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불교의 기질과 사상의학의 체질에 따른 심리적 요소의 차이=The Difference of Psychological Factors between Buddhist Disposition an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s Constitution
Author 이자랑 (著)=Lee, Ja-rang (au.)
Source 불교학보=佛教學報
Volumev.64 n.0
Date2013.02
Pages225 - 246
Publisher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Publisher Url https://abc.dongguk.edu/kbri/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Keyword기질; 체질; 사상의학=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애로희락; 탐진치; 『청정도론』=Visuddhimagga=淸淨道論; 『동의수세보원』=Dong-ui susebowon=東醫壽世保元; disposition; constitution; psychological factors
Abstract불교에서는 선정 혹은 명상 수행을 중시하지만, 아쉽게도 불교문헌에서는 육체적인 특징을 들어 인간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에 맞는 특정한 명상법을 제시하는 기술을 찾아보기 쉽지 않다. 이런 점에서, 타고난 체질을 잘 파악하여 체질에 맞는 후천적인 수행을 함으로써 심신의 건강을 도모할 수 있다고 보는 사상의학(四象醫學)의 입장은 주목할 만하다. 사상의학은 조선말기 함흥 출신의 이제마(李濟馬, 1837-1900)에 의해 창안된 의학인데, 사람을 4종의 체질로 분류하여 각 체질에 따라 발병 원인이나 그 치유 방법이 다름을 주장하는 점에 특색이 있다. 사상의학에서는 사람은 4종의 체질에 따라 선천적으로 이미 몸과 마음이 결정되어 태어난다고 본다. 즉, 육체적으로는 장기의 크고 작음에 따라 4종의 체질 간에 차이가 있으며, 이 장기의 대소에 따라 심리적 요소 역시 이미 결정된 채 태어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선천적인 요소는 후천적인 수행을 통해 바꾸어 갈 수 있다고 본다. 단, 수행 방법에 관해서는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 하기 어렵다. 따라서 사상의학의 체질별 특징에 불교적 수행법을 접목시켜 각 체질에 맞는 수행법을 제공할 수 있다면, 보다 효율적인 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재 불교와 사상의학의 융합 연구가 진행 중이다. 다양한 시각에서 양자의 내용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본고에서는 그 일환으로서 불교의 기질과 사상의학의 체질이 각각 어떤 내용적 특징을 지니며, 또한 그 심리적 요소 간에는 어떤 차이가 발견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주된 검토 대상은 『청정도론』과 『동의 수세보원』의 관련 내용이다. 불교와 사상의학은 후천적인 수행을 통해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난 인간의 심리적 부분을 조절해 가야하며, 또 실제로 조절해 갈 수 있다고 보는 점에서 공통된다. 단, 불교의 경우에는 그 심리적 요소가 주로 번뇌라는 차원에서 취급되기 때문에 선하지 못한 심리적 요소를 지멸시켜 선하게 완전히 바꾸어 가야 한다고 보며, 사상의학의 경우에는 희로애락을 인간 본연의 지극히 자연스러운 감정으로 파악하여 어느 한 쪽으로도 치우치지 않도록 적절하게 조화를 이루어가는 상태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다르다고 생각된다.

Traditionally, Buddhism has emphasized meditation in its practice. In Buddhist Literatur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the descriptions that human can be classified into some typologies by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specific method of meditation suitable to each person's typology are explained. In this respect, the analytical method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s noteworthy in that it can provide a way to improve one's physical and mental health by prescribing a practice suitable to one's inborn constitutio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s a medical theory proposed by Lee Je-ma in the later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It classifies the physical constitutions of people into four patterns based on certain inherent traits and prescribes different healing methods according to the different causes of illness.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explains that there are four kinds of inherent constitutions and they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physical size of our organs and the physical size of our organs determines our inborn psychological tendencies.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claims that certain practices can alter these congenital factors, but we do not yet have a way to prescribe a specific method of practice suitable to each type of constitution. Accordingly, if we can match up the various Buddhist practices with the four co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t would result in a more efficient method of Buddhist practice.
In this respect, the integration study of Buddhism an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s now being pursued from various perspectives. This paper will compare Buddhist teachings with the four co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 will also examine the difference in how they view psychological factors. The main text of the study will be the Visuddhimagga (淸 淨道論, Path of Purification by Buddhaghoṣa, 佛音) and Dong-ui susebowon (東醫 壽世保元, a work on Korean medicine compiled by Lee Je-ma).
What Buddhism and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have in common is that they can control our inborn psychological tendencies through effort and certain learned practices. However, in Buddhism, negative psychological tendencies come mainly from spiritual afflictions. So we have to eliminate these negative tendencies through practice. On the other hand, in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it is considered that Joy(喜), anger(怒), sorrow(愛), and pleasure(樂) are natural emotions of human. Accordingly, these natural emotions are not the object to control but need to be balanced in the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Table of contentsI. 서론 227
II. 불교의 기질과 사상의학의 체질 228
III. 불교의 기질과 사상의학의 체질에 따른 심리적 요소 232
IV. 기질.체질에 따른 심리적 요소의 차이 237
V. 결론 243
ISSN12261386 (P)
Hits55
Created date2022.09.21
Modified date2022.09.21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49549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