 입실제도 198
1. 선종(禪宗) 및 불교에 대한 개방적 정신 198
2. 이웃 종교에 대한 열린 마음 201
3. 봉불살불(逢佛殺佛) · 봉조살조(逢祖殺祖) 204
V. 맺음말 206

ISSN15980588 (P)
Hits50
Created date2022.03.23
Modified date2022.03.23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36674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