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영명연수(永明延壽) 사상에서 화엄(華嚴)과 선(禪)의 위상 -- 『종경록』 100권을 중심으로=The Status of Chan (禪) and Huayan (華嚴) in Yongming Yanshou (永明延壽)"s Thought : Focus on the 100 volumes of Zongjinglu
Author 박인석 (著)=Park, Inn-suk (au.)
Source 불교학보=佛教學報
Volumev.76 n.0
Date2016.09
Pages139 - 160
Publisher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Publisher Url https://abc.dongguk.edu/kbri/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조교수
Keyword영명 연수=永明延壽=Yongming Yanshou; 『종경록』=宗鏡錄=Zongjinglu; 화엄=華嚴=Huayan; 선=禪=Chan; 여래장=如來藏=Tathāgata-garbha; 관심=觀心=Contemplating Mind
Abstract이 논문은 중국 법안종(法眼宗)의 선사 영명 연수(永明延壽, 904-975)의 사상 가운데서 화엄(華嚴)과 선(禪)의 위상을 해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단서는 연수가 『종경록(宗鏡錄)』 「자서(自序)」에서 제시한 “일심을 종지로 삼아 만법을 거울처럼 비춘다.[擧一心爲宗, 照萬法如鏡]”는 문구에 포괄적으로 드러나 있다. 연수의 불교사상의 핵심 종지는 바로 ‘일심(一心)’에 있는데, 이 일심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해주는 것이 바로 화엄이다. 또한 만법을 거울처럼 비추는 것은 바로 선종의 관심(觀心) 사상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연수의 불교사상에 있어 화엄은 내용적인 기반을 이루고, 선은 방법론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화엄(華嚴)에 있어서도 연수는 법장(法藏), 징관(澄觀), 종밀(宗密) 등이 공통으로 제시한 여래장(如來藏) 사상을 근본으로 삼고 있다. 그들이 주장하는 여래장 사상의 특징은 진여(眞如)가 불변(不變)과 수연(隨緣)의 두 측면을 모두 갖춘다고 주장하는 데 있다. 한편 연수는 당(唐)의 화엄학자들이 유식학을 여래장의 이론으로 회통시키고자 하는 시도의 연장선에 서 있다. 그는 여래장 사상의 선구로 알려진 마명(馬鳴)과 유식 사상을 대표하는 호법(護法)을 등장시켜 ‘진여 훈습(眞如熏習)’의 문제를 토론하게 함으로써, 두 학파 간의 철학적 쟁점을 보다 분명히 보여주었다.
선(禪)의 관심(觀心) 사상은 만법(萬法)의 근원인 일심을 근거로 삼아 불교 전체를 회통시키려는 것이다. 선종사(禪宗史)에서 관심 사상의 중요성은 줄곧 강조되었지만, 연수는 그 사상의 기원에 있어서는 선종보다는 천태종(天台宗)의 창시자인 천태 지의(天台智顗)의 『관심론(觀心論)』을 더욱 중시하였다. 다만 천태의 학설은 성구설(性具說)에 기반하는 반면, 연수는 화엄의 여래장 사상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난다. 결론적으로 보면, 연수의 사상 체계에 있어서는 화엄을 비롯한 제반 교학이 그의 관심의 방법 속에서 통합되어 기능하고 있다.

This paper aims to explain Chan (禪) and Huayan (華嚴) based on the thoughts of Chan master Yongming Yanshou (永明延壽, 904-975) of the Chinese Fayan school (法眼 宗). From a phrase mentioned in the preface of Zongjinglu (宗鏡錄), it is clear that “Based on Ilsim (One mind), we should illuminate all the dharmas like a mirror (擧一心 爲宗, 照萬法如鏡).” The essence of Yanshou's Buddhist thought is “One mind (一心).” Huayan explains this thought in detail. He also explains that “illuminates all the dharmas like a mirror” refers to the notion of the Contemplating mind (觀心) thought of the Dhan school. From this viewpoint, it is possible to see that Yanshou's Buddhist thought was based on Huayan, and that Chan supplied the methodological base.
However, Yanshou based his Tathāgata-garbha thought on Huayan (華嚴) like Fazang (法藏), Chengguan (澄觀), and Zongmi (宗密). The characteristics of Tathāgata-garbha thought (如來藏), are that it includes all aspects of changelessness (不變) and participation in change (隨緣). Meanwhile, Yanshou tried to merge the theories of the Yogacara school with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like the Huayan scholars of Tang (唐) dynasty. He introduced Asvaghosa (馬鳴) - a pioneer of the Tathāgata-garbha thought - and Dharmapala (護法) - a representative of Yogacara thought. They discussed about the subject of ‘Tathatāgata's succession (眞如熏習)’ and brought forth the philosophical issues between the two schools.
Chan (禪)'s Contemplating mind (觀心) thought was based on Ilsim (One mind) - the origin of all the dharmas - and tried to harmonize all the Buddhist schools. In the history of the Chan school, the importance of the Contemplating mind thought has been continued, but Yanshou focused on the Contemplating mind theory (觀心論) of Tiantai Zhiyi (天台智顗) - the founder of Tiantai school (天台宗) - more than on that of the Chan school. Howev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masters. Tiantai based his thought on the theory of the true nature endowed with everything (性具說), such as the single-minded focus of the ardent mind with three thousand categories of existence (一念 三千說), but Yanshou based his thought on Huayan's Tathāgata-garbha thought. Yanshou's Contemplating mind thought harmonizes all the dharmas into the mind and it is the principle based on which the 100 volumes of Zongjinglu were compiled as well.
Table of contents한글요약 140
Ⅰ. 들어가며 141
Ⅱ. 『종경록』에 나타난 화엄과 선의 강조 142
Ⅲ. 화엄의 일심(一心) 145
Ⅳ. 선종의 관심(觀心) 151
Ⅴ. 맺음말 155
참고문헌 157
Abstracts 159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16.09.76.139
Hits84
Created date2022.09.10
Modified date2022.09.10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48609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