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고려후기 불교 부인(符印)의 전개=Transformation of Buddhist Talisman-Seals during the Koryŏ Dynasty
Author 문상련 (著)=Moon, Sang-leun (au.) ; 김연미 (著)=Kim, Youn-mi (au.)
Source 불교학보=佛教學報
Volumev.96 n.0
Date2021.09
Pages123 - 156
Publisher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Publisher Url https://abc.dongguk.edu/kbri/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문상련(정각): 중앙승가대학교 교수
김연미: 이화여자대학교 부교수
Keyword불교 부인=佛敎符印=Buddhist talisman-seals; 부적=talisman; 고려=Koryŏ; 불복장; 대화수경=Scripture of Great Flower Hands=Taehwasu Kyŏng; 범서총지집=Collection of Sanskrit dhāraṇīs=Pŏmsŏ ch'ongji chip; 밀교=esoteric Buddhism; pokchang; Korean Buddhist practice
Abstract한국불교에서는 적어도 고려시대부터 다양한 부적(符籍)들이 사용되어왔다. 부적이라 하면 흔히 민속신앙에서 사용했던 부적만을 생각하기 쉬우나, 불교 전통에서 기원한 다양한 불교 부적들이 800년 이상 한국의 신앙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되어왔다. 이러한 불교 부적들은 중국에서 기원하여 전래되었으며, 원래 도장, 즉 인장(印章)에 부적을 새겨 찍었던 관습으로부터 발전했기 때문에 관련 유물들을 불교 부인(佛敎符印)이라 칭하는 것이 적절하다.
현재 해외 학계에는 중국의 불교 부인만이 알려져 있다. 또한 국내 학계에서 불교 부적이라는 연구주제는 불교학, 민속학, 미술사학의 사각지대에 방치되어 제대로 주목받지 못한 채, 조선시대 부인들만이 소략하게 연구되어왔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불교 부인들 중 고려시대 유물을 중심으로 그것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그 변화 과정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8종의 고려 유물에 수록된 20종의 불교 부적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시대가 내려올수록 부인의 형태가 양식화(樣式化, stylization)되고 효험은 간략화되었으며, 간혹 부인의 효험이 부인의 명칭으로 변환되기도 하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13세기 후반부터는 여러 가지 종류의 부인을 한꺼번에 모아 종합해 판각하여 간행하는 예가 유행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다양한 종류의 고려 부인들 중에는 해외에서도 아직 발견되지 못한 종류들이 많기에, 본고에서 다룬 고려 부인에 대한 연구는 동아시아 불교 부인 연구에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examines little-studied Buddhist puin (符印), or “talisman-seals”, from the Koryŏ dynasty. Various kinds of talismans have been used in the Korean Buddhist tradition since the mid Koryŏ period, if not earlier. Korean Buddhist “talisman-seals” have not received the academic attention that they may be due, and only some examples from the Chosŏn dynasty have been briefly mentioned in previous scholarship. A growing number of scholars across the globe began to study Buddhist “talisman-seals” in recent decades; however, they are mostly focusing on Chinese examples thereof.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study of the East Asian talisman-seal culture, this paper attempts systematic analyses of Korean “talisman- seals” from Koryŏ. This paper found 20 kinds of Koryŏ “talisman-seals” which have been discovered in the pokchang (腹藏) from inside Buddhist statues, as well as inside a silver bracelet. Through a careful visual analysis and examination of accompanying inscriptions, this paper explores the transformation of the shape, function, and usage of the “talisman-seals” during the Koryŏ period.

Table of contentsⅠ. 서언 125
Ⅱ. 현존하는 초기 불교 부인의 특징 126
Ⅲ. 14세기 불교 부인의 수합과 통합 현상 136
Ⅳ. 고려후기 불교 부인의 변화과정 분석 142
Ⅴ. 맺음말 152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21.9.96.123
Hits93
Created date2022.08.08
Modified date2022.08.08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46926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