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te mapAbout usConsultative CommitteeAsk LibrarianContributionCopyrightCitation GuidelineDonationHome        

CatalogAuthor AuthorityGoogle
Search engineFulltextScripturesLanguage LessonsLinks
 


Extra service
Tools
Export
티베트어역 『화엄경』의 구성에 관한 고찰=On the Structure of the Tibetan Buddhāvataṃsakasūtra
Author 박보람 (著)=Park, Bo-ram (au.) ; 전호련 (著)=Jeon, Ho-ryeon (au.)
Source 보조사상=普照思想=Journal of Bojo Jinul's Thought
Volumev.41 n.0
Date2014.02
Pages387 - 421
Publisher普照思想研究院
LocationKorea [韓國]
Content type期刊論文=Journal Article
Language韓文=Korean
Note저자정보
박보람(주저자):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박사졸업
전해주(교신저자):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교수 jeon@dongguk.edu
Keyword대방광불화엄경; 티베트어역 화엄경=Tibetan Buddhāvataṃsakasūtra; 장역화엄; 팔십화엄; Chinese Buddhāvataṃsaka sūtra; 육성취=六成就; 부퇸=Bu ston; the places and the assemblies of the Buddhāvataṃsaka sūtra
Abstract티베트어역 『화엄경』(이하 『장역화엄』)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글에서는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준비단계로서 그 전체 구성에 대해서 살펴본다. 기존 연구에서는 『장역화엄』을 처(處)·회(會)·품(品)의 관점에서 『팔십화엄』과 비교할 때 비록 품수는 다르지만 처와 회의 구성은 같다고 파악하였다. 그러나 필자가 살펴본 바에 의하면 7처 9회 39품의 『팔십화엄』과는 달리 『장역화엄』은 9처 11회 45품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차이는 『장역화엄』에만 존재하는 두 품, ‘de bzhin gshegs pa phal po che'i le'u’(여래장엄품)와 ‘kun tu bzang pos bstan pa'i le'u’(보현보살에 의한 가르침의 품)를 독립된 장소에서 설해진 독립된 회로 볼 것인가에 따라서 생겨나는데, 이들 품과 앞·뒤 품의 교주[主]·장소[處]·대중[衆]과 관련된 경문을 비교·조사해 본 결과 이 두 품은 독립된 회로 파악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장역화엄』의 구성과 관련하여 데게(sDe dge)본 간기에서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티베트의 대학승 부퇸(Bu ston)은 『장역화엄』을 세존의 삼시교(三時敎) 가운데에서 가장 마지막의 완벽한 교설로서 평가하면서 이 경을 일곱 개의 품, 즉 「여래장엄품」·「금강당보살(金剛幢菩薩)의 회향(품)」·「십지(十地)의 가르침」·「보현행(普賢行)의 가르침」·「여래출현(如來出現)의 가르침」·「세계로부터 떠남의 품」·「꽃줄기장엄의 품」을 중심으로 파악한다. 이러한 방식과 동아시아 화엄교학의 분석을 비교해보면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으며 그것이 무슨 의미인지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 보았다.

With all the importance of the Tibetan Buddhāvataṃsaka sūtra(TBA), there has not been a substantial amount of researches on that sūtra. This paper, as a preliminary study, examined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TBA. Until now, the places(處) and the assemblies(會) of the TBA have been regarded as identical to those of the Chinese Buddhāvataṃsakasūtra in 80 volumes(80-CBA) although these two sūtras have different numbers of chapters each other. However, I found that the TBA is made up with 9 places, 11 assemblies and 45 chapters as compared to 7 places, 9 assemblies and 39 chapters of the 80-CBA. This difference comes from if the two chapters of the TBA, ‘de bzhin gshegs pa phal po che'i le'u’(Adornment of Tathāgata) and ‘kun tu bzang pos bstan pa'i le'u’(Teaching by Samanthabhadra) which are included only in the TBA, not in the 80-CBA should be regarded as independent assemblies or not. In this paper, I asserted that these two chapters should be considered as independent assemblies preached in different places. The colophon at the end of the sDe dge edition of the TBA gives many precious imformation as for the TBA itself. According to this, Bu ston, a great scholar in Tibet, esteemed this sūtra as the final perfect one among the Buddha’s three-level teachings and analysed it focusing on the seven chapters among the 45 chapters. I compared this analysis with that of East Asian Huayan school.
Table of contents1. 이 글의 목적 391
2. 티베트어역 화엄경의 개요와 선행연구 392
3. 티베트어역 화엄경의 구성에 관한 기존 입장 395
4. 화엄경에서 회(會)의 구분 398
5. 티베트어역 화엄경 제11품과 제32품의 처(處)·회(會) 403
6. 화엄경 구성에 대한 티베트불교의 이해 410
7. 맺음말 413
ISSN12297968 (P)
DOIhttp://doi.org/10.22859/bojoss.2014..41.012
Hits76
Created date2023.01.30
Modified date2023.01.30



Best viewed with Chrome, Firefox, Safari(Mac) but not supported IE

Notice

You are leaving our website for The full text resources provided by the above database or electronic journals may not be displayed due to the domain restrictions or fee-charging download problems.

Record correction

Please delete and correct directly in the form below, and click "Apply" at the bottom.
(When receiving your information, we will check and correct the mistake as soon as possible.)

Serial No.
663495

Search History (Only show 10 bibliography limited)
Search Criteria Field Codes
Search CriteriaBrowse