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알라야識의 존재증명과 경량부(II) -- 『섭대승론』의 경우=Proofs on existence of ālayavijñāna and Sautrāntika (Ⅱ) - In case of Mahāyānasaṃgraha
Author 권오민 (著)=Kwon, Oh-min (au.)
Source 불교학보=佛教學報
Volumev.74 n.0
Date2016.03
Pages9 - 39
Publisher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Publisher Url https://abc.dongguk.edu/kbri/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경상대학교 철학과 교수
Keyword알라야식=Ālayavijñāna; 알라야식의 존재증명=Proofs on the existence of ālayavijñāna; 『섭대승론』; 경량부 종자설; 일심; 上座 슈리라타=Sthavira Srīlāta; Mahāyānasaṃgraha; Sautrāntika's theory of seeds=bīja
Abstract『섭대승론』에서의 알라야식의 존재증명은, 교학상의 개별적 문제를 논증의 소재로 삼고 있는 『유가론』이나 『유식론』과는 달리 雜染과 淸淨의 일체법, 번뇌-업-生의 잡염이라는 현실적 측면과 세간 ․ 출세간의 청정이라는 이상적 측면에 걸친 일관된 교리조직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즉 알라야식(혹은 異熟識)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다시 말해 6識만으로는 ① 번뇌와 ② 업과 ③ 生이라는 12연기(윤회)의 雜染도, 結生이후의 일련의 사태 이를테면 ④ 有色根의 執受(유지)도, ⑤ 識과 名色의 相依도, ⑥ 4食 중의 識食도, ⑦ 죽음(命終)도 불가능할뿐더러 ⑧ 세간과 ⑨ 출세간의 淸淨도, 나아가 ⑩ 멸진정 역시 그러하기 때문에 6識과는 별도의 실체로서 이와 동시에 존재하는 알라야식을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좀 더 상론하면 첫째, 6識은 前滅後生하기 때문에, 다시 말해 前法(원인=能熏)이 존재할 때 後法(결과=所熏)은 아직 생겨나지 않았고, 後法이 존재할 때 전법은 이미 사라졌기 때문에 인과상속이 불가능하다.(①⑧⑨) 둘째, 結生의 화합識이 意識일 경우 동일 종류의 두 識이 同時俱轉한다는 과실이 야기된다.(③) 셋째, 6識은 언제 어디서나, 소연과 행상을 갖지 않는 동일種類로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③④⑥⑩) 無性은 이 중 過未無體에 근거한 첫 번째 비판을 경량부 설에 대한 것이라 해설하였고, 중현의 전언에 따르면 두 번째 비판은 ‘동일根에 근거한 二識俱轉’의 상좌 설에 대한 것이며, 세 번째 비판대상 역시 동아시아 법상교가나 중현에 의하면 末經部의 上座部나 상좌 슈리라타 혹은 譬喩者 설로 확인된다.
그리고 6識이 關說되지 않은 ② 業雜染證, ⑤ 識․ 名色相依證, ⑦ 命終證의 경우 또한 세 번째 비판, 즉 이숙식을 6識에서 구하고 있는 경량부에 대한 비판이 전제된 것으로, 窺基는 『성유식론』의 心染淨證과 識․ 名色相緣證과 生死心證에 대해 해설하면서 이를 경량부/上座部 설로 평석하고 있다.
『섭대승론』의 저자 무착 또한 알라야식 존재증명을 “色心이 無間으로 생겨날 때 [전찰나의 법은 후 찰나의] 제법의 종자가 된다”는 어떤 이의 주장에 대한 비판으로 총괄하였는데, 이는 『순정리론』에서 上座 슈리라타 설로 인용될 뿐더러 窺基 등 동아시아 법상교가는 경량부, 혹은 經爲量의 上座部(*Sthavirapāṣika)로 평석하였다. 이 같은 사실로 볼 때 『섭대승론』에서의 알라야식 존재증명은 경량부의 6識종자설 비판을 전제로한 것이라 할 수 있다.

Proofs on existence of ālayavijñāna in Mahāyānasaṃgraha are done on consistent system of thoughts on pollutions(saṃkleśa: 雜染) of torment(kleśa) - act(karma) - birth (janma), and pure(vyavadāna: 淸淨) of worldly and none-worldly as all things unlike Yogācārabhūmiśāstra and *Vijñaptimātratāsiddhiśāstra. They say that if ālayavijñāna doesn't exist, or as long as you claim the theory of seeds that based on six kinds of consciousness(vijñāna) like Sautrāntika, explanation of not to mention birth and death, pollution and pure is impossible.
And Asaṅga concluded as a criticism on someone's insistence - momentary arising and perishing matter(rūpa) and mind(citta) are the seeds of all existence -, this is quoted on Nyāyānusāraśāstra as Sthavira Srīlāta's statement. K’uei-chi(窺基) and some others explained as elders' school(上座部, *Sthavirapāṣika), who are those take the sūtra as a valid means of knowledge(經爲量, pramāṇikasūtra). To conclude, proofs on existence of ālayavijñāna on Mahāyānasaṃgraha are also based on Sautrāntika's criticism of theory of seeds that based on six kinds of consciousness, like Yogācārabhūmiśāstra.
Table of contents〈한글요약〉10
Ⅰ. 서언 12
Ⅱ. 알라야식 존재증명과 경량부 13
Ⅲ. 결어 33
〈참고문헌〉37
〈Abstracts〉39
ISSN12261386 (P)
DOI10.18587/bh.2016.03.74.9
Hits56
Created date2022.09.11
Modified date2022.09.11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48650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