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용흥사(龍興寺) 소장『만선동귀집(萬善同歸集)』의 간행과 특징=The Publ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Wanshantonggui ji (萬善同歸集) housed in Yongheungsa Temple(龍興寺)
Author 박인석 (著)=Park, Inn-suk (au.)
Source 선학=禪學=Journal of Seon Studies
Volumev.38 n.0
Date2014.08.30
Pages5 - 34
Publisher韓國禪學會
Publisher Url http://www.seonstudy.org/seon/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동국대 불교학술원 조교수
Keyword용흥사=龍興寺=Yongheungsa Temple; 『만선동귀집』=萬善同歸集=“Wanshantonggui ji”; 영명 연수=永明延壽=Yongming Yanshou; 관경인=關景仁=Guanjingren; 사지 선화=謝池善華=Xiechi Shanhua; 동오 경덕사=東吳景德寺=Dongwu Jingdesi Temple; 밀성군 영원사=密城郡瑩原寺=Milseong-gun Yeongwonsa Temple; 승량=僧亮=Seungryang; 초의 의순=草衣意恂=Choeui Euisun
Abstract이 논문은 2011년 하반기 전라남도 용흥사에서 발견된 『만선동귀집』의 중국과 고려에서의 간행 및 특징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우선 용흥사 소장 『만선동귀집』은 현재 일반적으로 유통되고 있는 대정신수대장경에 수록된 판본보다 1년 앞선 1071년에 중국의 동오(東吳)경덕사(景德寺)에서 간행되었다. 이는 관경인(關景仁)의 서문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동오 경덕사에 대해서는 정확히 어떤 곳을 확정짓기 어렵지만, 북송 당시 양절로(兩浙路)동쪽에 위치한 5개 주(州)와 32개 현(縣)을 대상으로 경덕사를 찾아본 결과 5개소가 발견되어 그 범위를 줄일 수 있었다.
다음으로 관경인의 서문에는 『만선동귀집』의 저자에 대한 논란과 그에 대한 해결책이 나와 있다. 관경인은 영명 연수(永明延壽, 904~975)가 입적한지 대략 100여년이 되는 1071년 당시 『만선동귀집』의 찬자로 영명 연수와 더불어 사지 선화(謝池善華)를 거론한다. 사지 선화에 대해서는 현재 고찰할 길이 없지만, 사지가 지명일 경우 오늘날 항주에 근접한 온주(溫州)를 가리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관경인은 연수의 『자행록』 등의 기록에 근거해서 『만선동귀집』의 찬자가 연수임을 증명해주고 있다.
연수의 저작 가운데 다수가 고려시기 간행되었지만, 그간 『만선동귀집』의 간행에 대한 기록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런데 용흥사 소장본의 마지막 장에는 이 책이 밀성군(密城郡) 형원사(螢原寺)에서 주지(住持)사문(沙門)승량(僧亮)에 의해 간행된 기록이 남아 있어, 이 문헌이 고려시기에 간행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고에서는 형원사를 영원사(瑩原寺)와 같은 곳으로 간주하고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이 책은 중국에서 간행된 1071년 이후부터 현재의 밀양이 밀성군으로 칭해지던 1275년 사이 영원사가 천태종 소속의 사찰이었을 시점에 간행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책은 초의 의순(草衣意恂)에게 전해지는 과정에서 심하게 훼손된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초의가 1855년에 훼손된 부분을 직접 써서 이 책을 다시 만들었던 것이다. 현재 이 책은 목판 인쇄본과 초의가 필사한 부분이 섞여 있다. 초의의 저작에는 『만선동귀집』을 직접 인용한 부분이 확인되지는 않지만, 이 책이 고려 이후 조선 후기까지 지속적으로 유통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e article is aimed to identify the publication between China and Goryeo and characteristics of the “Wanshantonggui ji (萬善同歸集)” found in Yongheungsa Temple in Jeollanam-do, Korea in the second half of 2011. The “Wanshantonggui ji” of Yongheongsa Temple is published at Jingdesi Temple (景德寺)in Dongwu(東吳), China in 1071, 1 year earlier than the same book in Taishōshinshūdai zōkyō(大正新修大藏經). This fact can be confirmed in the introductio of Guanjingren(關景仁). Jingdesi Temple of Dongwu cannot be exactly located, but the area of search can be minimized to 5 temples by limiting the 5 provinces(州)and 32 districts(縣) east to the Liangzhelou(兩浙路) during Song Dynasty.
In the introduction of the Guanjingren, one would find the controversies regarding the author of the “Wanshantonggui ji”and the resolution of it. Guanjingren claims that the author of “Wanshantonggui ji” is Yongming Yanshou(永明延壽, 904~975)and Xiechi Shanhua(謝池善華) where the “Wan-shantonggui ji” was published in 1071 which is nearly 100 years after YongmingYanshou has passed. There is no way to confirm of Xiechi Shanhua, but if Xiechi is a location, then it can be suspected that it indicates Wenzhou(溫州) near Hangzhou(杭州). Guanjingren makes proof that the author of “Wanshantonggui ji” is Yanshou based on his writings such as the “Zixing lu(自行錄)”Many of Yanshou’s writings were published during the Goryeo Dynasty, but there are no record indicating that “Wanshantonggui ji” was published.
However, in the last chapter of the “Wanshantonggui ji” of Yongheungsa Temple is a phrase that the writing is published in Hyeongwonsa Temple(螢原寺)of Milseong-gun(密城郡)by Chief Monk(住持) Samun Seungryang(沙門 僧亮) indicating the writing was published during Goryeo Dynasty. In this article, Hyeongwonsa Temple is assumed to be the same temple as Yeongwonsa Temple(瑩原寺) for its discussions. As a result, “Wanshantonggui ji” can be suspected to be published between 1071, which the writing is published in China, and 1275 which the current Milyang region was referred to as Milseong-gun, in the Zen sect Bhuddhist temple, Yeongwonsa Temple.
Lastly, the “Wanshantonggui ji” appears to be severely damaged during the process of being delivered to Choeui Euisun (草衣意恂, 1786~1866). That is why Choeui has rewritten the damaged texts himself in 1855. The writing currently possesses both wood printed sections of the original publishing and hand written sections by Choeui. There are no confirmation that Choeui has made direct quotations from the “Wanshantonggui ji” but it is proof that the writing was continuously distributed from the Goryeo Dynasty to late Joseon Dynasty.
Table of contents국문 초록 5
Ⅰ. 머리말 8
Ⅱ. 『만선동귀집』의중국 유통과 저자에 대한 논란 10
1. 중국의 간행 승려 및 사찰 11
2. 『만선동귀집』 저자의 문제에 대한 논란과 해명 17
Ⅲ. 고려 밀성군 螢原寺에서의 판각 22
Ⅳ. 맺음말 28
Abstract 30
참고문헌 33
ISSN15980588 (P)
Hits122
Created date2022.05.06
Modified date2022.05.06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39632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