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黙照銘』에 나타난 黙과 照의 개념=The Notion of Mo & Chao in MoChao-Ming
Author 김호귀 (著)=Kim, Ho-gui (au.)
Source 선문화연구=禪文化硏究=Studies of Seon Culture
Volumev.8 n.0
Date2010.06
Pages145 - 174
Publisher한국불교선리연구원=The Korean Institute of Buddhist Seon
Publisher Url http://seonli.or.kr/
LocationSeoul, Korea [首爾,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연구교수
Keyword묵조명=黙照銘=MoChao-Ming; 굉지정각=宏智正覺=Hung-chieh Cheng-choai; 본증자각=本證自覺; 현성공안=現成公案; 지관타좌=只管打坐; 신심탈락=身心脫落; 지유선=至游禪; 간화선=看話禪; Silent-Penetration Zen; Self-awakening of the Original-realization; Un-thought; Exquisite action; Identity; Present-form
Abstract굉지정각은 天童山을 중심으로 그 자신의 독특한 교화를 펼쳤는데 그것이 묵조의 수행이라는 가풍으로 전개되어 나아갔다. 『묵조명』의 묵조라는 말을 가지고 자기의 선풍을 고취시킨 것은 바로 굉지였다. 『묵조명』에 나타나 있는 묵조에는 묵과 조를 각각 작용과 정체와 현성의 세 가지 입장에서 공능과 비유와 속성을 통하여 설명하고 있다. 그와 같은 묵조의 세 가지 측면이 一如한 바탕에서 묵조선은 성립할 수 있었다.
이것이 곧 本證의 現成 내지는 自覺의 의미이다. 때문에 묵조선의 구조는 本證自覺을 설하고 있는 것으로서 그 중점이 바로 깨침의 세계 곧 佛의 세계에 맞추어 진다. 본증의 자각이기 때문에 그 깨침으로 이끌어 나아가는 방법과 수행이 구분되어 있지 않다. 묵묵하게 좌선을 할 때에 그대로 透脫된 깨침의 세계가 현현한다. 그 세계는 새로운 것이 아니라 자신이 원래부터 도달해 있는 세계이다.
때문에 『黙照銘』에서는 黙照에 대하여 黙으로서의 坐禪의 修와 照로서 현성된 證을 달리 보지 않고 證이 본래부터 구족되어 있음을 설하고 있다. 특히 묵조라는 용어는 단순히 묵묵히 비추어본다는 수식 내지 한정의 관계가 아니라 묵과 조의 병렬적인 의미이다. 그래서 묵조는 묵묵한 좌선으로서의 수행을 가리키는 黙과 廣劫에 두루 비추지 않음이 없는 證上에서의 功能인 照를 상징한다. 그리하여
묵조는 각각 黙은 照가 상정된 黙으로서의 현성이라면 照는 黙을 수반하는 照로서의 현성이다.
묵조선에 대한 종래의 비판의 한계는 그 실천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고 오히려 유무에 떨어진다든가 단계성에 상대한 本證的이고 論理的인 특질을 지적하는데 머물러 있다는 점이었다. 그리고 조동종의 가풍으로서 전승되어 온 소위 五位思想이 지니고 있는 종래의 한계라는 것은 黙과 照의 어의에 들어 있는 의미의 분석과 그 의미에 대한 부적절한 적용으로 인하여 그 실천성이 결여
되어 있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양측의 상관관계 내지는 대치성을 어떻게 해결하여 그 일치점에 도달하는가 하는 것이 묵조선의 과제였다. 따라서 黙照하는 묵조선 수행에 대하여 그 원리의 한계성을 소위 五位의 논리성으로 극복하고, 오위가 지니고 있는 실천의 한계성을 黙과 照의 至游的인 성격으로 극복해왔다.

MoChao-Ming was written by Hung-chieh Cheng-choai(1091~1157). MoChao-Ming means a maxim of Silent-Penetration. Here we look upon as Mo that is Silent& Chao that is Penetration.
At first the standpoint of Silent-Penetration Zen is the Self-awakening of the Original-realization. Realization of the Silent-Penetrative Zen comes when each principles faces the same position. In that manner, the training structure of the Silent-Penetration Zen tells us the Self-consciousness of From-realization and, the priority is directly focused on the world of being spiritually awakened, namely, the world of Buddha. Because it is the Self-consciousness of From-realization, there are no distinction between the way to lead for realization and self-discipline.
The methods are Sitting-poster,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 Realization and Un-thought. Sitting-poster is sitting with crossed leg, but it means not only body but also mind poster. Self awakening of the Original-realization is self-awareness that From not a new thing with One`s mind, but From get all enlightenments are ready.
So all enlightenments are actualization and operation. Un-thought is not thoughtless. It exactly Un-thought on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The highlight of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is devoting to Un-thought throughly. Thus Un-thought has a characteristic on the assumption of sitting in a Buddhist meditation. Un-thought in a Buddhist meditation doesn't mean that it has no Thought.
On the contrary, it has a meaning as thought of Un, thought of Elimination, and thought of Not-contamination. That's exactly thought of the Silence-Penetration.
All these notion of Silent-Penetration Zen based on MoChao-Ming. The MoChao-Ming comprise three conceptions. The first is the Action of Silent-Penetration Zen.
This action is so called exquisite action. Exquisite action comprise Mo that is Silent & Chao that is Penetration. The second is Identity of Silent-Penetration Zen. The Identity is so called the verbal expression about Mo that is Silent & the mind of enlightenment about Chao that is Penetration. Third is Present-form of Silent-Penetration Zen. This Present-form is so called the realization about Mo that is Silent & Chao that is Penetration. The former is sitting meditation of body & the latter is enlightenment state of mind Chao. Also these three notion are The structures & contents of enlightenment in Silent-Penetration Zen.
Table of contentsⅠ. 黙과 照의 語義 146
Ⅱ. 黙照禪에서 黙과 照의 개념 150
Ⅲ. 『黙照銘』의 黙과 照 156
1. 『黙照銘』의 구조 156
2. 『黙照銘』에 나타난 黙과 照의 의미 160
Ⅳ. 黙照의 의의 168
ISSN1975857X (P); 26715708 (E)
Hits78
Created date2022.06.22
Modified date2022.06.22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43744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